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8/11/07 20:27
땅값이 오를거라는걸 몰랐을 사람은 당시에도 없었던 것 같고,
아니 그걸 왜 10조씩이나?!?! 가 대세였죠. 그런 점에서 미친 짓에 한 표 똑같이 말하자면, 5조에 샀다면 그 돈 다 회수한 셈이니까요.
18/11/07 20:31
분명 과한 가격이었지만 그래 그럴 수 있지라고 생각했습니다.
이후 해외시장에서 참패를 겪는 모습을 보면서 저럴거면 연구개발에 10조 지르는게 낫지 않았나 했지만요.
18/11/07 20:45
삼성이 삼성동에 본사세우는 꼴보기 싫어서 질렀다는 소리가 나올정도로 이해 안간다는 소리가 나왔었는데 크크크
저같은 개인은 이해가 안가는군요 흐흐
18/11/07 20:35
실제로 사건 후긴 하지만 현차 재경직으로 갔던 법인 선배가 피라미드 세운 분위기라고 전해주던데 크크크..
어차피 저 10조원을 그대로 R&D에 집행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이미 재계 탑기업들의 유보금은 엄청나게 쌓여있는데, R&D에 무식하게 집행해주고도 남은 게 그거에요. 삼전도 R&D 추가 투자할 곳이 없어서 현금뺑뺑이 무지하게 돌리는데요. 애플은 이미 헤지펀드의 친구고. 만약 부지가 아니었다면, R&D가 아니라 그대로 쌓아뒀든가 타브랜드 인수쯤 했을 돈인데, 생각해보면 토지에 알박기하는게 이해가 안 되진 않죠.
18/11/07 20:41
그게 정답이죠 어차피 알앤디에는 돈 넣을만큼 넣은상태일듯
사실 그렇게 유보금이 많으면 미래기술 있는 해외기업 하나 사들이는게 좋아 보이긴 하지만, 기업을 인수하면 여러 골치아픈 문제도 같이 해결해야 하니...
18/11/07 20:53
(수정됨)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매출액 대비 R&D 지출 비율 보면 상당히 낮은 축에 드는게 (사실상 꼴찌?) 현기차 아니던가요.
http://m.ceoscoredaily.com/m/m_article.html?no=32460 http://bizn.donga.com/car/East/3/all/20170923/86467790/2 10조 전체를 R&D에 그대로 지출하지 않았을 거라는 의견에 동의하는 바이지만 뭔가 핀트가 어긋났다... 싶은 느낌이 들긴 합니다.
18/11/07 20:40
당장 저땅을 팔아서 5조 챙기는거 아닌 이상
지금 5조 오른건 아무런 의미가 없는거죠 현대 자동차같은 기업이 저땅을 담보로 대출할 기업도 아니고요
18/11/07 20:40
1. 10조가 아니었어도 살 수 있었다.
2. 설사 자산가치가 올랐다 한들 그 가격에 재판매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미없다.
18/11/07 20:50
10조 써서 현대가 망하면 미친짓인데, 어떻게든 안망하면 언젠가는 10조 회수하고 그거 넘게 계속 돈벌거라 생각해서...
18/11/07 20:56
2010년에 지리자동차가 볼보 인수한거 보면(2조 2천억), 좀 아쉬운 생각이 드네요. 거기다 요즘 현대차그룹이 무인자동차 시장에서 많이 뒤쳐졌다는데, 기업합병이나 R&D 투자가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18/11/07 20:58
지리차가 볼보를 인수해서 볼보가 살아난 건
1. 지리차 기술이 전반적으로 매우 후진적이다 2. 중국시장 진출이 용이해졌다 는 두가지 요인 때문인데 현기차가 볼보 인수했으면 둘 다 해당사항 없어서 (1. 볼보랑 핵심 분야 겹침 2. 중국 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짐 덩어리만 껴안은 꼴이 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8/11/07 21:21
단순히 인수했다고 끝난게 아니죠. 지리가 인수한 후에 말 그대로 가만히 있던게 아니라고 하더군요.
