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04 20:07
1. 경쟁력은 있습니다.
2. 배우긴 졸*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라 어렵습니다.
17/07/04 20:09
아마 피지알에 수능 50점 정도는 넘치실거고 저도 초급까진 근성으로 대학교에서 들어봤는데, 그냥 스와힐리어급 활용도라 비추하겠습니다. 경쟁력이 없는 건 아닌데 그시간에 중어 일어 두개 익힐듯요.
17/07/04 21:22
경쟁력은 있는데 어디에 써먹을 수 있을 지 써먹을 곳이 많아보이진 않네요. 음악이나 드라마 등 컨텐츠가 있는 것도 아니라 오랫동안 흥미 붙이기도 어려워 보이구요.
17/07/04 21:50
뭐든 하나 제대로 하면 무조건 좋긴 한데, 다른 일 하면서 어중이떠중이로 할 거면 영어 하나 잘하는게 낫다고 봐요. 언어 공부 꾸준히 하는게 정말 쉽지 않더군요.
17/07/05 17:25
아랍어 배우면 중동 취업시에는 확실히 경쟁력이 있으실것 같긴 한데 굉장히 배우기 어려운 언어입니다. 일단, 아랍어는 문어체(푸사 아랍어)와 구어체의 언어체계가 크게 달라서 거의 두 언어를 배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느끼기에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 이상의 차이같아요). 아랍어 구어체도 지역별로 차이가 굉장히 큰데,이집트방언과 레반틴방언 (요르단 등에서 사용), 걸프방언, 사우디방언, 모로코방언등등 방언들이 어마어마하게 많고 차이도 꽤 큽니다. 한국에서는 푸사랑(문어체) 그나마 가장 비슷한 레반틴방언과 사용자수가 많은 이집트방언을 주로 가르치더라구요. 걸프지역 (UAE, 카타르)은 거의 영어가 공용어이다시피 해서 요르단이나 이집트 관련한 일 하셔야 아랍어 구사능력이 진가를 발휘하실거에요. 참고로 요즘 아랍권에서 한류가 장난아니기도 하고 석유는 우리세대까지는 확실히 계속 사용할테니, 장기적으로 경쟁력은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