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9/22 14:04:58
Name 삭제됨
출처 루리웹
Link #2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3971848
Subject [유머] 한국인은 음식 짜게 먹는다의 진실.jpg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식인
21/09/22 14:06
수정 아이콘
맨날 하는 소리가 찌개 한 그릇에 들어있는 나트륨이 어쩌고.. 근데 어르신들 말고 요즘 친구들 찌개 한 그릇 다 비우는거 잘 못 봤네요.
21/09/22 14:08
수정 아이콘
메인은 타국이 짜도 한국은 반찬이 짜서 더 많이 섭취하나 했는데 가짜뉴스였나요?
raindraw
21/09/22 17:24
수정 아이콘
반찬은 안짭니다. 우리가 나트륨섭취가 많은 부분은 국입니다.
국물을 마시는 문화이다보니 그 부분에서 꽤 섭취가 많은 편이죠.
국 외에는 다른 나라보다 더 적은 편으로 알고 있습니다.
답이머얌
21/09/22 14:0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해외 여행가서 먹어보고 비교해보면 우리가 짜게 먹는다는게 이상했고 그에 대한 추론은 항상 국물을 많이 먹어서로 귀결되었는데, 순 구라였군요.
마카롱
21/09/22 14:30
수정 아이콘
국물 요리가 나트륨 함량이 높은건 사실입니다.
관련 논문에 의하면 주요 나트륨 섭취 식품이 라면, 국수, 찌개, 국이었습니다.
나트륨 섭취량은 2010년 정점을 찍고 점차 감소중입니다. 아마 국물류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후 많이 안 먹기 때문 아닐까요.
쿼터파운더치즈
21/09/22 14:09
수정 아이콘
근데 본문에서도 저 자료에 대한 근거, 사실에 대한 확인은 없는거 같은데..
Zakk WyldE
21/09/22 14:09
수정 아이콘
체코도 정말 짰습니다..
미메시스
21/09/22 14:09
수정 아이콘
짠것도 짜고 단것도 엄청 달더라구여 크크크

유럽여행 갔을때 유명한 디저트 가게였는데
너무 달아서 머리아프단 느낌을 그때 첨 알았습니다
21/09/22 14:09
수정 아이콘
아래짤 보면 권장량의 두배 가까이 먹고있는데 중간짤에는 없는게 유머죠?
나주꿀
21/09/22 14:11
수정 아이콘
Who 기준으로 먹으면 맛이 너무 밍밍해서 스트레스로 더 일찍 죽을거 같을걸요
21/09/22 14:15
수정 아이콘
한국이 나온 아래짤은 단위가 mg으로 젤 높은게 3890인데 중간짤 단위는 g으로 mg으로 따지면 최하위도 6600입니다만?
21/09/22 14:16
수정 아이콘
위에건 소금이고 아래건 나트륨입니다.
둘다 WHO권장량인데 왜 숫자가 다른지도 생각을 해보셔야..
21/09/22 14: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흠 나트륨 원자량 23 염소원자량 35니까 대충 암산해보면 모아님 말씀이 일리가 있군요. 본문에 추가자료 조금 보충했습니다. 지적 감사드려요.
21/09/22 14:11
수정 아이콘
그럼 WHO는 왜 현실성이라곤 1도 없는 권장량을 정한 거죠,,,
반찬도둑
21/09/22 14:15
수정 아이콘
옛날부터 그렇게 먹어왔으면 건강하거든요
근데 맛들린 사람들한테 그렇게 말해봤자
소용이 없죠
담배 센 거 피는 사람들한테 갑자기 약한거 권장한 들
쉽게 필 수 있는거 아닌것처럼요
21/09/22 15:36
수정 아이콘
권장량이 현실에서 어떻게 먹느냐를 보고 만드는게 아니거든요.
21/09/22 22:46
수정 아이콘
그냥 닝겐들아 나트륨 좀 고만 먹어 이거군요...
아케이드
21/09/22 14:1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음식이 소금 함유량에 비해서 덜 짜게 느끼는 건 매운맛이 그걸 상쇄시켜 주니까 그런 것이고
순위를 떠나서 나트륨 섭취량이 많은 건 맞다고 알고 있습니다
탑클라우드
21/09/22 14:15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피자 한번 먹어보면 한국 음식 짜다는 말 안나오죠 허허허
이디어트
21/09/22 14:16
수정 아이콘
스페인가서 요리먹었을때 인종차별 당하는줄 알았습니다
21/09/22 14:18
수정 아이콘
신 쌀 뽀르빠보르... 뽀르빠보르! ㅠㅠ
내년엔아마독수리
21/09/22 14:17
수정 아이콘
전여찬 현아내 살던 동네에 시오라멘 맛집이 있다고 해서 갔다가(실제로 줄서서 먹고 있었음) 면만 간신히 건져먹고 나왔습니다. 아무리 시오라멘이라도 이건 완전 소금물 그 자체...
