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5/12 00:24
정안군이라는 왕자시절 명칭이 유명하지 않아서 그냥 본명으로 방원이 방원이하다보니 방원이가 된 것 같네요.
세종같은 경우 충녕대군이 워낙 유명하고 세조도 수양대군이 유명하죠.
17/05/12 00:25
윗분 말대로 왕이 되기 전부터 이름을 알렸으니까 그렇고, 여담으로 보통 일반 신분에서 왕이 되면 개명을 하는데 태종은 왕이 되서도 이름을 바꾸지 않았죠. 왕의 이름이나 부모의 이름은 함부로 부르지 못했는데, 이를 피휘(휘는 이름, 피는 피한다)라고 하는데 창업주나 세자 아닌 경우로 왕이 될 경우 보통 흔히 쓰이지 않는 한자(벽자)로 이름을 바꿉니다. 그런데 태종은 그냥 이방원으로 개명하지 않았죠.
17/05/12 00:35
이게 중국쪽도 비슷한면이 많지 않나요.
창업군주의 잘나가는 아들이고 정통으로 물려받지 못해서 정변 일으키고..... 당태종 이세민은 창업군주보다 이름이 더 유명한거 같은데...... 그리고 명 영락제인 연왕 주체도 유명하고요.이쪽이야 우리나라 세조랑 많이 비슷하지만 말이죠. 모 사극영향도 있을거 같고... 아무래도 정변 일으키니 창업군주 시절부터 비중있는 역할로 이름이 나왓을테니깐요.
17/05/12 00:36
정안군이나 태종, 상왕보다 이방원으로서의 삶이 더 길었고, 두 차례의 왕자의 난을 기술할 때 태종보다는 이방과 이방간 이방번 이방석과 맞춰 이방원으로 하는 게 통일성도 있어 보이기 때문 아닐까요.
17/05/12 00:37
연예인으로 치면 세종 이후는 쉽게 말해 예명으로 데뷔한 셈이고 이방원은 실명으로 데뷔해서 나중에 예명을 단 거라서 그런 거 아닐까요 크크
17/05/12 00:46
사실 묘호와 휘(이름)이 병칭되어 부르는 경우는 유일하게 태종 이방원 같습니다. 태조 이성계도 사실 휘는 성계가 아니죠.(단(旦)이라고 하네요) 이방원만이 왕이 된 후의 이름, 즉 휘도 바꾸지 않았으니까요. 묘호는 훙, 즉 죽은 후에 올린 이름이며, 임금의 이름을 함부로 부를 수 없었습니다. 그러니 태종 이방원도 조선왕조가 멸망한 후에나 부를 수 있었겠죠. 임금이 살아있을 때야 주상, 혹은 상 등으로 불렸을 테고, 죽은 후에는 묘호나 시호로 불렸겠죠.(조심스럽지만 시호도 명이 내린 두 글자의 시호로 더 불렸을 것 같고요)
17/05/12 08:55
시호를 받은 왕으로서의 행적보다 왕이 되기 이전의 행적이 워낙에 유명하다 보니 그런게 아닌가 싶네요.
비슷한 예로 살아 있을때의 행적이 더 유명한 경우 시호보다 생전 호칭이 더 자주 쓰이는 경우는 꽤 있죠. 소혜왕후보다 인수대비로 불린다던지.. 홍무제 보다 주원장으로 불린다던지..
17/05/12 09:37
학교시절 시조부분 배울때 단심가가 워낙 유명하고, 그 답가 하여가는 따라서 나올정도니 당연하다고 봅니다.
정몽주 단심가, 이방원 하여가로 배우다보니 이방원을 알게 됐고(그땐 이방원이 왕인 줄 모름... 선생님이 설명은 했겠으나 단순 암기로 이방원만 외움...) 용의눈물과 그 외 사극에서 태종 이방원을 많이 접하다보니 그래 된듯요.(그 용의눈물 이방원과, 정도전에서의 이성계 아저씨가 워낙 연기가 뛰어나다보니, 모를래야 모를수가...) 그리고 세종도 세종 관련 드라마가 많이 나오다보니, 이도가 세종이름인건 많이 알듯싶네요.
17/05/12 12:46
이방원은 려말선초에 활약했던 인물입니다.
그냥 왕자1 정도가 아니라.. 태어날때는 그냥 고려군벌의 아들로 태어나 아버지가 국가를 세우는데 활약하고(정몽주 살해..등) 그 뒤에 다시 왕자의난을 일으켜 기어이 왕에 오른 인물이죠. 중국사에 가장 비슷한 인물을 꼽으면 당태종 이세민이 있죠. 이세민도 실질적 건국자로 꼽히지만, 실제 당 1대황제는 당고조 이연이죠. 둘다 공통점으로 피휘따윈 신경안쓴점도.. 이세민 피휘의 영향 절세가인 -> 절대가인 관세음보살 -> 관음보살
17/05/12 22:52
뭐, 세종께서도 과거시험을 봤다면 무난하게 합격하지 않으셨을가 싶지만... 아쉽게도 증이 없네요..
(역대 왕들은 시험에 합격한 인재들에게서 지식을 얻는데, 이 분은 아예 과거 합격한 인재들을 대놓고 가르치는 수준이라...)
17/05/13 02:08
그렇죠 ..크크 이름이 기억안나는데 하급관리인가..? 몰래 궁궐 금지 지역 갔다 세종 만나서, 세종이 춘추인가..? 읽어보라고 해서 달달 외우니까 3계급인가 특진 시켰죠 ...춘추 읊어보라고 그걸 다 읊는 신하나 그게 정확한지 안정확한지 토씨 하나 안틀리고 기억하는 임금이나 ...
17/05/13 07:31
본격적인 커리어가 평민에서 시작한 왕이어서 이름이 잘 알려진 게 아닐까요? 왕건이나 이성계도 평민 출신 왕이어서 이름이 알려진 거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