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8/11/03 21:09
이번 실험을 진행한 서울대 산업환경보건연구실의 윤충식 교수는 "수돗물 가습기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는 폐포까지 잘 들어갈 수 있는 크기"라고 말했다. 정리하자면, 초음파 가습기에 수돗물을 넣고 틀면 미세먼지, 아니 극초미세먼지가 많이 나온다. 그리고 이는 사람의 폐포에 잘 침투할 수 있는 크기다.
[임종한 인하대 의과대학 교수] "수돗물 가습기에서 나오는 칼슘, 나트륨 등은 양이온 물질로 특히 아주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호흡기로 들어갔을 때 염증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라고는 있네U
18/11/03 21:11
문제는 정수기,증류수 물을 써도 균이 있다는거죠.
애초에 초음파 가습기는 말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아이있는 집에서는 [가열식 가습기]를 쓰죠. 수돗물로요.
18/11/03 22:30
이것저것 다 믿기 힘들면 옛날식으로 하면 됩니다.
수건, 손수건 적셔서 널어 놓고, 신문지나 휴지 깔아서 적셔 놓고. 전 아직 이 방법 씁니다.
18/11/04 08:07
기화식 가습기 쓰시면 됩니다. 전 https://www.amazon.com/Vornado-Evaporative-Humidifier-Automatic-Shut-off/dp/B072BHVCCN/ref=mp_s_a_1_6?ie=UTF8&qid=1541286163&sr=8-6&pi=AC_SX236_SY340_QL65&keywords=humidifiers+vornado&dpPl=1&dpID=41BBTXOL7uL&ref=plSrch 이거 쓰는데 프리볼트(공식은 아닙니다만...)에 필터도 한국 구매 가능해서 쓸만합니다. 블프때 노려보세요.
18/11/03 22:05
가습기 살균제 사건때도 초음파 가습기 사용한 가정에서 사망자 나왔죠. 가열식이나 기화식 가습기에서는 가습기에서 뿜어주는 입자에 세균이 올라타지 못하는데 초음파식에서는 세균이 올라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18/11/03 22:26
초음파식을 쓴다면 가장 좋은건 정수기 쓰시고 자주 물 갈아주세요. 세척도 꼼꼼히 해주시구요. 물은 하루 지나면 가차없이 버리시구요.
18/11/04 00:23
글을 좀 찾아보니,
1. 초음파 가습기 사용시 증류수 < 정수기 < 수돗물 순으로 미세먼지 발생 2. 이는, 증류수는 미네랄이 없고, 정수기는 수돗물 보다 적기 때문 3. 다만, 가습기 제조업체들의 얘기는, 마실 수 있는 물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중금속 미세먼지와는 다르며 인체에 유해하다는 증거가 부족함. 또한, 세균 측면에서 수돗물이 우수하기 때문에 수돗물 사용을 권장 이정도 였습니다.
18/11/04 01:25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미세먼지 센서는 대부분이 광학식 센서입니다.
광원의 차이라던가, 농도를 계측하는지 개수를 계측하는지 (이 쪽은 사실 업계에서는 미세먼지 센서라고 하지 않고 파티클 카운터라고 부릅니다) 라던가 하는 디테일한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미세먼지 센서는 공기중 이물로 인한 빛의 난반사를 통해 측정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전 개인적으로 해당 기사에서 진행된 실험은 "수돗물을 초음파 가습기에 사용하면 미세먼지를 뿜는다" 가 아니라 "초음파 가습기에 사용된 물의 종류에 따라 미세먼지 센서의 측정값이 달라진다" 가 맞다고 봅니다. 이유는, 기사에도 나와있듯이 증류수, 정수기 물, 수돗물이 포함하고 있는 성분이 차이가 있기 때문이겠죠. 초음파 가습기가 초음파를 통해 물을 미세한 알갱이 형태로 쪼개어 공기 중으로 날려 보내는 제품이기 때문에, 물이 포함하고 있는 성분의 차이로 센서에 진입한 알갱이에 조사된 빛의 난반사 차이가 발생할 수 있게 되거든요. 만약 위처럼 주장하고 싶으면 상기 실험에서 통제되어야 할 변인이 더 있을 뿐더러 (물의 종류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를 통해 분사된 물 알갱이의 크기라던가. 물론 당연히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겠죠) 수돗물에 포함된 물질이 폐포에 초음파 가습기로 인해 쪼개질 수 있는 크기로 진입했을 때 어떠한 위험성이 있는지도 더 세부적인 근거가 추가 제시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실험 결과는 미세먼지 센서 업체나 공기청정기 업체가 매뉴얼에 주의사항을 적어넣기 좋게 실험을 대신 해준 정도라고 생각되지만 초음파 가습기 업체나 공기청정기 업체들 CS센터는 또 한동안 죽어나가겠네요.. 크크 물론, 개인적으로는 초음파 가습기는 안 쓰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