여우사랑
21/09/22 14:18
수정 아이콘
캐나다 처음왔을때 KFC 치킨이 너무 짜서 못 먹겠더군요.
파라도시
21/09/22 14:18
수정 아이콘
두번째짤에 아랫부분에 보면 특정한 방법으로 측정된 비교가능한 자료가 과학논문에 출판된 국가만 가지고 비교했다고 쓰여 있는데, 그냥 우리나라가 조사에 포함 안됐을 가능성도 있어 보이는데요
21/09/22 14:18
수정 아이콘
한국 요리 나트륨 함량이 높다는건 국물 요리를 다 마셨을때를 전제로 합니다. 그런데 요즘 젊은 사람들 대부분은 국물 잘 안마시죠. 급식해주는 식당 가보면 다 남기는게 대부분이고 그렇기 때문에 실제 나트륨 흡수는 낮아요.
도들도들
21/09/22 16:51
수정 아이콘
국물 먹으려고 국 먹는 건데.. ㅠㅠ
던져진
21/09/22 14:20
수정 아이콘
애초에 건강한 사람이 나트륨 좀 많이 먹는다고 문제가 있는게 맞을까요?

고혈압이 있거나 신장에 이상이 있는 사람이면 몰라도 알아서 조절을 할거 같은데.
마카롱
21/09/22 14:25
수정 아이콘
35세부터 신장에 과도한 부담이 갑니다.
검진 받으면 신장 수치가 안 좋아질거에요. 제가 그랬거든요.
Foxwhite
21/09/22 14:39
수정 아이콘
아씨 1년 남았넹
이른취침
21/09/22 21:16
수정 아이콘
35세에 신장 무과금이 끝나는군요 ㅠㅠ
21/09/22 14:21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베이컨 먹고 그냥 소금 씹어먹는줄... 헐리우드에서 오래되고 배우들도 와서 먹는데라고 친구가 데러가서 사줬는데...
This-Plus
21/09/22 14:23
수정 아이콘
나이 먹고 그냥 동네 아웃백만 가도 간이 더럽게 쎄더군요.
이게 원래 이렇게 짰던가 싶은...
쩌글링
21/09/22 14:24
수정 아이콘
상대평가로는 적은게 맞습니다. 다만 이상에 비해 현실은 전세계 식단이 모두 시궁창일 뿐...
21/09/22 14:26
수정 아이콘
https://www.who.int/dietphysicalactivity/Elliot-brown-2007.pdf
성인 남성 소변 내 소디움 양을 측정 결과
한국이 32개국 중 1위,
52개 도시/국가 중 3위입니다.

https://cdn1.sph.harvard.edu/wp-content/uploads/sites/21/2014/05/Wheres-the-salt.pdf
마찬가지로 한국이 소금 섭취량 상위권.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1304127#figures_media
심혈관 질병 사망자 중 소디움 과다복용자의 비율 역시 한국이 상위권이고요.
21/09/22 14:29
수정 아이콘
소변내 소디움량을 측정하는 거면 식사에 들어간 섬유질이나 뭐 기타 성분으로 인해 배출이 잘 돼서 그런걸 수도 있지 않나요?
21/09/22 14:38
수정 아이콘
원래 먹는 만큼 배출되는 게 정상이죠. 몸속에 나트륨이 꾸준히 쌓이면 큰일날듯
21/09/22 14: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이 생각보다 짜더라구요 크크크 이미지는 건강해보이는데 간장이... 간장이...! 크크크크
Lina Inverse
21/09/22 14:30
수정 아이콘
유럽은 빵도 짜던데 크크
몰라몰라
21/09/22 14:30
수정 아이콘
사실 사진에 있는 도표도 몇 개국 만을 취합한거라 전체 국가별 순위를 보여주는 건 아닙니다. 그냥 이 나라들이 좀 많이 먹고 있다 정도를 보여주는 정도죠.
그와 별개로 식약처에서 내는 자료상으로 한국의 소금 섭취량이 드라마틱하게 줄어든 건 사실입니다. 식약처 발표로 2009년 한국의 인당 나트륨 섭취가 무려 4878mg이었는데 2020년 자료에서는 3274mg으로 줄어서 일본(3825mg), 미국(3389mg)등보다 꽤 적게 먹고 있죠.
아밀다
21/09/22 14:33
수정 아이콘
오 10년 사이 많이 줄었네요.
