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27 21:36
음 제가 미국에 살때는 거의 비슷한 뜻으로 썼었는데요. 저도 약간 해깔려서 찾아보니 lease는 빌려주다 빌리다 둘다 되고 음 rent도 똑같네요;;
보통 I am renting this house <- 내가 집을 빌려서 산다 이런거고 만약에 집을 내놓는다 하면 I am putting this house on rent 이렇게 쓰겠죠? 사전적인 의미는 거의 비슷한데 제가 보기에는 두 단어가 존재하는 이유는 좀 더 technical하게 들어갔을때 의미가 차이 나는거 같아요. 예) lease는 보통 1년 이상에 확정된 기간동안 임대; rent는 보통 1년 미만동안 짧은 기간동안 이용한다. 이런것때문에 두 단어가 존재하는거 같아요
17/07/27 22:10
미국에서 월세 구할때 리스는 기간을 정해놓고, 계약하는걸 뜻하고,
렌트는 기간이 없는 월세 계약하는걸 뜻했던걸로 기억합니다. 렌트는 방 빼기 30일 전에 노티스 내야하는 조건으로 월세 계약하고, 리스는 기본 1년/6개월 이런식으로 부동산 계약을 하는거 일거에요. 그리고 I rented a house to the tenant. 는 내가 집을 그 테넌트에게 임대했다, I rented a house from landlord. 내가 집을 임대인한테 임차받다. 둘다 되는거 같네요. 목적어에 따라서 임대하다, 임차하다로 둘다 쓰일수 있는거 같네요. (쓰다보니 한글이 더 헷갈리네요 ㅠㅠ. 구어체에서 임차하다라는 단어를 한국인들이 잘 안쓰고 대부분 임대하다, 임대받았다로 임대를 많이 쓰다보니..) 리스, 렌트 차이점은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하면 더 자세하게 잘 나오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