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08 20:39
(수정됨) 롤 판에서 임대 제도를 많이 활용했으면 좋겠어요.
지금 T1 선수층이 참 두꺼운데 윈나우 모드라서 서브를 활용하기가 그렇죠. 레오나 에포트 같은 선수들 임대로 쓰면 좋을텐데 말입니다. 북미와 중국의 경우 최상위 리그 말고 2군 리그를 겸하는 리그도 따로 있어서 선수들이 충분히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는데 우리 나라도 그런 팀들이 생기면 좋겠습니다.
19/04/08 20:45
아카데미라면 지금 skt, 그리핀, 젠지 등 여러팀이 준비하고 있을거에요. 라이엇코리아에서도 프랜차이즈 도입을 언제할지가 문제지, 도입은 확정이라...
최근 각 팀이 챌린저-마스터 심지어 다이아 상위유저까지 연습생 영입하고 있는데 이와 무관하지 않을거에요
19/04/08 21:02
선수생활이 길지도 않은 판에서 한창 경기 뛰어야 할 선수들이 출전조차 못하는게 너무 아쉬웠는데 아카데미가 준비되고 있다니 그나마 다행이네요.
19/04/08 21:37
롤러와에서 사신이 했던 말에 의하면
이전에도 임대로 이적했던 경우가 제법 있었다고 하더라구요. 레더선수 때문에 이야기가 나왔었는데 선수가 이적할때 임대라고 공식적으로 말을 안해서 그렇지 임대 후 완전 이적형식으로 간경우가 제법 있었다고...
19/04/08 20:46
크레이지 하루는 조금이나마 가능성이 있지만 고리 레오 에포트는 이번시즌 1경기도 출전 못할겁니다. 물론 본인들도 그걸 알면서도 SKT랑 계약했겠지만요.
19/04/08 20:49
사실 아카데미가 있어야 경기경험을 쌓을텐데..
1부리그 후보 선수들이 2부리그 선수들보다도 실전경험이 안쌓이는게 묘하긴 하죠 -.-;; 현재 식스맨 제도의 최대 문제는 식스맨이 1년 내내 경기 출전을 못하고 밴치에만 앉아있는거라고 생각하고.. 북미처럼 아카데미 제도가 도입되어야 각 팀의 식스맨들도 아카데미 경기를 계속 출전하면서 팬들에게 선보일 수 있고 그러면 식스맨의 의미가 더 올라가지 않을까 싶네요.
19/04/08 21:07
지난 시즌 막판에 스텝업하면서 젠지 주전 꿰차고 특히 이번 프리시즌 때 솔랭폼도 엄청났던지라 기대하는 분들 많았는데 정말 아쉽게 됐죠...
근데 지금 주전 멤버들로 너무 잘 나가고 있어서 바꿀 수도 없고 ㅠㅠ
19/04/08 21:00
타 스포츠처럼 체력안배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부상이 잦은 것도 아니라, 천재지변급으로 선수 폼이 떡락하거나 몸상태가 악화되지 않는 이상 경기 한번도 못나올 식스맨 제도가 의미가 없어보이네요...
임대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판이 깔리든가, 아니면 팀당 5명으로 로스터 빡세게 제한하고 문제 생기면 그냥 기권패 처리하든가 하지 않는 한은 선수생명 길지도 않은 판에서 경기조차 제대로 못 뛸 선수들이 너무 아깝습니다.
19/04/08 21:11
근데 skt정도면 연습생 서브할만한게 거치기만해도 프리미엄 붙어서.. 피레안도 한달 잘해준걸로 꽤 이름값 높아졌죠.
그리고 라이엇은 딱히 다인로스터를 장려하는편은 아닌게 국제대회를 6인으로 제한하죠. 팀들이 내부스크림이든 보험으로 데리고 있든 로스터 꽉꽉 채우는게 유리해서 그렇지. 선수들도 2부내려가서 뛰는것보다 1부에 붙어있는걸 선호할걸요. 연봉측면이나 1부 경기뛸 가능성이나 이쪽이 낫다고봅니다.
19/04/08 21:36
근데 그건 페이커나 몇몇만 그런것 같고 모두가 그렇진 않을거 같은데
전에 피넛이었나 술먹고 방송해서 꼬치가 후다닥 뛰어온적 있지 않나요 크크
19/04/08 21:56
하긴 2017년도때 skt도 덜 빡빡해졌다는 증언도 있던걸보니 지금은 다를수도 있겠네요. 근데 그때 skt선수들 배그할때 페이커 혼자 롤하던걸보면 지금도 다른사람 다 마셔도 페이커는 술 안마실거같아요 크크
19/04/08 22:48
에포트는 SKT 이적시장 마감 직전에 마타가 들어와서(어떤 기사에서 로스터 마감하려다 마타 영입했다는 이야기를 봤습니다.) 커리어가 꼬인 거로 보이거든요. 내년에는 다른 곳으로 움직일 지도 몰라요.
19/04/08 21:37
근데 아카데미 신설하면 챌코랑 투트랙으로 가나요? 아님 합치고 프랜차이즈화해서 승강전을 없애려나..? 승강전 없애는건 정말 별론데.. 지금의 글핀 담원 샌박 다 그렇게 올라온팀인데... 개인적으론 챌코랑 합치고 1부 서브팀은 성적이 아무리 높아도 승강전 못가는걸로 조정하는게 어떨까 하는데 그거는 그거대로 복잡하겠네요
19/04/08 21:54
저는 승강전 없애는거 찬성입니다. 쪽방에서 잠자고 감독이 노다가뛰어서 선수들 밥사주고 이런건 이제 없어져야죠....힘들게 올라오지 말고 그냥 프랜차이즈팀 연습생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잘하는사람은 거기서도 몇겜 해보면 아 얘는 싹이 보이는구나 하고 바로 두각이 나타나겠죠. 개천에서 용나고 헝그리한 팀들이 으쌰으쌰해서 1부리그 돌파하는 동화같은 일에 로망이 있으신 느낌인데 굳이 사서 고생이라고 표현하고 싶네요.
능력없는 팀은 그냥 안만들어지는게 선수 복지 및 감독을 위해서 좋은일입니다.
19/04/09 09:24
(수정됨) 바로 몇달 전에 샌드박스 사태가 잇엇던 것처럼 잘하는지 못하는지 솔직히 못 알아볼 확률 꽤 됩니다 자기네들 마음맞는 사람들끼리 합 맞춰서 올라갈 수 있는 루트는 있어야죠 최근 신인 중에 가장 파괴력 잇엇던 신인은 그리핀 선수들과 감독이엇습니다
19/04/08 22:50
2015 서머에 2군 리그와 2부 리그가 챌린저스 코리아 산하에서 동시에 열린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때는 아마추어 풀도 좁았고, 2군 시스템도 완비되지 않아서 한 시즌 하고 2군 리그를 접어버렸습니다.
19/04/08 21:44
전 솔직히 10인엔트리 볼때마다
왜 라이엇은 롤드컵 룰은 6인으로 하면서 지역리그에는 적용하지 않는가? 라는 생각은 계속드네요. 6인이 맞냐 10인 맞냐는 논외로 치고 제발 통일좀 했으면 좋겠어요. 아예 롤드컵도 10인으로 풀던지;;
19/04/08 21:52
하루 같은 케이스야 다른 팀 가면 충분히 주전으로 활약할 선수니 아깝긴 한데...
서브 로스터도 선수들 입장에서는 귀한 일자리죠. 제한은 오히려 선수들한테 피해가 가는 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