트린다미어
21/09/22 14:36
수정 아이콘
아마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관련 있지 않을까 싶네요. 혼자 살면 국이든 찌개든 안 해 먹으니까요.
츠라빈스카야
21/09/22 14:55
수정 아이콘
근데 1인가구라고 음식을 안먹는건 아닐테고, 결국 밖에서 사먹든가 할텐데 가게 음식이 더 짜거나 하진 않을까요? 보통 간을 세게 하는 편일텐데..
트린다미어
21/09/22 16:14
수정 아이콘
가게에 가서 먹던가 배달을 시키던가 할 수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편의점 도시락이나 김밥 같은 걸로 때우는 게 더 많을 테니까요. 그러면 일단 국물을 안 먹을 테니...
로제타
21/09/22 14:32
수정 아이콘
일본 밖에 안가봤지만 일본은 그냥 짜더라고요 크크크
21/09/22 14:34
수정 아이콘
압도적으로 높다가 많이 줄어든 거죠.
여전히 짠 것도 사실이고.
자루스
21/09/22 14:37
수정 아이콘
일본 라면 먹어보면 아오~!
피잘모모
21/09/22 14:39
수정 아이콘
일본이 진짜 짜더라구요 크크
21/09/22 14:43
수정 아이콘
식품이나 의학쪽 통계자료는 도통 오락가락하는 것들이 많아서 어느 자료를 믿어야 할지 모르겠는 경우가 많더군요. 일단 통계가 의미가 있으려면 조건이 완벽하게 컨트롤이 된 상태여야 하는데, 사람의 건강 내지는 생명이 달린 문제라 함부로 조건을 완벽하게 컨트롤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 말이죠. (가령 소금의 영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어느 그룹에는 소금을 주지 않고 다른 그룹에는 소금을 적정치보다 훨씬 많이 투입한다던가 하는 실험이 불가능). 그런데, 아무튼 나름 외국생활을 오래 해보고 해외 출장도 다양하게 다녀본 경험에서 볼 때, 외국 음식이 더 짜게 느껴지는 것이 많은 것은 사실이긴 합니다만, 우리나라에서는 라면국물/국밥국물에 밥 말아서 다 흡입하고 물냉면 국물을 다 드링킹 하는 데에다, 기본적으로 소금에 절인 김치가 매 끼니 빠지지 않고 오르니, 한식도 소금 섭취량이 만만치 않을 거라고 봅니다.
다레니안
21/09/22 14:50
수정 아이콘
중국음식, 특히 꼬치류 먹으면 "이거 혐한 테러 아닌가?" 싶을정도로 무지막지하게 짜게 줍니다. 크크크
꼭 주문하기 전에 안 짜게 해달라고 해야되요. 크크
감전주의
21/09/22 14:57
수정 아이콘
코스트코에서 과자 사와서 먹어보면 너무 짜서 많이 먹으면 혀가 얼얼 하더라구요
21/09/22 15:07
수정 아이콘
10년동안 30% 정도 줄었다고 들었고 이전에는 짜게 먹었다는 게 거짓은 아닙니다. 중요한 건 미각적으로 짠 게 아닌 실질적인 나트륨 섭취니까요.
포코포코
21/09/22 15:24
수정 아이콘
치킨 진짜좋아하는데 미국가서 파파이스 치킨먹고 한조각먹고 포기했습니다.
소금을 실수로 부은게 아닐까 싶을정도로 짜더라구요.
오송역이맞지
21/09/22 16:08
수정 아이콘
하아.. 이제까지 국물요리 전부 다먹었는데.. 반성해야겠네요
GNSM1367
21/09/22 16:14
수정 아이콘
저도 일본밖에 가보질 않았지만.. 일본은 '전통'음식 류가 진짜 진짜 짰고.. 우동도 짜고, 이탈리안 레스토랑서 먹었던 스파게티도 짜고..
파프리카
21/09/22 16:22
수정 아이콘
필리핀 가서 먹었던 그 짜고 탔던 고기를 잊을 수 없습니다..
오늘처럼만
21/09/22 16:28
수정 아이콘
일본여행 처음가서 첫끼로먹은 우동,
두번째 끼니로 먹은 이치란을 아직도 잊을수가 없습니다 크크

[아니 이 나라사람들은 적당히를 모르는건가??]
전부 물타서 미지근한 면을 먹었...
아기공룡씽씽카
21/09/22 16:39
수정 아이콘
스페인 (바르셀로나) 갔을때 처음 들어간 식당에서 오징어튀김 같은거 먹었는데 너무 짜서 그 다음 요리부터는 무조건 low salt로 해달라고 부탁하고 주문했던 기억이 나네요...
