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5/11 09:31
전 샤오미 미에어2사용하고 있습니다만
공기청정기는 풍량과 필터등급 두가지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헤파필터 등급 12이상(13권장)인지 확인하시고 풍량이 얼마나 되지는 스펙비교해보시면 좋은 청청기 구하실거 같습니다. 소음은 엘지가 좀더 조용하다고 들었습니다.
17/05/11 09:33
1. 기계는 완전 잘 모르고, 간단하 필터 교체도 귀찮다 -> 렌탈
딱히 이런게 아니라면 그냥 인터넷으로 구매하시고 정기적으로 필터만 사서 직접 교환하시면 됩니다. 2. 비싼 제품들은 대부분 취침모드나 바람세기가 조절이 다 있어서, 방에서 약하게 틀어놓으면 미약한 바람소리만 살짝 들릴정도입니다. 사려는 제품 후기를 보면 어느정도 판단이 되긴 한데 엄청 신경쓸만큼은 아닙니다. 당연히 강풍틀면 선풍기 수준 소리가 나구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하루종일 돌려봐야 별 소용이 없습니다. 환기를 적당히 시켜주고 그후에 창문닫고 몇시간 돌리는 정도로 생각하는게 좋죠. 요리/청소중엔 안돌리는게 필터수명에 좋구요. 3. 성능을 순수하게 미세먼지를 잘 없애줄것 같다 라는것에 성능 기준을 두면 20~100만원 사이에선 다 비슷비슷합니다. 100만원대로 가면 블루에어나 IQ에어같은 제품은 성능이 좀더 좋긴 하지만 가격부담이 좀 있죠. 디자인/편의성도 같이 본다면 그냥 취향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공기청정기 = 선풍기 + 미세먼지걸러주는 필터
17/05/11 09:50
저도 pgr분들 조언 덕분에 삼성 블루스카이 사서 배송 기다리는 중인데 요 며칠은 또 공기가 좋네요. 설마 또 막차탄건가.... ㅠㅠ
국내 제품 중에서 헤파필터 등급 13은 삼성이랑 위닉스밖에 없으니까 둘 중에 하나 사시면 될 거 같습니다.
17/05/11 10:00
저도 고민중입니다. 저는 이왕이면 LG꺼를 쓰려고 했는데 엘지 퓨리케어 공기청정기에는 헤파필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기능은 LG게 좋은데... 왜 LG는 헤파필터가 안들어있을까 단가문제일까요? 아쉽네요...
17/05/11 10:03
성능이 좋을수록 소음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원리를 생각하면 당연한 얘기입니다.
성능 좋고 조용하걸 원하면 정화능력이 큰걸로 가셔야 합니다. 단점은 가격, 유지 비용 비싸지고 커지고... 원래 집에서 블루에어 650e 사용중이었는데 이번에 안방용으로 블루에어 퓨어 211 하나 더 구매했습니다. 가격도 650 처럼 사악하지 않고 (40만원대), 특히 이번에 미국 컨수머리포트에서 1위했다고 홍보하길래....
17/05/11 10:03
삼성꺼 샀어요.
1. 엘지 직수정수기 렌탈하고 있는데 공기청정기는 케어해 줄것이 필터관리 밖에 없어서 돈을 더주고 렌탈할 필요성은 없다고 봐서 샀습니다. 2. 소음이 적다고 좋은것이 아닙니다. 공기청정기 원리가 매우 단순해요. 팬에 필터달린게 끝인데 풍량이 높아야 공기청정기 쓰는 효과가 있죠. 소음이 작다는건 풍량이 낮다는건데 쓰나마나 입니다. 공기청정기 바로 옆에 있으면 모를까요. 공기를 위로 보내서 순환시키는 구조인데 풍량이 강해야 순환됩니다. 팬 베어링이나 팬면적에 따라서 제품마다 소음이 다를 수는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소음은 감수해야 합니다. 취침모드로 하면 소리가 최소화되서 신경 안쓰일 정도인데 그만큼 풍량이 거의 없습니다. 3. 하이마트가서 위닉스 엘지 삼성꺼 봤는데요. 엘지제품은 pm 1.0 센서로 입자크기 1.0을 감지해서 알려준다는건데 이게 딱히 필요가 있나 싶었습니다. 삼성꺼는 2.5까지 되고요. 1.0을 거를 수 있다 2.5만 거를 수 있다의 필터성능이 아니라 입자 1.0근처의 먼지상태를 센서로 감지해서 알려주는 겁니다. 어차피 공기는 필터에 들어가서 나오는 것이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더 제공해 준다는 건데 어차피 걸러질 먼지라서 정보를 더 알려주는건 딱히 필요없다고 생각했어요. 엘지 장점은 공기가 360도 방향으로 나가고 부스트로 위로도 됩니다. 삼성껀 양옆과 위로만 나갑니다. 360도로 나가면 아무래도 방향성이 없으니 공기가 순환되는 실 사용면젹이 방향성이 있는 제품보다 넓겠죠. 그리고 디자인이 좀더 고급짐. 가격 제외해도 삼성꺼 산 이유는 엘지는 e11필터고 삼성은 h13 헤파필터 등급으로 입자가 더 작은 미세먼지도 걸러줍니다. 공청은 풍량과 팬의 방향성,필터가 가장 중요해요. 그외는 부가기능일 뿐. 삼성껀 pre필터 (큰먼지 걸러내는, 물청소가능) + 세이브필터 + 해파필터 3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1,2차 필터는 청소가 가능해요. 그래서 필터 교환시기가 더 길어서 유지비용이 더 저렴합니다. 대신에 팬 바람이 2단계를 더 거치는 것이니 단순 필터만 있는 제품보단 풍량이 더 낮아지겠죠. 게다가 h13은 e11보다 더 촘촘해서 같은 팬과 풍량일시 바람이 덜 지나갑니다. 고로 삼성꺼는 h13과 필터가 3개라 엘지 제품보다 더 강한 풍량이 필요합니다. 소음도 증가하겠죠.
17/05/11 14:56
저는 샤프의 fu-gk50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공기청정기 시장에서 샤프가 인정받는다 말듣고 검색하다 찾은건데 원래기능에다 모기 잡는 기능이 있다는 점이 아주 맘에 듭니다.
다만 일본내수용 제품이라 직구 + 도란스를 사야한다는 점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