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01 19:49:48
Name 카스트로폴리스
Subject [질문] 모바일게임 과금하면 이해가 안 가나요?
사실 저도 모바일게임 과금 한 적이 없었는데
현재 3년째 하고 있는게임은 월 5~10만원 정도 정기적으로 과금하고 있습니다
주위에서 좀 이해 안 된다는 사람들이 좀 있더라구요;;;

사실 뭐 친구끼리  술 한번 먹으면 5만원은 훌쩍 넘는건데
5~10만원 써서 한달 재미있게 즐기면 좋은거 아닌가요?크크크크
이 게임에 3년동안 한 300~400 만원 쓴거 같은데 3년동안 즐기면서 이 정도 쓰면 가성비가 매우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초반에 여자친구가 모라고 했는데
너 네일 하고 머리 하는거랑 똑같다고 말 한 이후로는  잔소리 안 하고있습니다 크크크

한달에 5~10만원도 많은 거라고 생각하시나요?(가끔 이벤트 패키지 같은거 나오면 더 하는데 한달에 15만원 이상 한 적은 없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배글이
17/10/01 19:53
수정 아이콘
이해 못하는 사람 많이 봤는데.. 뭐
게임하는거 자체를 이해 못하는 사람도 있으니 그러려니 합니다
카스트로폴리스
17/10/01 19:55
수정 아이콘
자기는 취미에 몇십만원씩 쓰면서 게임 과금한다고 하면....뭐라고 하더라구요 크크크크크
17/10/01 19:54
수정 아이콘
무례하고 독선적인 사람들이죠 뭐
카스트로폴리스
17/10/01 19:55
수정 아이콘
게임 = 무료 라는 인식이 많은거 같아요 크크크크
고스트
17/10/01 19:54
수정 아이콘
사람 바이 사람이죠.
게임 그 자체를 이해 못 하는 사람 / 콘텐츠에 돈을 쓰는 걸 이해 못하는 사람 많습니다.
대부분 리니지에 1천만원 지르는 사람 이해 못 하듯이요.
카스트로폴리스
17/10/01 19:5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진짜...콘텐츠 돈 쓰는 걸 이해 못 하는 사람이 많은 거 같아요....
넷플릭스 보는데 그거 왜 돈 주고 보냐고...
고스트
17/10/01 19:59
수정 아이콘
재밌는 건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 인성이 나쁘다? 도 아니라서요 크크크 사실 불법 다운로드가 전성기에 비해서 많이 사라진 건 "편해서"죠
엔조 골로미
17/10/01 19:55
수정 아이콘
게임에 대한 선입견이 문제죠 뭐 글쓰신분의 경우엔 꽤 가성비 좋은 지출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좀 가챠시스템의 문제가 있다보니-_-;; 본인의 상황에 맞지않는 지출일 경우엔 문제가 되겠지만요
카스트로폴리스
17/10/01 19:57
수정 아이콘
저도 솔직히 10만원 넘어가면....고민 많이 합니다 크크크크크크
뽑기는 진짜...ㅠㅠ
17/10/01 19:57
수정 아이콘
지나치게 돈을 들이붓는 수준이 아니라면 전 괜찮다고 봅니다.
지금은 안 하지만 예전에 퍼드 한창 할때는 매달 5~10만은 쓴 거 같네요...많이 쓸 때는 한 번에 25만 정도? 까지도 써 본 거 같고...

수입 대비해서 지출이 너무 심하지만 않으면 괜찮다고 봅니다.
개념테란
17/10/01 20:04
수정 아이콘
취미에 월 5~10만원 정도 쓰는거면 그렇게 큰 돈은 아닌데 이상하게 보는 사람들은 아마 모바일 게임에 대한 시각이 안좋은거겠죠.
Mr.Doctor
17/10/01 20:06
수정 아이콘
엉뚱한 소리 같은데, 살아오면서 생각해 보니 굳이 다른 사람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고, 굳이 다른 사람에게 이해 받아야 할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사람마다 차이가 얼마나 큰데 상대를 굳이 이해하려고 드는건 너무 굉장한 성찰이 필요한 일이고 에너지 낭비 아닌가 해서요. 전 저를 이해 못 하겠다는 사람은 그냥 두는 편이고 이해하지 말라고, 굳이 내가 이해 받을 생각 없다고 생각합니다.
