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8/19 09:06:57
Name 길갈
출처 2차 루리웹
Subject [기타] 초기 연필깎기들



원리가 신기방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짜부리
25/08/19 09:07
수정 아이콘
어릴때 칼로 깎아서 가면 왠지 창피했었죠.....그리고 누가 칼로 길게 깎나 내기도 했었고
다시마두장
25/08/19 10:34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크크. 지금 기준으로는 칼로 깎는 게 간지인데 말예요.
짜부리
25/08/19 10:41
수정 아이콘
누가 먼저 부러뜨리나 길게 깎아서 연필칼싸움도 하고, 다 추억이네요
완성형폭풍저그
25/08/19 10:50
수정 아이콘
헛.... 6살 아이 키우고 있는데, 글쓸 때 힘을 엄청 주다보니 연필깍이로 깍아서주면 뾰족한 부분이 깨지더라고요. ㅠㅠ
그래서 칼로 깍아서 뭉툭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친구들이 보면 창피해할까요?? ;;;;
짜부리
25/08/19 11:06
수정 아이콘
그때는 집이 가난해서 연필깍이가 없어서 칼로 깎는다는 인식이 있어서 창피해 한거입니다.
지금은 아무 상관없어요. 전혀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메가트롤
25/08/19 11:02
수정 아이콘
엇 저는 그 시절에도 스스로 깎아 쓴다는 것에 간지를 느꼈고 친구들도 그렇게 인식하는 것 같은 느낌이었는데요 크크
짜부리
25/08/19 11:07
수정 아이콘
연도가 언제냐에 따라서 달라서..그래서 연필갂이 없이 부모님이 칼로 깎아 주시면
혼자서 몰래 칼로 사포질(?) 열심히 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꼭 연필깎이로 한거처럼.. 순수했던 그때가 그립네요
하이퍼나이프
25/08/19 09:08
수정 아이콘
내 기차샤파..
25/08/19 09:30
수정 아이콘
저는 삼각샤파였는데 친구들의 기차모양 하이샤파가 무척 부러웠습니다.
25/08/19 09:13
수정 아이콘
내 기억속 익숙한 그 연필깎이는 1921 이군요
서린언니
25/08/19 09:13
수정 아이콘
100년전에 지금 연필깎기 방식이 완성되어있었네요
하카세
25/08/19 09:19
수정 아이콘
1907 방식 연필깎이 탐나네요
AMBattleship
25/08/19 09:24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어디서 팔면 사서 애들 연필 다 깎아주고 싶네요,
25/08/19 10:05
수정 아이콘
있긴 있어요(골동품 이지만) 아랫댓글 참조...
25/08/19 10:05
수정 아이콘
독일 함부르크 몽블랑 본사내 몽블랑 하우스(박물관) 가시면
구하실수 있습니다.........만
기억이 맞으면 가격이 280유로 였습니다.
AMBattleship
25/08/19 10:39
수정 아이콘
정보 감사합니다. 함부르크를 가야할 이유가 하나 생겼네요!
우상향
25/08/19 09:33
수정 아이콘
지포라이터 크기로 한손에 쥐어지는 간이 연필깎이도 있었는데...
톨리일자
25/08/19 09:34
수정 아이콘
이미 100년도 더 전에 기차모양 연필깎이의 원리는 확립이 되었군요;
25/08/19 09:39
수정 아이콘
TMI)영국의 존 베어드는 1925년 기계 방식의 텔레비전 시스템을 개발해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흑백으로 영상화하는 데 성공했다.

