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04 10:25:56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이 정도로 직장에 오래 붙어있지 못 한다면 어느정도로 폭탄이라는거죠?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5/04 10:38
수정 아이콘
인사담당자라고 한다면 기존 업체가 쓰레기니 뭐니 해도 해당 당사자분은 안 뽑겠네요.
적성 맞는 일을 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대부분은 맞춰 일하는 건데, 위와 같이 오래 못한다고 본다면 월급쟁이는 안 맞는 거겠죠.
10년째학부생
17/05/04 10:52
수정 아이콘
저희 회사에 딱 그런 분이 들어오셨다가 2개월만에 나가셨는데 다 이유가 있더군요... 경리직원이 2달동안 세금계산서 발행도 제대로 못하는 수준으로 업무능력이 떨어지고(가장 많이 접속한 사이트=네이트판), 좋은 말로 개선을 요구해도 안되서 결국 털리니까 다른 부서가서 여혐부서라고 소문내다가 걸리고, 일 빵꾸내서 털린 후에 자리비우면서 핸드폰 녹음해놓고 나가서 자기 뒤에서 욕하는거 다 녹음해놨다고 신고한다고 협박하다가 도청으로 먼저 신고하니까 사직할테니까 봐주세요 하면서 나가더군요...
가만히 손을 잡으
17/05/04 10:56
수정 아이콘
누구나 한 두번 쯤은 부당한 처우를 받기도 하고 나쁜 사람들을 만날 수도 있습니다만,
항상 그렇다면 내가 문제인 거죠.
17/05/04 11:05
수정 아이콘
뭐랄까 요즘 현실과 가지고 있는 생각과의 괴리감이 상당한 사람들이 종종 있어서요. 애초에 직종자체가 불합리한점이 많을 수도 있고 그것을 못견뎌하는게 아닐까 싶네요. 사실 그게 크게 불합리하지않더라고 하더라도요.
17/05/04 11:06
수정 아이콘
직장 자체가 문제가 있을 수도 있긴한데..
어떤 곳을 가던 저렇게 짧게 밖에 못한다면..

솔까 자기한테 딱 맞는 직장이 어딨나요.
다 그안에서 스트레스 받고 맘에 안드는 점 있고 그런데..
다 그냥 버티고 참고 맞춰가면서.. 그러면서 사는거죠.

마인드 문제나 업무 수행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던가..그런거겠죠.
아니면 말그대로 아직 자기한테 적합한 직장을 못구해서 계속 때려치운다던가요.
17/05/04 11:06
수정 아이콘
와우에 '지전누'라는 말이 있죠

내가 가는 전장마다 항상 진다면 그 전장엔 누가있다?
17/05/04 11:34
수정 아이콘
저렇게 스텍이 쌓이면 이젠 동종업계 들어가는게 힘들껍니다 -.-;;

