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5/17 23:54
LTE나 3G 말씀하시는 거죠?
요즘에는 아마도 공인 IP를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NAT에 따라 그럴수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두 기기가 같은 로컬 네트워크에 위치하면 둘의 IP는 서로 달라야 합니다. 하지만 바깥에서 보는 공인 IP는 같게 잡힙니다. 반대로 두 기기가 다른 로컬 네트워크에 위치하면 둘의 IP는 같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집과 옆집이 공유기를 따로 쓰면 우리집 IP 192.168.0.100과 옆집 IP 192.168.0.100이 전혀 관계가 없으므로 공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러나 바깥에서 보이는 공인 IP는 달라야 합니다. 테더링은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로컬 네트워크"를 생성한 후 노트북을 로컬 네트워크에 붙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두 기기가 가지는 IP 주소는 다르지만, 외부에서 보기에는 같은 IP가 잡힙니다.
17/05/18 00:00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예, LTE나 3G가 맞습니다. 공인 IP로 한정하여 질문을 드리면, 같은 시간에 다른 로컬 네트워크에 위치하면 IP가 다르게 잡힌다고 이해했습니다~, 그 로컬 네트워크 기준이라는 것이 통신사의 3G나 LTE망 기준으로 하여 결국 비슷한 지역 내지 기지국 기준이라고 보면 될런지요??
17/05/18 00:02
예, 공인 IP로 한정하면 아마도 그렇겠지요? 정확한 분배 기작은 통신사만 알고 있겠지만, 아마도 인접한 기지국이나 지역일 경우 같은 망을 사용할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17/05/18 00:00
그리고 MAC의 경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안에서만 의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트북-스마트폰) (스마트폰-공유기) (공유기-외부) 뭐 이런 식으로요. 그러므로 어느 구간에서 관측하냐에 따라 다릅니다.
17/05/17 23:57
잘은 모르지만
1. cell이 다르다면(서비스 지역이 다르다면) 같은 시간에 똑같은 아이피가 부여될 수도 있을거에요. 2. 테더링이 된 내부망에선 스마트폰이 부여한 ip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거고, 외부망으로 나갈 때는 ip주소는 핸드폰의 주소로 잡힐거에요. mac은 당연히 노트북걸로...
17/05/17 23:57
복잡하게 설명 드리면 넘 길어 질꺼 같고
일단 IP 는 통신에서 사용하는 식별자 입니다. 같은 시간에 같은 아이피를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테더링을 사용할 경우 피씨와 핸드폰은 모두 동일 IP, MAC 주소로 잡힙니다. 노트북 <-> 핸드폰 , 핸드폰 <-> 외부 이렇게 따로 통신망이 구성된다고 생각 하시면 편하실 겁니다.
17/05/18 01:11
내부네트워크가 서로 다르면 동일한 IP가 다른 기기에서 잡히기도 하고(주로 192.x.x.x), LTE/3G망에서는 현재 IPv4를 비교하면 동일한 IP가 전세계 다른 어딘가에 있을수도 있습니다. 각 핸드폰 등에 연결하기 위한 IPv4 아이피 갯수가 모자라서 다른 지역의 IP를 각 통신사의 사설 네트워크에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한 IP를 칭하는 용어가 bogon ip였나 가물가물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