오유...발 이라 100%확신할수는 없으나 20조원을 지리에서 투자했다고 하더라구요. (댓글에 나와있긴 하네요.)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humorbest&no=1573123&s_no=1573123&kind=search&search_table_name=humorbest&page=1&keyfield=subject&keyword=%EB%B3%BC%EB%B3%B4 꺼라위키에서도 3조원을 투자했다는 얘기가 있구요. https://namu.wiki/w/%EB%B3%BC%EB%B3%B4 다음에서 '지리 볼보 투자' 라고 검색하니 지리 회사가 로터스에 2조원 투자했다. 제 2의 볼보인가? 라는 식의 뉴스가 첫페이지에 나오네요. 첫페이지만 보고 쓰는 것이긴 하지만, 오유발처럼 20조원까진 아니더라도 일정금액은 투자를 분명히 한것으로 보입니다. 윗대가리가 바뀌었다 한들, 기존의 시스템을 가만히 놔두고 있으면 그대로인것처럼,지리에서 분명한 플랜을 가지고 투자를 한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18/11/08 10:25
볼보 살아난건 그냥 중국시장 덕분인데 현대는 자기 브랜드도 중국 시장에서 박살나는 마당에 볼보 인수했으면 나락으로 가는겁니다.
10조라는 너무 비싼 가격에 사서 문제지 7조 정도에 질러서 샀으면 사실 문제될건 없었어요.
18/11/07 20:58
서울 노른자땅에 저런땅이 안나올거에요
회사 10년보면 바보짓 30년보면 현명한투자 100년보면 또 모르긴 하겠지맘 길게볼수록 잘한짓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입지라는게 단순 땅투기랑은 다르니까요. 회사 서울이라 입사할 핵심인재도 있을거고 뭐 공무원 상대하고 이래저래 다른사업체 접근성도 좋을거고
18/11/07 21:29
현재 부지랑 삼성동이랑은 접근성에서 넘사벽입니다.
지하철공사에서 돈좀 대면 지하철 연장해줄게라고 했을때 경영진에서 “즐” 때리고 말았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접근성은 안좋아요. 애초에 농협건물로 지은거기도 하고요.
18/11/07 23:38
삼성동 접근성이 더 좋은거야 저도 압니다만, 그게 무슨 핵심인재가 취업을 고민하거나 공무원 상대하는데 편의성에 차이가 날만큼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죠;
18/11/07 20:59
저 땅이 계속해서 서울시내 노른자위땅이라면 나쁘진 않을 거 같은데 현대라는 이미지 자체는 10조 투자 이상으로 나빠지지 않았나 싶네요
기술개발에는 돈 많이 안 쓰는데 부동산에 돈 꼬라박은 기업 이런 이미지가 8조 증발의 시작이 아닌가 싶구요
18/11/07 21:02
현대차가 기술 개발에 10조 박을 리도 없지만 10조 기술에 투자했다 쳐도 남는 게 없을 확률이 높죠. 허공에 뿌리느니 땅에 뿌리겠다!
18/11/07 21:38
땅값만 10조에 저 건물 짖는데도 조단위 돈을 들어 갈걸요?
현대 본사가 접근성 좋다 나쁘다로 기업에 불이익이 있을만한 덩치도 아니고요. 10조로 현대차 테마파크, 드리이빙 스쿨 같으것 했으면 몰라도 이건 그냥 땅투자..
18/11/07 22:42
이득이죠. 어차피 R&D에 투자한다한들 비용만큼 효과가 나올리 만무하죠. 현대차가 현재 돈없어서 개발할 것 못하고 있는 상황도 아니고요.
벌써 5조 회수했다는데 앞으로 갈수록 이득이겠죠.
18/11/07 23:15
저 땅 사고난 후 주가가 거의 절반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4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 주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죠. 기업 이미지는 부동산 땅투기나 하는 기업이 되었고요.
그리고 이제 와서 5조 이득이니 '개이득' 이라고 하는건 좀 아닌게, 저 땅이 15조가 아니라 150조의 가치가 된들, 저 땅을 구매할 여력이 있는 기업이 얼마 없습니다. 그렇다고 저 위치가 건물 투자금까지 포함한 총액을 몇 년 만에 벌어낼거란 장담도 어렵고요. 당장 본문 사진에 있는 건물 계획으로 건물 올리려면 몇 년이 걸릴텐데... 지금 현대자동차 상황을 보고 있자면, 그것조차 불투명해보이네요.
18/11/08 01:05
보통은 R&D는 돈 쓰는만큼 결과가 나오는 분야 아닌가요?
R&D에 돈썼어도 결과가 없었을거라는 분들은 어떤 이유로 그렇게 생각하시는건가요?
18/11/08 12:10
R&D에 투자해봤자 효율 안나온다는건 정체된 분야에 투자할때나 얘기죠.
그 10조로 자율주행 진작 시작했으면.. 으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