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01 11:13
일단 문대통령의 방미가 국빈방문이 아니고 공식방문입니다.
그러니 관련 의전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그것보다는 덜합니다 더 자세한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28/0200000000AKR20170628078000001.HTML 요기요
17/07/01 11:24
통상 외국정상의 방미 형식은 국빈방문(State Visit), 공식방문(Official Visit), 공식 실무방문(Official Working Visit), 실무방문(Working Visit) 등으로 나뉜다.
뭐가 엄청 많네요 ㅡㅡ;;;;;;; 저걸 정하는건 합의로 정하는건가요, 맞이하는쪽에서 정하는건가요?
17/07/01 11:33
국내언론으로는 청와대측에서 요청한걸로 나옵니다
국빈방문은 미국측에서 요구하는 공식행사에 더 참여해야하느라 움직임에 제약을 받는다고 해서요
17/07/01 11:18
차종선택에 관한 부분이나 공식행사 의전에 관한경우는 너무도 디테일하고 전문적인 영역이라 잘 모르겠고
1. 이반카는 미국에서도 아무런 직책을 달지않고 외교에 관여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남편의 이권, 자신이 운영하는 브랜에 대한 영업? 을 해서 여론이 좋지 않다고 합니다. 국내 언론에서 한미정상회담 앞두고 한 방송에서 4월에 미중 정상회담 과정중 중국 정부로부터 자신의 이름을 딴 패션 브랜드 48건에 대한 상표권을 승인 받은것을 예시로 얘기해주더라구요.
17/07/01 11:26
대통령이 가서 천대받고 설설 기었더라도 결과물 잘나오면 잘한 외교고
대통령이 가서 환대받고 대접받아도 결과물 안나오면 망한 외교죠. 결과물을 기다릴 때라고 생각합니다.
17/07/01 11:27
1,2,3,4,5 등의 비공식적 시그널은 은근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상대국가가 러시아 중국 북한 등과 같이 지도자의 의중이 국제관계 및 의전에 정확히 투사되는 나라인 경우]에는 말이죠... 미국이 그런 나라였다면, 트럼프가 개껌 씹듯이 씹어대는 독일은 준 전시상태였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