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4/21 23:35:27
Name alphamale
Subject [질문] SF 소설 / 책 추천 받습니다.

최근에 계기가 생겨서 SF소설에 관심이 생겼는데요.
종류도 다양하고 많은데 걸러야 할 책도 많을거 같아서요.

우선적으로 1.정말 초명작이라 불리는 고전  2.문체가 편하고 술술읽히고 재미자체가 있는 것 3. 최신SF 핫한 작가와 책제목

요런 순서면 좋을거 같습니다. SF가 국내에서는 워낙 마이너한 장르인지라 정보를 어디서 찾아야 할지 모르겠네요... ㅠㅠ

저는 책을 사서 읽는편이라 나만의 SF같은 것도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4/21 23:37
수정 아이콘
12번은 잘모르겠고 가장 최근은 마스가 아닐까 싶네요.
17/04/21 23:38
수정 아이콘
저보다 훨씬 SF 잘 아시는 분들이 많으니 더 자세하게 답변 달아주시리라 생각하고,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178957 이 글에도 잘 나와있습니다.
17/04/22 00:03
수정 아이콘
1.아시모프, 하인라인, 아서 클라크 대표작들 정도가 일반적으로 꼽는 고전입니다. 그것보다 더 앞선 세대의 책들은 번역된 것도 별로 없고, 장르특성상 유치하거나 지금 읽기엔 오래 된 느낌이 있을거에요.

2.젤라즈니나 어슐러 르귄 작품들 중에 아무거나 골라서 봐도 괜찮습니다

3.국내번역작품 같은 경우 특정 한명의 번역가에게 일감이 몰리고 기획부터 번역까지 다 자기취향으로 하다 보니, 다양한 성격의 작품을 접하기가 어렵습니다. 시장성 자체도 너무 떨어지다보니(몇백부 팔리고 망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해외에서 검증 된 작품 위주로 발간이 되는 편입니다.

그래서 해외 작가들 중에서 누가 잘나가나 알고 싶으시면 휴고상 목록이나 기타 유명 시상식 목록을 뒤져보는게 빠를겁니다.(국내 작품들은 비추합니다)

관련정보는 http://sfblog.egloos.com/ , https://altsf.wordpress.com/ , http://crossroads.apctp.org/main/ , happysf.net , http://www.sflib.com/ 이런 곳에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예전에 유명했던 사이트들은 오랜만에 찾아보니 닫혀있는게 많네요
Mighty Friend
17/04/22 01:30
수정 아이콘
2. 르귄의 책이 술술 읽힌다는 데는 이견이 좀 있습니다. <어둠의 왼손>은 제가 읽은 SF 중 제일 지루하고 읽히지 않아서 숙제하는 기분으로 읽었던 책이거든요. 르귄은 판타지 쪽이 더 강세라고 생각해요.
17/04/22 10:10
수정 아이콘
어둠의 왼손이면 그럴 수도 있다고 봅니다.
사견으로 판타지 강세라기보다 작품마다 따로 봐야 된다고 봅니다. 단편들 중에 괜찮은건 거의 다 판타지쪽 색채가 강했던 것 같긴 하지만;
말년에 발표한 서부해안연대기들은 아동용인 탓도 있겠지만 보다가 영 아니다 싶었거든요.

르귄 자체를 판타지 작가로 보냐 sf작가로 보냐 의견이 갈릴 수 있고, 어둠의 왼손은 헤인 연대기에 들어가긴 하지만 이게 sf냐 하면 커뮤니티 마다 갈릴 소지가 크니까요
드라고나
17/04/22 00:05
수정 아이콘
별의 계승자. 한 번 읽어 보시죠. 덧붙여서 파란달 아래, 맨이터.
Serapium
17/04/22 15:22
수정 아이콘
별의 계승자 저도 정말 재밌게 읽었습니다. 근데 비전공자가 읽어도 재밌을지는... 이책은 주인공이 '과학' 그자체라서요..
1llionaire
17/04/23 04:14
수정 아이콘
추리소설 읽는 느낌으로 봐도 재미있게 읽히더군요. 비전공자입니다..
이성경
17/04/24 13:08
수정 아이콘
비전공자지만 추천입니다.
MyBubble
17/04/22 00:05
수정 아이콘
2번에 대해서... "여름으로 가는 문"을 추천합니다. 대단한 철학적 사유는 없고, 가벼운 내용입니다만, 쉽게 읽히고 재미는 있습니다. 그리고, (SF소설로는 드물게) 미래를 암울하게 그리고 있지 않아서, 읽고 나서도 유쾌하게 책을 덮을 수 있습니다.
VinnyDaddy
17/04/22 00:33
수정 아이콘
최신 SF 작가라면... (최신에 넣어야 할지 거장에 넣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테드 창" 추천합니다. 그의 '네 인생의 이야기'는 이번에 '컨택트'라는 제목의 영화로 제작되었습니다. 처음에 저 이야기를 읽고 눈물을 흘렸던 기억이 납니다. 그 외, 유쾌한 분위기를 원하신다면 '마션'을 소설판으로 읽어보시는 것도 권해드립니다.

우리가 흔히 꼽는 고전 SF 소설가라면 세계님이 1번에 꼽아주신 Big Three를 꼽습니다.
하인라인의 대표작에는 스타쉽 트루퍼스, 우주복 있음 출장 가능, 유년기의 끝 등이 있습니다.
아시모프의 대표작에는 로봇 시리즈, 파운데이션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저는 그의 단편들을 더 좋아합니다.)
아서 클라크의 대표작에는 스페이스 오딧세이, 라마 등이 있습니다.
세 사람이 모두 스타일이 많이 달라서 재미있습니다.

