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8/08 12:59:46
Name 그리드
Subject [질문] 전세 이사 관련 질문입니다.
현재 살고 있는 전세집에서 이사를 하려고 하는데요
애초 계약은 1년이었는데 묵시로 1년 연장되어 총 1년 6개월 가량 살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금 넓은 집으로 이사를 가려고 하는데 (원룸에서 투룸정도로..) 부동산에 물어보니 이사가겠다고 하고 3개월후에는 보증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집주인과 연락했을때도 3개월 후에 보증금을 준다고는 하시는데 그전에 집구경이 가능하게끔 해주면 좋겠다고 하시고요.

3개월전에 제가 이사가서 전세계약을 하게되면 주소지는 어떻게 해야하고 확정일자? 받는거는 어떻게 진행이 되어야 하는건지..
또 집 구경은 언제부터 시켜줄 의무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제가 보통 일이 늦게끝나고 주말에는 본가에 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집구경 시켜드리기가 쉽지 않고, 집에 고양이가 있어서 저 없이 구경을 하시는 건 조금 꺼려져서요..(도망가거나 하는 문제때문에..)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8/08 13:05
수정 아이콘
1. 3개월전에 제가 이사가서 전세계약을 하게되면 주소지는 어떻게 해야하고 확정일자? 받는거
==> (기존 전세 보증금을 받지 않아도 된다면)지금이라도 전세계약하고 이사가셔서
당일 신규 주소지로 전입신고 후 확정일자 받아도 상관없습니다.

2. 집구경에 대한 의무는 없습니다.
단지 다음번 세입자에게 집을 보여주고 해야 다음 사람이 빨리 들어오겠죠?
전세 보증금을 빨리 받고 싶으시면 집을 보러온 새로운 세입자분에게 깨끗한 집을 보여주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세입자 구하기 힘드실꺼에요..
다음 세입자분 구해질때까지는 가급적 주말엔 집에 계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전세보증금을 빨리 받고자 하시면 최대한 세입자들이 많이 오게 하는게 좋겠져..

보통은 다음 세입자분에게 받은 보증금을 그대로 전해주는 개념이라....
세입자 못구해서 원하는 날짜에 이사 못가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우리집이 언제나가는지가 젤 중요하고 해당 날짜에 맞춰 새로 이사가실 집을 구하시는거구요..
거기서 하루이틀정도는 유도리 있게 조정하셔야하구요...
그리드
17/08/08 13:24
수정 아이콘
신규 주소지로 전입신고, 확정일자를 받아도 기존 보증금에 대한 권리 증거? 증서는 남아있는 건가요? 계약서만 있으면 되는건가요?
처음 전세구할때 전입신고를 빨리하라고 하셔서요..
iAndroid
17/08/08 13:08
수정 아이콘
묵시적 연장은 최소 3개월이 지나야지만 계약을 정식으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개월전에 이사가면 합의된 일정보다 일찍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부분 비용부담을 생각하셔야 할 겁니다.
보통은 집주인의 복비를 대신 내주거나, 아니면 3개월 중 남은 기간의 월세를 내 주는 것으로 마무리를 하죠.
뭐 집주인이 맘씨 좋거나 협의만 잘 되면 아무것도 안내고 그냥 마무리할수도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집 구경을 시켜줄 의무는 없습니다.
하지만 집주인과의 사이가 안좋아지고 나갈 때 많은 부분에서 애로사항이 꽃피겠죠.
원만한 퇴거를 위해서는 협조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드
17/08/08 13:25
수정 아이콘
미리 이사를 가고 보증금은 3개월 후에 받는다 해도 비용부담을 하는건가요? 현재 전세에 월세는 없어서 복비를 내준다고 하면 대략 얼마정도인가요?
iAndroid
17/08/08 13:58
수정 아이콘
보증금은 3개월 후에 받는다면야 집주인이 뭐라 그러진 않겠습니다만... 문제는 실거주를 하지 않음으로써 대항력이 상실된다는 거죠.
대항력이 있건 없건 크게 신경쓰지 않으신다면야 이사가고 보증금을 3개월 후에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복비는 부동산이 받고 전세금액에 따라서 차이가 나니 부동산에게 물어보심 될 것 같구요.
그리드
17/08/08 15:0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6897 [질문] iPad에서 세벌식 사용하기? [1] 브라질너트7702 17/08/08 7702
106896 [질문] 전세 이사 관련 질문입니다. [6] 그리드1560 17/08/08 1560
106895 [질문] 노트북 결정 장애 좀 도와주세요. 그램 대 올웨이즈 입니다. [17] 이청준2492 17/08/08 2492
106894 [질문] 사용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한 것 같습니다 [8] memo3016 17/08/08 3016
106893 [질문] 컴잘알 님들 도와주세여.. 장미베개4581 17/08/08 4581
106892 [질문] 내년에 집을 구입할까 하는데, 거치기간 있는 대출 상품이 있을까요? [4] 이쥴레이2319 17/08/08 2319
106891 [질문] 무릎에 좋은 운동 추천부탁드립니다. [6] aSlLeR2183 17/08/08 2183
106890 [질문] 일주일전 꾼 꿈이 지금도 저를 너무 괴롭힙니다. [3] 삭제됨2957 17/08/08 2957
106889 [질문] 저희집 강아지 질문드려요 [3] 잠이오냐지금1661 17/08/08 1661
106888 [질문] 버피만 해도 체력이 올라갈까요? [5] 카별3613 17/08/08 3613
106887 [질문] 컴퓨터를 사서 집에 컴터가 2대가 됬는데 인터넷은 어떻게 하나요? [6] 레너블2381 17/08/08 2381
106886 [질문] 비행기티켓 가격 스페인 왕복 130만원 수준이면, 적절한가용? [8] LG.33.박용택2984 17/08/08 2984
106885 [질문] 요즘 개콘 너무 노잼아닌가요? [17] 막나가자4925 17/08/08 4925
106884 [질문] [if]김택용 선수에 대한 질문 [11] cs2631 17/08/08 2631
106883 [질문] 셀프주유소에서 IC카드.. [2] Outstanding1569 17/08/08 1569
106882 [질문] 스타1 apm 얼마 정도 나오시나요?? [35] 계란말이5443 17/08/08 5443
106880 [질문] 이번 부동산 정책 지방 1주택자는 큰 영향없겠죠? [2] YAN2156 17/08/08 2156
106879 [질문] 와이파이 접속 방법 질문입니다. [1] 1llionaire994 17/08/08 994
106878 [질문]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관련 질문드립니다. [5] 하드한인생3181 17/08/08 3181
106877 [질문] 혹시 카카오뱅크 대출이나 마통 막혔나요? [12] 이혜리4640 17/08/08 4640
106876 [질문] 롤챔스에서 전용준 캐스터를 어떻게생각하시나요? [46] 하연수5076 17/08/08 5076
106875 [질문] 하드디스크 배드섹터 관련 질문 [2] 후치네드발1284 17/08/08 1284
106874 [질문] 전쟁이 나서 아파트가 파괴되면 아파트의 소유권자는 어떻게 되나요? [12] 고양이맛다시다3472 17/08/08 34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