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1/07 20:25:38
Name Neo
출처 인베스트조선
Subject [기타] 미친 짓 vs 현명한 투자




http://www.investchosun.com/2018/08/31/3229864

현대자동차가 삼성동 한전 땅을 10조에 매입한 것.


매입 직후 실망한 투자자에 의해 증시 8조 증발.

현재 삼성동 땅값 상승으로 5조 정도 자산가치 증가.

과연 미친 짓이었나 아니면 현명한 투자였나... 여러분들의 생각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1/07 20:27
수정 아이콘
땅값이 오를거라는걸 몰랐을 사람은 당시에도 없었던 것 같고,
아니 그걸 왜 10조씩이나?!?! 가 대세였죠.
그런 점에서 미친 짓에 한 표

똑같이 말하자면, 5조에 샀다면 그 돈 다 회수한 셈이니까요.
Hastalavista
18/11/07 20:27
수정 아이콘
기술개발 같은 데 써야하지 않나 그리 생각하긴 하는데
뭐 땅값이 올랐으면 미친짓 까진 아닌가 싶기도 하고...
18/11/07 20:28
수정 아이콘
앞으로 강남에 다시없을 부지를 과하게 산거니까

적절한 투자정도로 생각합니다.
Zoya Yaschenko
18/11/07 20:31
수정 아이콘
분명 과한 가격이었지만 그래 그럴 수 있지라고 생각했습니다.
이후 해외시장에서 참패를 겪는 모습을 보면서 저럴거면 연구개발에 10조 지르는게 낫지 않았나 했지만요.
18/11/07 20:32
수정 아이콘
미친짓은 아니긴한데.. 빌딩은 좀 이쁘게 지으면 좋겠네요..
능숙한문제해결사
18/11/07 20:32
수정 아이콘
저때 예상가가 얼마였나요??
늘지금처럼
18/11/07 20:33
수정 아이콘
삼성이랑 경쟁붙었었는데 삼성이 3조정도 써서 낸걸로 알고 있습니다
용노사빨리책써라
18/11/07 20:34
수정 아이콘
삼성이 4조정도 질렀을걸요
능숙한문제해결사
18/11/07 20:35
수정 아이콘
늘지금처럼,용노사빨리책써라// 그럼 3~4조라고 쳐도 5조 질렀으면 편히 먹었단 소리네요....?
wish buRn
18/11/07 2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삼성쪽 정신승리란 의견도 많았습니다.
큰 차이 안났는데,낙찰자가 호구인것처럼
능숙한문제해결사
18/11/07 20:40
수정 아이콘
삼성 : 크크크크 쟤들 땅에 10조 박았다는데? 바보아니야?

(와 씨 내가 8조 썻는데 이게 털리나?)


이런느낌으로요?
wish buRn
18/11/07 20:42
수정 아이콘
이해력이 뛰어나십니다~~
능숙한문제해결사
18/11/07 20:45
수정 아이콘
삼성이 삼성동에 본사세우는 꼴보기 싫어서 질렀다는 소리가 나올정도로 이해 안간다는 소리가 나왔었는데 크크크

저같은 개인은 이해가 안가는군요 흐흐
스트라스부르
18/11/07 20:51
수정 아이콘
삼성쪽 입찰가는 공개적으로 발표된 적이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하는 이야기들 다 추정치에요.
다람쥐룰루
18/11/07 20:34
수정 아이콘
얼마를 주더라도 충분히 살 가치가 있는 땅이었죠
그런데 10조는 좀...
18/11/07 22:14
수정 아이콘
모순입니다
18/11/07 22:24
수정 아이콘
댓글적는중에 해킹당하셨나
주파수
18/11/08 00:37
수정 아이콘
10조가 작다고 하면 무모순
복슬이남친동동이
18/11/07 20:35
수정 아이콘
실제로 사건 후긴 하지만 현차 재경직으로 갔던 법인 선배가 피라미드 세운 분위기라고 전해주던데 크크크..
어차피 저 10조원을 그대로 R&D에 집행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이미 재계 탑기업들의 유보금은 엄청나게 쌓여있는데, R&D에 무식하게 집행해주고도 남은 게 그거에요. 삼전도 R&D 추가 투자할 곳이 없어서 현금뺑뺑이 무지하게 돌리는데요. 애플은 이미 헤지펀드의 친구고.

