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01 22:44:24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889379400
Subject [일반] 책 후기 - <하얼빈>

몇 번이고 언급했지만, 저는 장편보다는 단편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문장력과 구성이 중요한 장편보다 발상과 그 전개가 중요한 중단편이 더 끌리는 취향이라 그렇습니다. 그 선후관계는 말씀드리기 어렵지만요.


그런 중에 저에게 김훈이라는 작가님은 가시와 같은 느낌입니다. 그러니까, 이해하기 어렵고 (어디까지나 개인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문장력'이란 측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작가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언젠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였나 혹은 모의고사 문제지에서 만났던 <현의 노래>는 그 짧게 편집된 분량에도 불구하고 저에게 큰 인상을 남긴 문장들이었으니까요.


<하얼빈>의 이야기는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안중근 의사의 일주일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언어로 표현하자면 김훈 작가님 특유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불가해한 세상에 대해 한 사람이, 혹은 한 남성이 부딪치는 이야기'라는 점에서요. 이야기는 그런 점에서 '교차'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대련에서 하얼빈으로 이어지는 이토의 이야기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하얼빈으로 연결되는 안중근의 이야기로, 혹은 두 가지의 의지가 맞부딪치는 장소로써의 하얼빈으로.


동시에 이야기는 빌렘 신부와 뮈텔 신부의 이야기를 곁들이며 어떤 점에서는 종교적인 물음, 정확하게는 카톨릭의 물음을 담기도 합니다. 어찌보면, 이 또한 교차라고 할 수 있겠네요. 하느님의 나라와 세속의 나라의 경계선에서 '죄'는 너무나도 많거나 혹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좋았던 문장 하나를 남길까 합니다. 뒷 표지에도 써진 문장으로 후기를 마칠까 합니다.


'총구를 고정시키는 일은 언제나 불가능했다. 총을 쥔 자가 살아 있는 인간이므로 총구는 늘 흔들렸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02 10:04
수정 아이콘
단편소설에 발상이 중요하다고는 들었는데, 문장력은 장편에서 더 중요한가요? 길어질수록 문장보다는 내용전개에 더 집중하게 된다고 생각했었는데 아닌가 보네요.
aDayInTheLife
22/10/02 10:36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문장이 부족하더라도 발상의 힘으로 단편은 끌고 갈 수 있다고 생각을 하는 편이라 그렇게 썼습니다. 저는 아무래도 길어질수록 문장의 맛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조과장
22/10/05 19:23
수정 아이콘
이분 신간이 나온지도 몰랐습니다.
알려주서서 오늘 서점에서 사서 읽는 중입니다.
아직 초반이지만 역시 글맵시가.....
현의 노래, 남한산성 같은 작품의 냄새가 나서 좋았습니다.
aDayInTheLife
22/10/05 19:24
수정 아이콘
재밌게 읽으십쇼!
확실히 김훈 작가님 스러운 문장이 있죠.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30] jjohny=쿠마 25/03/16 38312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524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946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5901 4
105234 [일반] 중세 저지대의 경제·사회 발전 계층방정94 25/10/17 94 2
105233 [정치] 조국 비대위원장의 서울시장 출마가 현실화된다면 민주당이 고민할 만한 이유. [100] petrus7384 25/10/17 7384 0
105232 [정치] [NYT] 우크라이나 종전 위해 트럼프-푸틴 (또;) 정상회담 예정 [40] 철판닭갈비4983 25/10/17 4983 0
105231 [일반] 제19회 2025년 국제 쇼팽 콩쿠르 파이널 진출자가 발표됐습니다. [24] 계층방정4998 25/10/17 4998 2
105230 [일반] 술 먹고나서 쓰는 잡설 [9] 푸끆이3797 25/10/17 3797 7
105229 [정치] 트럼프 "베네수엘라 영토 공격 검토"…마두로 "그들을 거부한다" [22] 베라히6987 25/10/16 6987 0
105228 [정치] 서울/경기 상급지 부동산의 공급 시그널인 재건축과 가격안정 [264] 유동닉으로8877 25/10/16 8877 0
105227 [정치] “김옥숙 메모 300억은 ‘뇌물’…노소영 자충수였다” [12] petrus5328 25/10/16 5328 0
105226 [정치] 특검 “尹, 계엄 명분 만들려 ‘평양 드론작전’ 승인” [146] 전기쥐8953 25/10/16 8953 0
105225 [정치] 임은정 지검장vs백해룡 경정 논란과 이재명 대통령은 상설특검으로 선회? [40] 청둥오리5390 25/10/16 5390 0
105224 [정치] 부동산 대책이 나온 이후 부린이가 이해가 안되어서 쓰는글 [189] 돌부처님7479 25/10/16 7479 0
105223 [정치] 고위 공직자 재산 내역 웹사이트가 나왔습니다. [39] 이재명냉장고 5448 25/10/16 5448 0
105222 [정치] ‘그레이트 한강’ 오세훈의 여의도 서울항 요구…해수부 ‘반영 거부’ [61] 베라히5315 25/10/16 5315 0
105221 [일반] 추억돋는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100년전의 전세계 시가총액 탑텐 기업들 [16] 이게무슨소리4024 25/10/16 4024 2
105220 [일반] 마누라 교체에 2조? 대법, 최태원·노소영 이혼소송 파기환송 [81] atlas6358 25/10/16 6358 0
105219 [정치] 조국 비대위원장이 서울시장을 염두에 둔 정치적 액션을 보이고 있네요. [97] petrus5481 25/10/16 5481 0
105218 [정치] 한국 미국 관세협상 [75] 만우9468 25/10/16 9468 0
105217 [정치] '이재명 사건' 3월 28일부터 봤다던 대법원…공식문건엔 4월 22일 [243] 베라히12256 25/10/15 12256 0
105216 [정치] 이재명 선거법 대법원 파기환송심 위법? [21] 삭제됨3961 25/10/15 396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