키마이라
17/10/01 20:11
수정 아이콘
저도 작성자 분과 비슷하게 모바일 게임 결제하고 있는데 나중에 모아보면 플스, 닌텐도와 패키지를 사는거 더 경제적 아닌가 하는 생각이 가끔 듭니다.
화잇밀크러버
17/10/01 20:44
수정 아이콘
플스있다고 모바일에 돈 안 쓰는 건 아니에요. 흐흐...
멍청이
17/10/01 20:12
수정 아이콘
여기서 질문하시면 답은 뻔하죠...
무무무무무무
17/10/01 20:15
수정 아이콘
전 모바일로는 게임 안해서 과금 안하지만 다른 게임은 필요하면 합니다.
가령 대온같은 경우는 망명해야 각국 스토리를 진행할 수 있는데 망명하면 명성이 절반으로 깎이기 때문에 대신 망명서를 3만 8천원 주고 산다거나.
6개국 스토리 다 하고 원래 국가로 돌아가면 25만원쯤 드는 셈인데 대온에서 명성쌓기 얼마나 힘든지 생각해보면 그 돈이면 싼거죠....
바스테트
17/10/01 20:17
수정 아이콘
이해 못하는 사람은 평생 이해 못합니다
그 사람의 어떤 것과 비교를 해서 말해줘도 그게 비교가 되냐?소리밖엔 안나와요 흐흐
17/10/01 20:19
수정 아이콘
이해 안 간다고 고개 절레절레 하면서 기분이 유쾌하지 않을 정도로 뭐라고 하는 사람은, 그냥 그 사람이 무례하고 생각이 부족한 거니까 무시하시면 됩니다. 뭐 하드게이머들도 다른 분야 취미 이해 못하는 경우야 부지기수 일텐데, 그냥 이해를 하고 말고는 본인 자유죠.
근데 남 취미에 대해 이래라 저래라 오지랖 떨면 그때부터는 문제가 되는 거구요.
막장디아돌이
17/10/01 20:22
수정 아이콘
좀 더 일반적인 대답을 들으시려면 피지알 말고 다른 커뮤니티로. 이 곳은 게임이나 게이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알기엔 오히려 너무 쏠린 곳이라
bemanner
17/10/01 20:28
수정 아이콘
피지알러도 리니지m에 몇천 쓰는 얘기 나오면 비웃고 딱해하잖아요? 일반인이 보기엔 모바일게임 몇만원에서 몇십먼원 쓰는게 그래보일 수 있죠.
나이스후니
17/10/01 20:32
수정 아이콘
저도 좋아하는 게임은 그정도는 쓰는데, 안좋게 보는 사람이 많이 있죠. 그렇게 따지면 술좋아하는 사람은 돈들여서 건강 망치는건데, 그냥 그게 맘에 안드는거에요. 근데 요즘들어서는 모바일게임보다는 플스쪽으로 눈이 더 돌아가네요. 모바일 게임이 해가갈수록 일부 빼고는 확률에 수명이 짧아지는 느낌이 들어요... 올 초만 해도 리니지 레볼루션에 진짜 주위 겜좋아하는 사람들끼리 모여서 그 얘기만 하던게 3~4달 불타오르고 하나둘 접더군요.
미네랄배달
17/10/01 20:34
수정 아이콘
한달에 저정도면 괜찮죠.
몇십, 몇백만원 퍼붓는것도 아니고.
지나가다...
17/10/01 20:38
수정 아이콘
저는 안 하는데 대신 그 돈을 뮤지컬과 패키지 게임에 쏟아붓는지라 남한테 뭐라고 말할 처지가 아닙니다. ( '-')
공승연
17/10/01 20:42
수정 아이콘
게임 커뮤니티니깐 여기선 왠만하면 이해할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스타를 하던 시기에는 무과금을 원칙으로 게임을 즐겼었는데 롤에서 스킨을 사면서 부터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자기가 감당이 되는 선에서의 과금은 게임을 더 즐겁게 할 수 있게 되고 필요하다면 꼭 해야한다고요.
정말 글쓴분 말씀대로 게임에 조금 돈 쓰는거랑 술이나 다른 취미로 돈쓰는거랑 다른지도 모르겠고
사람들이 피시방을 간다고 돈을쓰는거나 게임에 돈을 쓰는거나 다른걸 모르겠습니다.