만약 부지가 아니었다면, R&D가 아니라 그대로 쌓아뒀든가 타브랜드 인수쯤 했을 돈인데, 생각해보면 토지에 알박기하는게 이해가 안 되진 않죠.
티모대위
18/11/07 20:41
수정 아이콘
그게 정답이죠 어차피 알앤디에는 돈 넣을만큼 넣은상태일듯
사실 그렇게 유보금이 많으면 미래기술 있는 해외기업 하나 사들이는게 좋아 보이긴 하지만, 기업을 인수하면 여러 골치아픈 문제도 같이 해결해야 하니...
최초의인간
18/11/07 20:45
수정 아이콘
피라미드 크크 굉장히 적절하네요
스트라스부르
18/11/07 20: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매출액 대비 R&D 지출 비율 보면 상당히 낮은 축에 드는게 (사실상 꼴찌?) 현기차 아니던가요.
http://m.ceoscoredaily.com/m/m_article.html?no=32460
http://bizn.donga.com/car/East/3/all/20170923/86467790/2

10조 전체를 R&D에 그대로 지출하지 않았을 거라는 의견에 동의하는 바이지만
뭔가 핀트가 어긋났다... 싶은 느낌이 들긴 합니다.
18/11/07 20:40
수정 아이콘
당장 저땅을 팔아서 5조 챙기는거 아닌 이상
지금 5조 오른건 아무런 의미가 없는거죠
현대 자동차같은 기업이 저땅을 담보로 대출할 기업도 아니고요
18/11/07 20:40
수정 아이콘
1. 10조가 아니었어도 살 수 있었다.
2. 설사 자산가치가 올랐다 한들 그 가격에 재판매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미없다.
18/11/07 20:41
수정 아이콘
5조는 시간이 지나면 더 벌 수 있고, 주가도 회복할 수 있는데, 서울시내 노른자위 땅은 돈있다고 살 수 있는게 아니죠.
18/11/07 20:43
수정 아이콘
땃으면 투자고 잃었으면 미친짓이겠죠.
Ellesar_Aragorn
18/11/07 20:50
수정 아이콘
10조 써서 현대가 망하면 미친짓인데, 어떻게든 안망하면 언젠가는 10조 회수하고 그거 넘게 계속 돈벌거라 생각해서...
18/11/07 20:56
수정 아이콘
2010년에 지리자동차가 볼보 인수한거 보면(2조 2천억), 좀 아쉬운 생각이 드네요. 거기다 요즘 현대차그룹이 무인자동차 시장에서 많이 뒤쳐졌다는데, 기업합병이나 R&D 투자가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스트라스부르
18/11/07 20:58
수정 아이콘
지리차가 볼보를 인수해서 볼보가 살아난 건
1. 지리차 기술이 전반적으로 매우 후진적이다
2. 중국시장 진출이 용이해졌다
는 두가지 요인 때문인데

현기차가 볼보 인수했으면 둘 다 해당사항 없어서 (1. 볼보랑 핵심 분야 겹침 2. 중국 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짐 덩어리만 껴안은 꼴이 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산적왕루피
18/11/07 21:21
수정 아이콘
단순히 인수했다고 끝난게 아니죠. 지리가 인수한 후에 말 그대로 가만히 있던게 아니라고 하더군요.
오유...발 이라 100%확신할수는 없으나 20조원을 지리에서 투자했다고 하더라구요. (댓글에 나와있긴 하네요.)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humorbest&no=1573123&s_no=1573123&kind=search&search_table_name=humorbest&page=1&keyfield=subject&keyword=%EB%B3%BC%EB%B3%B4

꺼라위키에서도 3조원을 투자했다는 얘기가 있구요.
https://namu.wiki/w/%EB%B3%BC%EB%B3%B4

다음에서 '지리 볼보 투자' 라고 검색하니 지리 회사가 로터스에 2조원 투자했다. 제 2의 볼보인가? 라는 식의 뉴스가 첫페이지에 나오네요.
첫페이지만 보고 쓰는 것이긴 하지만, 오유발처럼 20조원까진 아니더라도 일정금액은 투자를 분명히 한것으로 보입니다.
윗대가리가 바뀌었다 한들, 기존의 시스템을 가만히 놔두고 있으면 그대로인것처럼,지리에서 분명한 플랜을 가지고 투자를 한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그린우드
18/11/08 10:25
수정 아이콘
볼보 살아난건 그냥 중국시장 덕분인데 현대는 자기 브랜드도 중국 시장에서 박살나는 마당에 볼보 인수했으면 나락으로 가는겁니다.

