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4/05 20:19:56
Name lenakim
Subject [질문] 독립(원룸)준비하는데 질문이 몇가지 있습니다
여럿 폐끼치면서 인생포기하고 살다가 그나마 일 좀 해서 돈을 벌었는데
아직 갚을 돈도 많이 남았고 학자금대출은 건드리지도 못했지만 사정상 독립을 해야합니다.

1. 직방, 다방같은데 올라오는 매물은 믿을만한가요?
원룸같은데는 보증금500정도는 기본으로 깔고들어가는줄 알았었고 그래서 고시원쪽으로 가야겠다-하는 생각이 있었는데,
막상 직방에서 찾아보니 보증금100짜리가 많더라고요. 지역은 의정부고요. 이게 호객을 위한 허위매물인지, 아니면 진짜 있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터는 양주인데, 여기서 부동산에 물어보면 300, 500부르거든요. 일단 당장의 월세는 그리 중요하지 않으니 보증금이 낮은게 더 필요한데 100만원정도면 고시원 들어가는것보단 원룸잡는게 나을거같아서요. 궁금합니다.

2. 사야하는 것은 뭐가 있을까요?
밥은 별로 안해먹을것 같긴한데(아침 거르고 점심은 일터에서) 냄비나 그릇, 수저같은건 구비해두는게 좋겠죠? 이불이랑 베개는 얇고 가벼운걸 찾아보려고 하고, 탁자같은건 공장에서 짬날때 직접 만들면 되니까 살 필요는 없을 것 같은데 그 외에 필요한게 뭐가 있을까요? 건조대?

3. 방을 볼때 어떻게 해야합니까?
호구처럼 안보이려고 하면 되려 호구잡히지 않을까 하는 일말의 불안감은 뭐 어쩔수 없고 필수적으로 봐야하는 건 뭐가 있을까요? 수압이나 변기 물내려가는거, 보일러, 벽의 방음정도, 주변환경이 어떤지 이런게 생각나는데 좀 알려주세요.

4. 데스크탑 VS 노트북
피시방비가 은근히 많이 깨져서... 돈도 없고 고성능은 바라지도 않으니 G4560으로 조립할 생각인데요. 한성 DGA4560이란걸 보니까 '어차피 아무리 줄여도 30깨지는데(모니터는 줏어옴) 그럴바엔 이동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노트북이 원룸생활하는데 더 낫지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들고다니면서 쓸건 당연히 아니고 기본적으로 방에 박아두고 쓰다가 지방 현장에 4박5일 이런식으로 나갈때 모텔에서 쓸수도 있으니 낫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어떨까요? 한성에 대한 거부감은 없습니다. 정확하게말하면 한성노트북 쓰다가 고장나서 용산갔다온적이 많아서 '뭐 문제생기면 용산가면되겠지'하는 마음입니다...

답변 주시는분들께 일일이 댓글달아드리진 못하니 미리 감사드려요 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zelgadiss
17/04/05 20:32
수정 아이콘
보증금이야 집마다 다른거고, 보통은 보증금 100만원 줄 때마다 월세 1만원 증가한다 보시면 됩니다. 집주인과 상의하셔야 할 부분이고.

다른 건 몰라도 전자렌지는 꼭 구입하세요. 7만원 정도면 쓸만한 것 삽니다.

변기 물 내려보고, 벽도 두드려 보세요. 소리가 울리나 봐야합니다. 곰팡이 핀 곳 없는지도 보셔야하고요.
비상의꿈
17/04/05 20:35
수정 아이콘
같은 집이라도 보증금을 얼마를 거냐에 따라 월세가 달라집니다.
지방에서 원룸 생활 할때 주인측이 기본적으로 걸어놓은 조건이 보증금 500에 월세 30이었는데
보증금을 1000만원까지 올리고 월세를 25만원으로 낮췄었죠.
물론 이런 조건은 집주인과 상의를 하셔서 결정하시는 거구요.
포도씨
17/04/05 20:38
수정 아이콘
보증금은 임대료를 못내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최소한의 방어수단을 위해 받는건데 월세 보증금이 100이면 막말로 2년동안 월세 한 푼안내고 째는 악질 세입자를 만나면 어쩌려고? 싶네요.
요즘은 허위매물 단속을 많이하고 업체마다 페널티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효과로 허위매물은 없는데 아마도 가서보면 마음에 안드실겁니다. 사람 보는눈이 비슷해서 누가봐도 괜찮은건 그만큼 비싸죠.

