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8/28 22:16
육식동물이지만 취향때문에 채식만 하는 판다라는 동물은 다른 육식동물들과 달리 뒹굴거리기만 해도 먹고 사는...
위는 농담이고, 육식 동물이 초식 동물을 사냥하면 가장 먼저 먹는 부위가 내장입니다. 내장에서 소화된 풀이 당 형태로 남아있죠. 또 윗 답변처럼 피에도 당이 있고요. 근데 우리가 먹는 고기는 일단 내장 같은 경우 유통단계에서 가장 빨리 상하기 때문에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빡빡 씻어버리고요. 피도 고기를 상하게 하는 주범이니깐 도축과정에서 빼버립니다. 즉, 같은 고기를 먹더라도 사람은 고기만 먹어선 당이 부족해져요. 딱히 농업식품의 효과가 과대평가 되는건 아닙니다.
17/08/28 22:23
그리고 육식동물이 육식을 하니까, 지능이 초식동물보다 높으니까-
라는 이유로 저탄수식이요법이 문제될 게 없을 것 같다는 발상은 좀 당황스럽네요-_-;
17/08/28 22:32
먹이를 직접 사냥해서 생으로 먹는 육식 동물과 피를 다 빼낸 고기를 익혀 먹는 인간의 직접 비교는 무의미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육식 동물이 초식 동물에 비해 지능이 높은 이유는 육식 때문이 아니라 먹이를 사냥하기 위해 하는 학습 때문입니다.
17/08/28 22:46
그리고... 반대로 초식동물들은 풀만 먹는데 근육이 장난 아니죠. 그런면에서 인간과 대사방식의 차이가 있음을 어느정도 깔고 들어가야하지 않을까요??
17/08/28 22:50
초식동물인 고릴라나 코끼리보다 지능이 높은 육식동물도 드뭅니다.
인간은 탄수화물을 먹는 환경에서 진화했기 때문에 탄수화물을 섭취할 수 있어야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17/08/28 23:37
육식 동물들이 저탄고지를 한다고 치고, 또 지능이 초식동물보다 높다 치고, 그래서 인간도 저탄고지가 괜찮을 거다라는 결론이 나온다는 게 뭔가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으신가요?
물론 앞의 전제들도 맞다고 볼 수 없고, 제가 부족한 지식으로 저탄고지에 대한 이러쿵저러쿵 확신을 담은 평가를 할 수는 없겠습니다만.
17/08/29 08:50
고탄수화물식이의 가장 큰 장점은 높은 인구부양력인데
저탄수식이가 건강에 좋다는 결론이 나온다면 세계는 난리가 날겁니다. 인구구조가 재편될만한 일들이 일어나겠죠.
17/08/29 09:03
그런 얘기가 있죠. 인간은 잡식 동물이지만, 아무 음식물이든 먹을 수 있어서 잡식이 아니고, 다양한 음식을 조금씩 먹어야 하는 잡식동물이라고요. 선사시대의 수렵채집인이 곡물이 주식이었던 농경인보다 체격도 좋고 생활수준도 괜찮았다는 얘기가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