보통 저런걸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의 심리는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도 있지만 공짜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심리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임을 처음 접할때 무료게임을 많이 접하고 게임을 한심하게 생각하니 게임에 돈쓰고 하는걸 이해못하는 사람들이 많은거 같아요.
17/10/01 20:45
수정 아이콘
이해 못 하는 건 아닌데 저는 안 할 거 같아요.
게임을 꾸준히 사는데 패키지가 없으면 뭔가 허전해서 DL도 안 사고 패키지 사는데 모바게 과금은 손에 잡히는 느낌이 전혀 없어서요..
정성남자
17/10/01 20:53
수정 아이콘
가성비의 문제 아닐까요?
저도 비디오 게임 좋아하고 CD게임 좋아하지만
퀄리티가 훨씬 떨어지는 핸드폰 게임이 돈은 더 많이 결제하게되는걸 납득 못하겠더라고요
마파두부
17/10/01 20:54
수정 아이콘
저는 몇백 몇천씩 퍼붓는 사람들 이해가 안되는게 아니고 그렇게 지를 수 있는 능력이 부럽습니다..
17/10/01 20:54
수정 아이콘
옳고 그름을 떠나서 겜사이트면 답이 뻔하지 않을까...... 이러는 저도 가차겜에 몇백 쓰는건 아직도 이해 못해요
17/10/01 20:55
수정 아이콘
저는 폰겜은 무과금으로 하지만 과금하는 분들 당연히 이해 가죠.
한길순례자
17/10/01 21:18
수정 아이콘
스팀 게임 150여개 있고, 폰게임에 정기적으로 과금도 하는데,
폰게임에 과금을 더 하게 되는 이유는 접근도인 거 같습니다.
쉽게 말해 폰 게임을 더 많이 해요.
출퇴근길에 할수도 있고 자기전 침대에서도 할 수 있죠.
컴퓨터 게임에 과금 및 결제가 적은 이유엔 컴퓨터 앞에서 밖에 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가 큰거 같습니다.
(물론 스팀 세일 기간엔 예외없...)
17/10/01 21:23
수정 아이콘
월급 실 수령액의 10프로 이상을 때려박는건 좀 아깝지 않나... 마 그리 생각합니다.
싸구려신사
17/10/01 21:24
수정 아이콘
저는 전혀 이해가 되질않는군요.. 현질을 한달에 10정도나 한다라...
30세남
17/10/01 21:41
수정 아이콘
보통 게임하는데 돈쓰는게아깝다고 주위에서 말하는분들보면 술마시고 룸가는데 100이상씩은 거뜬히쓰는분들이더군요
커피값이 5천원하고 담배가 4천원하는판에 그거보다 더 경제적이고 건강한데말이죠
본인이 돈쓰는데 남이 왈가왈부하는게 웃긴거죠.
제가보기엔 그냥 열폭입니다. 부러워서그러는거에요
그란디아
17/10/01 22:18
수정 아이콘
당연히 본인 취미생활 즐기시는데에 돈 조금 쓰는건데 문제 될건 없어 보여요. 하지만 여자친구분이 네일하고 머리하는거하고 비교하면 안되지요....
치킨이 먹고 싶다
17/10/01 22:37
수정 아이콘
과금이 아니라 게임하는걸로 뭐라하는데요 뭐
하스스톤 카드샀다고 하면 기절합니다 아주 크크
아스날
17/10/01 22:41
수정 아이콘
취미 생활에 월10 쓰는거 그다지 많아보이지 않아요..
지극히 정상입니다.
17/10/01 23:36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인간이란게 남을 이해하는 동물자체가 아니죠
이해하는 척만 할 뿐
17/10/02 00:03
수정 아이콘
과금하면 일주일동안 할껄 1분만에 합니다
-돈 증말 많이 쓴 과금러-
Fanatic[Jin]
17/10/02 00:08
수정 아이콘
그렇게 많이 지를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이 부럽습니다...
배고픈유학생
17/10/02 00:34
수정 아이콘
플스/스팀 소위 고티작품도 6만원에 내 돈내고 재미있게 한다는 생각드는데
온라인과금은 그런거 없이 단순하게 템뽑기 수준이라서 모바일 겜은 아예 안합니다.