미국 햄버거는 원래 짜다는거 알고 갔었고요
21/09/22 16:48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에서 소금에 절여지는줄 알았습니다.
아마도 한국이 가장 짜게 먹는다는 수치는 한상차림을 해서 상위에 국, 반찬 모두 남김없이 먹을때나 가능한 나트륨 수치를 계산해서 그런게 아닌가 싶네요.
해외여행가서 가정에 초대받아 가서도 한국보다 싱겁게 먹는 나라를 경험해 본적이 없습니다.
티모대위
21/09/22 17:06
수정 아이콘
이 자료들 보고나서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한국인들이 위염 비율이 높은건 맵고짠걸 유난히 많이먹어서가 아니라, 다른 나라들보다 위암외의 다른 암에 덜 걸리기 때문이 아닐까...
HA클러스터
21/09/22 17:28
수정 아이콘
보통 국가별로 비교할때는 절대수치가 아니라 인구 십만명당 발생건수 등으로 따지는지라 우리나라가 위암 발생률이 세계 최상위권인것은 사실인듯 합니다. 2019년 통계봤을때 한국인 위암발생률이 미국인의 10배 수준이었던걸로...
티모대위
21/09/22 17:29
수정 아이콘
엇 글쿤요 감사합니다
짠거보단 매운게 문제인건가...
이른취침
21/09/22 21:19
수정 아이콘
이젠 고령화의 영향도 있겠죠.
당근케익
21/09/22 20:22
수정 아이콘
일본가서 처음 라멘먹었을때 생각나네요
1/3도 못 먹었음 느끼하고 짜서..
21/09/22 21:52
수정 아이콘
프랑스도 엄청 짜고 엄청 달고 그랬어요.
21/09/23 06:53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라멘먹고 이놈들이 소금탕을 주네 이랬고, 독일에서 학센먹고 으악 짜다! 이랬죠
재가입
21/09/23 11:0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점심에 컵라면 먹겠습니다.
21/09/23 11:59
수정 아이콘
우리집은 아예 싱겁게 먹습니다. 저도 좀 더 짭짤한 걸로 먹어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4138 [기타] 샤오미 근황.news [22] KOS-MOS14340 21/09/22 14340
434137 [유머] '총기소지 자율화' 미국 텍사스 근황.jpg [68] 캬라15833 21/09/22 15833
434136 [유머] 긴급 속보 [37] 퀀텀리프15913 21/09/22 15913
434134 [유머] 후방카메라 빌런 근황 [4] 파랑파랑12835 21/09/22 12835
434133 [유머] 네덜란드 방송에서 네덜란드인이 태극기를 꺼내는 짤.jpg [10] TWICE쯔위11658 21/09/22 11658
434132 [연예인] 94년도 연예인 비주얼 [37] 파랑파랑13790 21/09/22 13790
434131 [유머] 포브스 : "오징어게임 꼭봐라" [5] TWICE쯔위12194 21/09/22 12194
434130 [유머] 똥을 만들어 먹는 여 스트리머 [6] 40년모솔탈출10320 21/09/22 10320
434129 [LOL] 선수말년에 치매가 온 칸 [17] Zephiris10742 21/09/22 10742
434128 [기타] 일본에서 받은 문화충격 [23] 퍼블레인19695 21/09/22 19695
434127 [기타] 올해 촬영한다는 넷플릭스 종이의 집 한국판.jpg [31] insane12648 21/09/22 12648
434126 [유머] 평생 월급 260만원으로 살기 [40] 퍼블레인13117 21/09/22 13117
434125 [유머] 정말 무서운 조현병.txt [14] KOS-MOS12799 21/09/22 12799
434124 [기타] 신기한 재귀 영상.embed [2] 비와이6591 21/09/22 6591
434123 [기타] 20세 후반까지 모쏠이라면 하늘의 별이되어라 [35] 퍼블레인12857 21/09/22 12857
434122 [LOL] 1km는 몇 걸음일까요? [7] 어바웃타임8912 21/09/22 8912
434121 [기타] IT강국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4] 닉넴길이제한8자8648 21/09/22 8648
434120 [기타] 비트코인 계좌에 1400억.jpg [24] insane17465 21/09/22 17465
434119 [유머] 한국인은 음식 짜게 먹는다의 진실.jpg [67] 삭제됨12990 21/09/22 12990
434118 [기타] 머드맥스 [5] 쎌라비8712 21/09/22 8712
434117 [기타] 서양의 코스프레 스킬 [8] 김티모10577 21/09/22 10577
434116 [기타] 중고차 시장의 큰손.jpg [10] insane11642 21/09/22 11642
434115 [기타] 유저들에게 반응좋은 플립3 배경화면.jpg [27] 개맹이12230 21/09/22 122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