10조라는 너무 비싼 가격에 사서 문제지 7조 정도에 질러서 샀으면 사실 문제될건 없었어요.
포프의대모험
18/11/07 20:58
수정 아이콘
서울 노른자땅에 저런땅이 안나올거에요
회사 10년보면 바보짓 30년보면 현명한투자
100년보면 또 모르긴 하겠지맘 길게볼수록 잘한짓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입지라는게 단순 땅투기랑은 다르니까요. 회사 서울이라 입사할 핵심인재도 있을거고 뭐 공무원 상대하고 이래저래 다른사업체 접근성도 좋을거고
18/11/07 21:09
수정 아이콘
원래도 양재동에 있지 않았나요?
꿈꾸는용
18/11/07 21:29
수정 아이콘
현재 부지랑 삼성동이랑은 접근성에서 넘사벽입니다.
지하철공사에서 돈좀 대면 지하철 연장해줄게라고 했을때 경영진에서 “즐” 때리고 말았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접근성은 안좋아요.
애초에 농협건물로 지은거기도 하고요.
18/11/07 23:38
수정 아이콘
삼성동 접근성이 더 좋은거야 저도 압니다만, 그게 무슨 핵심인재가 취업을 고민하거나 공무원 상대하는데 편의성에 차이가 날만큼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죠;
18/11/07 22:05
수정 아이콘
양재역이면 모르겠는데 양재 IC 근처라 좀 외진곳에 있는 느낌 이긴 했죠.
ItTakesTwo
18/11/07 20:59
수정 아이콘
저 땅이 계속해서 서울시내 노른자위땅이라면 나쁘진 않을 거 같은데 현대라는 이미지 자체는 10조 투자 이상으로 나빠지지 않았나 싶네요
기술개발에는 돈 많이 안 쓰는데 부동산에 돈 꼬라박은 기업
이런 이미지가 8조 증발의 시작이 아닌가 싶구요
김티모
18/11/07 21:02
수정 아이콘
현대차가 기술 개발에 10조 박을 리도 없지만 10조 기술에 투자했다 쳐도 남는 게 없을 확률이 높죠. 허공에 뿌리느니 땅에 뿌리겠다!
MissNothing
18/11/07 21:11
수정 아이콘
현명한 투자라곤 절대 못하죠
미친짓인데 이득보는 미친짓이죠 크크크
18/11/07 21:15
수정 아이콘
베팅을 과하게 한게 잘못이지
계속기업 관점에서 보면 무조건 좋은거죠
18/11/07 21:19
수정 아이콘
저런 결정을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똑똑할 지 생각해보면..
맛맛맛
18/11/07 21:20
수정 아이콘
외국 회사들처럼 자동차 하우스나 제대로 만들었으면 좋겠네요
다람쥐룰루
18/11/07 21:23
수정 아이콘
롯데월드타워처럼 뭔가 구경거리라도 만들어주면 나쁘지 않겠죠
18/11/07 21:25
수정 아이콘
사실 이제 기대되는 건 롯데월드타워와 함께 두개의 탑 비주얼이 어떻게 완성되는가가...
티모대위
18/11/07 21:28
수정 아이콘
전주에도 하나 추가될듯합니다
IZONE김채원
18/11/07 21:29
수정 아이콘
봉은사 개호구 ㅜㅠ
ComeAgain
18/11/07 21:30
수정 아이콘
전쟁 절대 안날 이유라고 봅니다.
18/11/07 21:32
수정 아이콘
미친 짓입니다. 모든걸 보여주지 않지만 저걸 지르고 그 이후 주가를 보면 됩니다..
유념유상
18/11/07 21:38
수정 아이콘
땅값만 10조에 저 건물 짖는데도 조단위 돈을 들어 갈걸요?
현대 본사가 접근성 좋다 나쁘다로 기업에 불이익이 있을만한 덩치도 아니고요.
10조로 현대차 테마파크, 드리이빙 스쿨 같으것 했으면 몰라도 이건 그냥 땅투자..
데오늬
18/11/07 22:08
수정 아이콘
브랜드 가치와 자산가치를 바꾼것 같은 느낌...?
18/11/07 22:42
수정 아이콘
이득이죠. 어차피 R&D에 투자한다한들 비용만큼 효과가 나올리 만무하죠. 현대차가 현재 돈없어서 개발할 것 못하고 있는 상황도 아니고요.
벌써 5조 회수했다는데 앞으로 갈수록 이득이겠죠.
파랑파랑
18/11/07 22:52
수정 아이콘
응 주가 폭락
18/11/07 23:03
수정 아이콘
재벌걱정을 제가해서 먼.....
김유라
18/11/07 23:15
수정 아이콘
저 땅 사고난 후 주가가 거의 절반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4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 주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죠. 기업 이미지는 부동산 땅투기나 하는 기업이 되었고요.