그 외 제가 읽어본 책중에 권해드리고 싶은 것들은 '별의 계승자', '신들의 사회', '쿼런틴', '히페리온'과 '히페리온의 몰락', '보르코시건 시리즈' 등입니다.
Galvatron
17/04/22 00:44
수정 아이콘
이럴때 도움이 되는게 나무위키죠
https://namu.wiki/w/사이언스%20픽션
alphamale
17/04/22 00:46
수정 아이콘
양질의 답변들 모두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잘 찾아서 보겠습니다. 그런데 책 구하기가 꽤 어렵나보군요. 우선은 유명한것 위주로 좀 찾아봐야겠네요.
17/04/22 02:13
수정 아이콘
SF라고 묶이는 책들도 나름 굉장히 폭이 넓기 때문에 평소에 어떤 책을 보는지, 좋아하는 이야기가 어떤 분위기인지에 따라 평가가 완전히 다릅니다. 어떤 분이 지루하다고 하신 책도 어떤 사람은 평생 최고작이라 할 정도로 감동을 받기도 하고, 누구는 매우 재미있다는 책도 유치하고 가볍다는 얘기를 듣기도 하거든요. 유명한 책 위주로 보시면 실망하시기 딱 좋습니다. 조금만 더 방향을 주시면 추천작 꼽아드리기 쉬울 듯 한데요.
17/04/22 01:24
수정 아이콘
국내 SF소설판이 좀 안타깝죠. SF자체가 그다지 번역도 되지 않고 그나마 번역된것들은 절판이거나 번역이 엉망이거나 흑흑
수정비
17/04/22 09:51
수정 아이콘
최근 의욕적으로 sf를 발간하고 있는 아작의 책들을 추천드립니다.
별의 계승자 재간도 이 출판사에서 했습니다!!
꾼챱챱
17/04/22 09:57
수정 아이콘
오... 이거 재간됐네요?? 처음알았네요 빨랑 사야지..
꾼챱챱
17/04/22 09:56
수정 아이콘
이번에 라마와의 랑데뷰 재판 나왔습니다. 3월 말에...
근데 재고가 별로 없드라구요. 빨랑 구매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1460 [질문] [LOL] 마스터리 3번째줄을 1/4 4/1 이런식으로 찍는 이유가 뭔가요? [20] 지수3798 17/04/22 3798
101459 [질문] 노트북 알지 못하는 사람의 질문입니다. [7] 신이주신기쁨2748 17/04/22 2748
101458 [질문] 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참글2319 17/04/22 2319
101457 [질문] 윤식당 같은 예능은 어디까지 '리얼'이라고 생각하세요? [17] 도연초5509 17/04/22 5509
101456 [질문] 갑자기 블루스크린이 뜹니다 [4] 이워비2098 17/04/22 2098
101455 [질문] 집안청소 업체써보신분 질문드립니다. [5] 동네형2917 17/04/22 2917
101454 [질문] 4K 60Hz로 게임 원활하게 즐기기 위한 CPU/글카 최소 사양이 어느 정도일까요? [8] giants6744 17/04/22 6744
101453 [질문] 기아차 중에 추천 쫌 해주세요~ [10] 술친2855 17/04/22 2855
101452 [질문] 무제한 요금제 쓰면 2년마다 통신사 교체가 좋은가요? [5] 뒷산신령2945 17/04/22 2945
101451 [질문] 스타 1.18버전 화면밝기 설정 [1] 꿀멀티4301 17/04/22 4301
101450 [질문] 남자가 데이트 비용을 안내는건 여자를 사랑하지 않는걸까요? [38] 참교육19628 17/04/22 19628
101449 [질문] 하드렌즈를 맞추고 싶습니다 [9] cs2821 17/04/22 2821
101448 [질문] 치아 교정후 후회하시는분 계신가요? (발음문제) [6] 우리집개9048 17/04/22 9048
101447 [질문] 유투브 추천영상(?) 어떻게해야 사라지나요? [4] 신전부수기2471 17/04/22 2471
101446 [질문] [알바관련] 이거 합법인가요? [6] SkinnerRules2843 17/04/22 2843
101445 [질문] 스타 PvZ 요즘 대세가 무엇인가요? 투혼 or 파이썬 [10] pppppppppp5341 17/04/22 5341
101444 [질문] 고시나 전문직 합격에 있어서 정시/수시 차이가 날까요? [17] Total5082 17/04/22 5082
101442 [질문] 안드로이드 테블릿 쓰시는분들 질문드립니다 어리숙2227 17/04/22 2227
101441 [질문] 상가 가계약상태에서 건물주에 일방적인 계약파기시 [7] 이쥴레이4542 17/04/22 4542
101440 [질문] SF 소설 / 책 추천 받습니다. [18] alphamale8296 17/04/21 8296
101439 [질문] 마카오에서 제일 큰 카지노가 어디 인가요? [2] 나를찾아서4439 17/04/21 4439
101438 [질문] 고급양복이나 코트는 되도록 세탁 안 하는 게 좋은지요...? [4] nexon2794 17/04/21 2794
101437 [질문] 혹시 수학학원원장선생님 계실까요? 질문입니다;; [25] rDc665958 17/04/21 59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