근데 이건 제 기준이고, 사람마다 다른 기준은 있겠죠.
17/10/02 08:08
수정 아이콘
과금할만한 경제적 여유가 있으면 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나이들수록 남들 눈치 덜 보게 되고 눈치주는 사람은 안만나면 그만..
17/10/02 08:12
수정 아이콘
10을 하든 100을 하든 신경 안 씁니다.
본인 취미 생활인데요. 뭘.

여건이 된다면 그렇게 해도 상관 없죠.
빚까지 져가면서 그렇게 하는 거라면 모를까.
17/10/02 08:37
수정 아이콘
뭘해도 월10은 이해가 안가니 뭐니 할 정도가 아니죠. 잘벌면 그 이상도 마찬가지고..
헤나투
17/10/02 09:28
수정 아이콘
pgr도 그렇고 주위에서도 겜과금에 대해서는 아직 많이 보수적이죠.
17/10/02 13:0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게임을 취미로 하는거나 스노보드 같은 것을 취미로 하는거나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둘 다 지금의 기분 전환 용도지 나중에 돌아보면 남는게 없는 것은 같죠.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게임만 이해 못하고 스노보드를 취미라하면 오오 하면서 놀라고 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9813 [질문] 컴퓨터에 스피커를 추가 설치하면 기존 스피커에서도 소리가 같이 나오나요? [1] 사장2152 17/10/02 2152
109812 [질문] 괜찮은 온라인 음반매장 추천받습니다!! [4] AeonBlast2608 17/10/02 2608
109811 [질문] 드래곤볼 만화책 마인부우전 마지막 부분질문입니다. [9] 공부맨3957 17/10/02 3957
109810 [질문] 삼국지 13pk 위명을 할려면 어덯게 해야 하나요?? [1] 라캉~7038 17/10/02 7038
109809 [질문] 귀에서 이상한 소리가 납니다. [4] 예인6587 17/10/02 6587
109808 [질문] 퇴직연금 DC형이면 중간정산이 손해인가요 이익인가요? [4] eosdtghjl2907 17/10/02 2907
109807 [질문] 경력증명서 질문입니다 [1] 마제스티1882 17/10/01 1882
109806 [질문] 플스게임은 어떤개념인가요? [8] 공부맨3435 17/10/01 3435
109805 [질문] 비전공자중에서 프로그래밍 하시는 분들 질문드립니다 [4] 칼 오베1880 17/10/01 1880
109804 [질문] 게임을 찾습니다. [4] 삭제됨1814 17/10/01 1814
109803 [질문] 오늘 양양고속도로에서 오토바이를 봤습니다. [9] 하자3341 17/10/01 3341
109802 [질문] 좋아하는 인생 캐릭터가 있나요? [25] 세로토닌2398 17/10/01 2398
109801 [질문] 이번 연휴, 딱 일주일 동안만 할 게임 추천해주신다면 뭐가 있을까요? [13] 삭제됨2380 17/10/01 2380
109800 [질문] 스타1 실행과 로그인 질문입니다. [1] 삭제됨1505 17/10/01 1505
109799 [질문] 스타1 맵핵 여부 부탁드립니다(래더 2500점대임) [8] 틀림과 다름4596 17/10/01 4596
109797 [질문] 요즘에 휴대폰 살때 1년 약정도 가능한가요? [1] 교강용1930 17/10/01 1930
109796 [질문] 오늘 런닝맨에 지석진씨 옷 브랜드 아시는 분 계신가요? 고기반찬주세요1595 17/10/01 1595
109795 [질문] 노래 찾습니다 [1] 사이언스뱃살1603 17/10/01 1603
109794 [질문] 복합기 수리 or 새로 구매 Blazer's Edge1969 17/10/01 1969
109793 [질문] 모바일게임 과금하면 이해가 안 가나요? [45] 카스트로폴리스5050 17/10/01 5050
109792 [질문] v20나 v30 쓰시는 분을 음악 어디서 듣나요?? [7] 삭제됨3127 17/10/01 3127
109790 [질문] 밤새고 다음날 좀 멀쩡히 활동할 수 있는 방법 있나요? [10] 치킨이 먹고 싶다27133 17/10/01 27133
109789 [질문] 삼국지13PK 한글판 구매 질문입니다 [5] 소시[탱구]3021 17/10/01 30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