100년 전이라고 해도 인류의 과학기술은 꽤 발전했었더라죠
아케르나르
25/08/19 12:12
수정 아이콘
그쵸. 백년 전이면 물리학자들이 물리학은 완성됐다고 자신했을 정도라.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나오면서 와장창하긴 했지만.
설탕가루인형
25/08/19 09:41
수정 아이콘
와 대단하네요. 1990년대에 쓰던 연필깎이가 이미 당시 기준으로도 70년 전에 완성된 기술이었다니
동굴범
25/08/19 09:42
수정 아이콘
1907년도 도끼 연필깎이와 1910년의 대패 연필깎이가 마음에 드네요.
마카롱
25/08/19 09:45
수정 아이콘
길이 방향으로 깎아 주는거 매우 탐나네요
이쥴레이
25/08/19 09:57
수정 아이콘
1921년이 마지막인 이유를 알겠네요. 크크
25/08/19 10:05
수정 아이콘
1921 다음에 겉에 기차 뒤집어쓰고 나와야지!!
25/08/19 10:13
수정 아이콘
https://i.imgur.com/ob6LKGh.jpeg
2025년 현재의 연필깎이 라인업
베스트셀러 : 샤파 티티 라인업(9시방향)
전문가용 : 3시방향 (자동 연필깎이, 파버카스텔[독국브랜드]
라이트 유저용 : 나머지
수리검
25/08/19 10:44
수정 아이콘
저 기차는 아직도 현역이네요

아니 연필이 아직도 현역이라는게 더 놀랍습니다
묵리이장
25/08/19 10:54
수정 아이콘
지우개 만한 휴대용 썼어요.
Chrollo Lucilfer
25/08/19 11:06
수정 아이콘
순도 100
기계 그 잡채
페스티
25/08/19 12:39
수정 아이콘
머시쪙
에스콘필드
25/08/19 12:54
수정 아이콘
오토메틱한 매력이 좋네요~
안군시대
25/08/19 13:25
수정 아이콘
저런 순수 기계장치들이 가진 뭔가가 있긴 합니다. 낭만이랄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65963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86109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91644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1010244
518530 [게임] 와우 똥줍기 퀘 근황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98 25/08/19 1398
518529 [기타] 또 구경하기 힘들어진 미군의 차기 군함 [37] Lord Be Goja6394 25/08/19 6394
518528 [연예인] 박성웅이 신인때 받았던 차별 [15] Croove5832 25/08/19 5832
518527 [유머] 팀장님 제가 이번 작품 아이디어를 가져왔습니다. [7] 길갈4447 25/08/19 4447
518526 [스포츠] 스노우볼이 굴러 여기까지 [6] Fin.4503 25/08/19 4503
518525 [유머] 게장이 위험한 음식인 이유.jpg [23] 페이커756426 25/08/19 6426
518524 [서브컬쳐] 외향적 찐따가 왜불행한지 알 수 있는 만화 [34] 페이커755151 25/08/19 5151
518522 [유머] 마하2로 날아가는 종이 비행기 [12] 인간흑인대머리남캐4423 25/08/19 4423
518521 [서브컬쳐] 맥도날드 대란예정 [36] 명탐정코난6360 25/08/19 6360
518520 [기타] 고양이를 위한 지하철.mp4 [7] insane2547 25/08/19 2547
518519 [기타] 정상회담 직전 백악관 집무실에 설치된 우크라이나 지도 [43] 베라히6608 25/08/19 6608
518518 [기타] 인민군 최신 함정 내부 공개 [52] Lord Be Goja5868 25/08/19 5868
518517 [기타] 2025년 상반기 한국 영화 산업 결산 발표 [37] 카루오스4521 25/08/19 4521
518515 [기타] 초기 연필깎기들 [32] 길갈4581 25/08/19 4581
518514 [서브컬쳐] 사자보이즈를 따라하는 금군보이즈 [7] 카루오스4313 25/08/19 4313
518513 [기타] 여장하는 사람들이 필수라는것 [24] 영원히하얀계곡7839 25/08/19 7839
518512 [서브컬쳐] 드라마 촬영중인 해리포터와 해그리드 [5] VictoryFood5248 25/08/19 5248
518511 [연예인] 초난강 근황 [19] 김삼관8622 25/08/18 8622
518510 [동물&귀욤] 강아지 시선에서 보는 사람.twt [7] VictoryFood5285 25/08/18 52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