미리 준비하지 마시고 살면서 필요한건 하나씩 장만하시면 됩니다. 그릇같은건 다이소에서도 사도 충분해요.

방음같은건 그게 그거일겁니다. 주변에 누가 사느냐가 문제죠. 다만 하수구나 싱크대의 역류등 냄새문제와 환기등은 잘 살펴보셔야합니다. 사소한것 같아도 사는 내내 신경쓰이는 문제거든요. 창문을 열었는데 옆집에어컨 실외기가 떡하니 있거나하면 여름철에 창문열어두고 살기 어렵죠.

이동하지 않을거라면 무조건 데탑입니다. 매달 4박 5일 출장가시는게 아니라면요.
17/04/05 20:54
수정 아이콘
다방이나 직방에서 보증금100 밑 조건으로 검색해보면 의정부역 근처에 100개넘게 나오는데 이게 다 허위매물이라기엔 뭔가 아닌거같아서요;
일단 시간내서 직접 가봐야겠습니다. 보증금이 낮은만큼 월세가 40정도긴 한데 그건 크게 상관이 없어서.
포도씨
17/04/05 21:09
수정 아이콘
500/30 100/40 이라면 카드론을 쓰더라도 앞의걸 하셔야 맞는것 같습니다.
5만원차이라면 몰라도요.
17/04/05 21:32
수정 아이콘
음... 자꾸 토다는것 같아서 죄송한데 이해가 잘 안돼요. 제 재정상황은 차치하고서라도 보증금이 400차이가 나는데 무조건 전자가 낫다고 하시는건 그만큼의 값을 한다는 건가요? 제가 방을 구해본적이 없어서 어떤게 좋다 나쁘다 하긴 어렵지만, 무리를 해서 구해야 할 정도로 차이가 나는건가요?
이성경
17/04/05 22:40
수정 아이콘
단순히 보증금은 돌려받는 돈이고 월세는 온전히 내는 돈이니 월세가 낮은 게 낫죠. 10만원 차이면 일년이면 120만원 절약하는 건데요.
17/04/05 21:11
수정 아이콘
보증금 보통 500이긴한데 위험을 감수하고 100받는 사람도 많죠
그냥 깔세(보증금 = 월세)도 있을수 있고
대신 500보증금보다 방이 조건이 안좋은 편이지요.
17/04/05 21:07
수정 아이콘
요새 보증금이 의미가 없어서 보증금 거의 안받는 케이스도 많습니다
어차피 월세가 중요한거고 보증금 잔뜩 땡겨봐야 안낼놈은 어차피 안내고 낼놈은 어차피 내니까요.
이성경
17/04/05 22:33
수정 아이콘
보증금 100 방 꽤 있습니다. 그 아래도 있고요... 100아래는 보통 단기긴 하지만요. 대신 월세가 비쌉니다. 그리고 보증금이 싸면 월세 못 냈을 때 빨리 빼야한다는 내용을 계약서에 넣을 거예요.

