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01 00:26
독학 하시려면 이 글이 도움이 될런지 모르겠네요.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9656839 아니면 https://pgr21.com/pb/pb.php?id=freedom&no=64671 그리고 경제학 박사 생각하는 제 지인은 수리가형과 미적분 한번 훑고 1학년때 이과애들이 필수교양으로 듣는 미적분 듣더라구요.
17/07/01 00:32
미적분이나 선형대수나 대학교재로 시작해도 돼요. 스튜어트야 워낙 잘 나온책이고, 고교 행렬은 뭐 굳이... 선형대수할때 필요하진 않아서요. 벡터에 대한 개념이 좀 더 정리가 되어있으면 좋긴하겠네요. 공업수학은 제가 전자과라 패스하겠습니다.
17/07/01 01:03
저도 고등학교 이과부분 수학이 굳이 필요할까라는 생각입니다. 어차피 미적분은 미적분학 배우면서 다시 처음부터 다 가르쳐주고, 선형대수는 더더욱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공업수학은 활용이 주된 목적이라서 조금 나중에 보시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책은 잘 모르겠네요.
17/07/01 02:28
제 생각에 고교수학은 시간낭비에요. 스튜어트가 쉽게 잘 써진 책이라 지금 상태에서 혼자 공부해도 문제없을겁니다. 다만 뒷부분의 벡터 칼큘러스는 문제를 풀면서도 내가 뭘 하고있는지 감이 안올텐데, 물리를 접해본 적이 없으면 당연한 현상이니 그냥 적당히 받아들이세요.
선형대수는 공대에서 쓰는 교재를 알아보심이.. 행렬 위주로 다루는 책들 보시길 추천합니다. 정리와 증명이 많고 행렬이 잘 안보인다 싶으면 수학과 교재이니 굳이 건들지 않는 것이 좋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