그리고 이제 와서 5조 이득이니 '개이득' 이라고 하는건 좀 아닌게, 저 땅이 15조가 아니라 150조의 가치가 된들, 저 땅을 구매할 여력이 있는 기업이 얼마 없습니다. 그렇다고 저 위치가 건물 투자금까지 포함한 총액을 몇 년 만에 벌어낼거란 장담도 어렵고요. 당장 본문 사진에 있는 건물 계획으로 건물 올리려면 몇 년이 걸릴텐데... 지금 현대자동차 상황을 보고 있자면, 그것조차 불투명해보이네요.
이혜리
18/11/07 23:30
수정 아이콘
아무리 봐도 이득.
어차피 저기로 본사 이전하면 양재동 땅도 가져다가 팔 수 있음.
Deus ex machina
18/11/08 00:09
수정 아이콘
내부적으론 나가리 나기를 원하는 사람들도 좀 있다고 합니다 흐흐 짓는데 돈이 너무 많이 든다고...
18/11/08 00:16
수정 아이콘
개이득이죠. 서울 땅은 어딜 사도 개이득.
뒹굴뒹굴
18/11/08 01:05
수정 아이콘
보통은 R&D는 돈 쓰는만큼 결과가 나오는 분야 아닌가요?
R&D에 돈썼어도 결과가 없었을거라는 분들은 어떤 이유로 그렇게 생각하시는건가요?
셧업말포이
18/11/08 01:59
수정 아이콘
효율 문제죠.
1조 써서 70 기대치라면
10조 쓴다고 700 기대치가 되는게 아니라 200~300되기도 어려우니까요.
arq.Gstar
18/11/08 12:10
수정 아이콘
R&D에 투자해봤자 효율 안나온다는건 정체된 분야에 투자할때나 얘기죠.
그 10조로 자율주행 진작 시작했으면.. 으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8561 [기타] 조선왕조실록이 그냥 커피라면 승정원일기는 TOP [22] 삭제됨10100 18/11/07 10100
338560 [기타] 명분 없었던 조선 최악의 쿠데타 [45] 잰지흔10714 18/11/07 10714
338559 [게임] 공략게시판에 글을 쓰면 안됩니다 [9] 알레그리5790 18/11/07 5790
338558 [서브컬쳐] 스테이플러 비밀공간 알았다? 몰랐다? [11] 삭제됨8102 18/11/07 8102
338557 [기타] 스타벅스 보온도시락녀 [18] 삭제됨12114 18/11/07 12114
338555 [유머] pgr유저 빌게이츠 [17] 이호철8054 18/11/07 8054
338554 [기타] 헤드폰 시장의 최강자는 [14] 절름발이이리9519 18/11/07 9519
338553 [기타] 아이폰 판매대수와 매출 [4] 절름발이이리6515 18/11/07 6515
338552 [스포츠] 챔피언스 필드 증축 시나리오.JPG [8] 비타에듀6790 18/11/07 6790
338551 [기타] 가슴을 울리는 주옥같은 노래 가사 [17] 더스번 칼파랑8751 18/11/07 8751
338550 [기타] 미친 짓 vs 현명한 투자 [60] Neo12602 18/11/07 12602
338549 [유머]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이해 [6] Madmon6159 18/11/07 6159
338548 [유머] 어떤 역사고증에 충실한 만화 [12] 서현127752 18/11/07 7752
338547 [동물&귀욤] 주인이 게임하는게 못마땅한 댕댕이 [4] 검은우산6315 18/11/07 6315
338546 [기타] 아이폰 첫 발표회 비하인드 스토리. [17] 삭제됨8612 18/11/07 8612
338545 [유머] 독도가 분쟁 지역인 빼박 증거 [8] 길갈8327 18/11/07 8327
338543 [연예인] 한국의 프레디 머큐리 [9] Neo11323 18/11/07 11323
338541 [동물&귀욤] 대마초를 먹은 댕댕이.jpg [13] 홍승식9829 18/11/07 9829
338540 [유머] 과금? 좀더 배우고 와라 한국 [6] 김티모9861 18/11/07 9861
338539 [서브컬쳐] 포켓몬 도장 "Pokémon PON" [3] 나와 같다면4448 18/11/07 4448
338538 [유머] 깜짝 지마켓 광고.txt [3] 킬리언 머피6460 18/11/07 6460
338537 [유머] 남친이 과외하는 여고생과.txt [24] 휴울12234 18/11/07 12234
338536 [동물&귀욤] 트라우마식 교육법.GIF [29] Lord Be Goja6989 18/11/07 69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