아 그리고 어플은 낚시매물 많습니다. 전화하면 그방은 이미 나갔다거나 다른 이유 대면서 다른 방 보여주는 경우도 많을 거예요. 결국 발품 팔아야 합니다. 그런데 저는 직방에서 본 거랑 같은 방 바로 계약하긴 했습니다. 지금 살고 있고요. 이런 거 보면 실 매물이 완전 없지는 않아요. 그런데 방 사진이 유달리 깨끗한데 싸기까지 하다면 낚시 매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통 다른 방 소개해준다고 할텐데 방 있다고 방문까지 했는데 그제서야 없다고 하면 어플 회사에 신고하세요.
17/04/06 00:20
수정 아이콘
2) 냄비, 그릇, 수저 이외에도 과도나 식칼, 세제, 수세미 정도는 가지고 계셔야 할 것 같고 화장실 용품도 필요합니다. 건조대는 빨래 하실 생각이라면 있어야 하지요. 고시원 수준으로 좁지 않은 이상 책상 말고도 자그마한 탁자 정도는 있으면 무조건 좋더라구요
3) 말씀하신 거 말고도 곰팡이랑 햇볕 들어오는거 보셔야 합니다. 창문 꼭 열고 닫아보세요
4) 출장 많이 가시면 노트북이 좋겠지만 얼마 안 가신다면 차액으로 피시방비 하시는 편이 낫지 않을까요?
17/04/06 01:26
수정 아이콘
급하게 필요하지 않은 종류의 것들 (예컨대 님같은 경우엔 식기류 등이 해당하겠죠) 은 나중에 필요할때 필요한만큼 사면 됩니다.
이것도 필요하겠지 저것도 필요하겠지 라는 마음으로 미리미리 사면
결국 낭비도 많아지고 정작 산것도 내 상황에 별로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요.
놀라운 본능
17/04/06 09:47
수정 아이콘
요즘은 아닌지 모르겠는데
2년전 쯤에 다방에서 방구해서 전화하면 있는척하고 불러서
나갔다고 하며 다른방 보여주더란
미끼상품만 올라오는구나 했었는데
가기전에 진짜 이방이이 있냐고 확인하고 가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586 [질문] 노래좀 찾아주세요 전문직이되자2175 17/04/05 2175
100585 [질문] 일본에서 한국인 이미지는 한국인이 중국인보는거와 비슷한가요? [14] 사쿠라기루카와9682 17/04/05 9682
100584 [질문] FTP 파일 업로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2] 토꺙2483 17/04/05 2483
100582 [질문] 컴퓨터본체 중고 질문드립니다. [4] DogSound-_-*4618 17/04/05 4618
100581 [질문] 독립(원룸)준비하는데 질문이 몇가지 있습니다 [13] lenakim5505 17/04/05 5505
100580 [질문] (직장생활) 열심히 한다 vs 잘 한다 [8] 삭제됨3735 17/04/05 3735
100579 [질문] 어렵네요 [2] 삭제됨1784 17/04/05 1784
100578 [질문] 건강보조식품 뭐 챙겨 드세요? [13] 별풍선2749 17/04/05 2749
100577 [질문] 컴퓨터가 너무 느려졌습니다. [4] 예인2321 17/04/05 2321
100576 [질문] 중국 성도(청두) 일일투어 문의 [1] spike662421 17/04/05 2421
100575 [질문] 주유카드 추천해주세요. [5] 파란무테2801 17/04/05 2801
100574 [질문] [NBA]지난시즌 카레 VS 이번시즌 웨스트 브룩 [47] 우훨훨난짱3137 17/04/05 3137
100573 [질문] [AV] 1스피커-4기기 일 때 음원변경 쉽게 하는 법? [4] 스타듀밸리2601 17/04/05 2601
100572 [질문] 간단한 C 프로그래밍 for문 관련 질문입니다. [15] 올드패션드2602 17/04/05 2602
100571 [질문] 장가가기전에 사야할 아이템이 뭐가 있을까요? [8] BLitz.2941 17/04/05 2941
100570 [질문] 몸살걸리면 병원 어디로 가시나요? [7] BewhY20031 17/04/05 20031
100569 [질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준비하려고 합니다 [13] 미분기하3096 17/04/05 3096
100568 [질문] 인터넷 품질 관련 청약철회 가능한가요? [1] 인스네어리버1990 17/04/05 1990
100567 [질문] 하이마트에서 사기당했는데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결완료) [6] 1123584547 17/04/05 4547
100566 [질문] 뽐뿌로 인터넷과 TV가입을 해보려합니다. 도와주세요 [7] 정유지3629 17/04/05 3629
100565 [질문] 밤에만 머리숱이 더 적어 보이는 것 같은데 저같은 분 있나요? [6] 쿤데라2796 17/04/05 2796
100564 [질문] 통신사 공유기 질문입니다 [3] 행신동유희열2478 17/04/05 2478
100563 [질문] 롤 요즘 안보는데 샤이선수 폼이 많이 올라왔나요? [11] whenever4119 17/04/05 41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