한 직장에서 오래 다니는게 이직할때 꽤 큰 무기죠.. 자주 옮기는 사람은 우리 회사도 그만둘거 같은 느낌을 주기 때문에..
17/05/04 11:36
수정 아이콘
성격이 괴팍하거나 아니면 너무나 올곧거나.
알게 모르게 우리도 많은 부분을 타협하고 비겁한 행동도 하면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죠.
개인 사업하든가 가족들 먹고 살 걱정에 본인을 버리든가 그래야 합니다.
예쁜여친있는남자
17/05/04 16:06
수정 아이콘
그냥 끈기가 없고 일을 못하는거죠 뭐.
김성수
17/05/04 16:23
수정 아이콘
실제로 잦은 이직과 좋지 않은 성격, 업무 능력과의 상관 관계가 어느 정도 있더라도 저라면 섣불리 나쁘게 보지는 않겠습니다. 우선 대면하고 적합한 절차를 통해 판단해야 옳다는 생각입니다. 실력적인 면이 떨어지지 않고 인성적인 부분에 있어서 회사의 지향점과 다르지 않다면 지나치게 특이하거나 지나치게 평범한 경력상 특징은 관리자가 어떻게 다루느냐 일뿐 그것만 가지고 편견을 갖는 것은 올바른 관리자의 자세가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실제 검토해봤을 때도 업무 능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피할 수 없다거나 회사가 원하는 마인드의 사람이 아니라면 어쩔 수 없지만요. (어차피 저는 스펙 이전에 경력까지도 아예 보질 말아야 한다 주의라서 제가 이런 얘기 꺼내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느낌이 있긴 합니다만, 사실 과거에는 오히려 지나친 이직 경력 횟수를 지닌 직원도 회사에게 꼭 필요한 인재상 중 하나라고 보았고 지금은 그러한 판단이 인성이나 실력에 대한 평가보다 앞서는 것을 자제하는 것이 맞다는 쪽으로 많이 변하긴 했습니다.)
17/05/04 16:29
수정 아이콘
무슨말인지 정리가 안되네요
김성수
17/05/04 16:31
수정 아이콘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제가 글을 좀 못 쓰긴 합니다. ㅠ 크크 밥 좀 먹고 고칠 부분 있으면 다시 고쳐놓겠습니다. ^^;
광개토태왕
17/05/04 22:21
수정 아이콘
객관적으로 절대 좋은 이미지는 아닙니다
사악군
17/05/04 23:51
수정 아이콘
근데 최소 6회이상 취업을 하신건데 일할 생각이 없다고 하기도 힘드네요..
17/05/05 12:46
수정 아이콘
보건쪽이 원래 군대식이라 처음에 이등병이고 나중에 병장되는걸로 알고있는데
신입한테 불합리하긴 하죠 그걸 참기 어려운거같은데 그러면 딴 직업 찾아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2080 [질문] 시디즈 의자 비교 질문입니다. [1] Uglyman3112 17/05/04 3112
102079 [질문] 크롬 확장프로그램 찾습니다. [5] 오 루즈2287 17/05/04 2287
102077 [질문] 이 정도로 직장에 오래 붙어있지 못 한다면 어느정도로 폭탄이라는거죠? [15] 삭제됨4693 17/05/04 4693
102076 [질문] 고전 턴제 게임 찾습니다. [7] 정짱3901 17/05/04 3901
102075 [질문] 교토에 혼자 묵을 호텔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냉면과열무2215 17/05/04 2215
102074 [질문] kt giga 인터넷설치관련 질문입니다. [9] 삭제됨2006 17/05/04 2006
102073 [질문] 지루성두피염 샴푸 질문입니다 [27] 김치찌개8476 17/05/04 8476
102072 [질문] 이스탄불 경유 관련 문의드립니다 [3] 목욕탕은사계절1996 17/05/04 1996
102071 [질문] 무릎&손목 부상중 운동 관련 질문드립니다. [5] 하드한인생2235 17/05/04 2235
102070 [질문] [스타1] 얼리 메카닉이 안되는 이유는 뭔가요? [14] 운동화124254 17/05/04 4254
102069 [질문] 전투가 어려운 게임 있을까요? [10] 자바초코칩2694 17/05/04 2694
102068 [질문] 고프로 질문드립니다. [6] PEPE2321 17/05/04 2321
102067 [질문] 인쇄 가로세로? 설정 질문드립니다 [4] 고진감래2037 17/05/04 2037
102066 [질문] 부산 혼자 가볼만한곳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0] 정은지짱4686 17/05/04 4686
102064 [질문] 뽐뿌 신용카드 질문입니다 [6] 마제스티5315 17/05/03 5315
102063 [질문] 웹에 연재되는 소설들 관련 두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5] 이라세오날2404 17/05/03 2404
102062 [질문] 학사 졸업 논문 얼마나 잘 써야 되나요? [21] 오렌지망고49238 17/05/03 49238
102061 [질문] 내부자들, 부당거래 같은 영화 추천부탁드려요 [23] 이슬먹고살죠8783 17/05/03 8783
102060 [질문] 예전 위기탈출 넘버원에 나왔던 사례중에 질문 있는데요... [1] 잘가라장동건2373 17/05/03 2373
102059 [질문] [사진]이런 물병을 뭐라고 하나요? [2] 성소2595 17/05/03 2595
102058 [질문] 게임 이름 질문드립니다. LPV1872 17/05/03 1872
102057 [질문] 그래피 카드 질문드립니다. [2] 토꺙2130 17/05/03 2130
102056 [질문] 오토바이 신호 위반 후 도주에 관한 질문입니다. [2] MagicMan2952 17/05/03 29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