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5/10 20:14:31
Name 나는모른다
Subject [일반] 빨대의 구멍은 몇 개인가?


1. 수학적 해석
genus 1.
다 아시죠?
넘어갑시다.







2. 세계관적 해석

2.1.
수학자 김민형이 이 문제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근데 이게 위상동형의 개념으로 해결되는 문제인가요?"
김민형이야말로 이것이 genus 1인 것을 다 알고 있는데 왜 이랬을까요?

2.2.
이런 사람을 생각해 봅시다.
어떤 사람이 도넛 카페에서 도넛 대신 컵을 파는 사람이 있다 해봅시다.
그는 고소를 당했습니다. 그는 법정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도넛과 컵은 둘 다 genus 1이다. 둘은 같은 것인데 왜 날 고소하는가?"
자, 다 압니다. 이 사람은 미친 사람입니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 미친 걸까요?

2.3.
이 사람은 이 뒤에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 수학을 정말로 깊게 탐구해야지만, 세상을 탐구할 수 있게 되고, 세계를 완전히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세계에 대한 완전한 설명이 될 때에만 내가 왜 틀렸는지 알 수 있지 않겠느냐?"
이렇게 되면 이 사람이 왜 미친 것인지를 알기 힘들게 될 겁니다.
이 사람은 전형적인 논리를 법학에 넣으려 한 사람입니다.

하지만 세계를 논리적으로 완전히 설명하려는 행위는 뭐가 잘못일까요?

2.4.
초기 비트겐슈타인은 의미와 무의미를 그 의미 안에서 한계를 지으려는 시도입니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모든 의미있는 명제는 진정한 의미의 뜻에서 무의미합니다.
논고 6.53이 보인 철학의 방법은 윤리적인 문제 대신 대답될 수 있는 자연과학의 문제만을 문제로 삼음으로서 윤리적인 질문을 표현하는 행위를 피하고, 이렇게 함으로서 논고 6.521처럼 문제의 해결 대신 문제의 소멸로서 오히려 윤리적인 문제를 보존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진정한 의미의 뜻에서 무의미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뜻에서 의미가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세계에 대한 완전한 설명에 대해 어떤 한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3. 철학적 해석

3.1. 칼 슈미트
칼 슈미트는 초기 비트겐슈타인과 비슷합니다.

3.1.1. 법의 예외상태
법은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처럼 법이 적용되는 정상상태와 법이 적용되지 않는 예외상태를 규정합니다.
칼 슈미트 전 법실증주의자들은 법의 정상상태만을 논의했지만, 칼 슈미트는 달랐습니다.
칼 슈미트는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지금의 법에서 민주주의를 거부하는 계엄령에 대한 법률이 있는 것을 봅니다.
법은 언제나 그 법을 거부해야 할 예외상태가 있다고 말합니다.

3.1.2. 결단
또한, 여기서 그는 정의와 법의 관계에 대해서 말합니다.
칼 슈미트는 아마도 법이 얼마나 정의를 다루기 힘든지를 무의식적으로 처절하게 알아챈 인물이라고 봅니다.
정의는 언제나 트롤리 문제 같습니다.
언제나 내 판단으로 한 명의 사람을 죽여야 할지, 자연의 힘으로 다섯 명의 사람을 죽여야 할지 문제를 삼아야 합니다.
칼 슈미트는 이 해답으로 "결단"을 강조합니다.
이 결정 불가능한 정의에 있어서 결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 것입니다.

3.2. 무서운 결론
그는 이 논변을 통해 무서운 논변을 댑니다.
바로 주권자의 독재입니다.
독재만이 결단을 최적의 상태로 이끌어낼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칼 슈미트에 따르면 민주주의는 영원한 대화만을 이끌어내려는 환상에 불과합니다.
언제나 법은 결정을 내려야 하는데, 영원한 대화는 이것을 막는 것에 불과한 것입니다.
그는 민주주의의 진정한 뜻은 오히려 독재에서 더 잘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합니다.

3.3 데리다
이것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까?
데리다는 자신의 탈구축이라는 이론을 이용해 이것을 비판합니다.

3.3.1. 지시
데리다는 말합니다. 언어의 의미는 어떤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말입니다.
이것은 굉장히 이상해 보이지만, 비트겐슈타인과 콰인은 이것에 대한 논변을 세웠습니다.

해외의 누군가가 연필을 가리키며 "이것은 가바가이다"라고 해봅시다.

이것이 "이것은 연필이다"를 뜻하는지 "이것은 둥글다"를 뜻하는지 "이것은 나무다"를 뜻하는지 "이것은 하나다"를 뜻하는지 "이것은 딱딱하다"를 뜻하는지 우리는 모릅니다.

3.3.2. 저자
누군가는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그래도 저자는 그 뜻을 알고 있다."
이것을 비판하는 것은 이상해 보이지만, 롤랑 바르트는 이것에 대한 논변을 세웠습니다.

그는 그의 철학 초기에 "영도"라는 것을 제안합니다.
영도는 어떤 제도가 생성된 순간의 현장, 즉 역사적인 가치판단이 개입해서 그것을 더럽히기 전의 가공 전 상태를 말합니다.
롤랑 바르트의 시절엔 구조주의라는 다양한 인간적 삶의 형태에서의 "영도의 탐구"를 하려는 연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전에 말한 세계를 완전히 설명할 때에만 자신의 판단이 가능하다는 한 미친 사람과 무엇이 다릅니까?

그래서 롤랑 바르트는 그의 후기에 "저자의 죽음"이라는 것을 제안합니다.
저자의 뜻은 전혀 상관이 없고, 그의 텍스트와 그 텍스트를 받아들이는 독자만이 중요하다고 판단을 내렸습니다.

3.3.3. 두 해석
데리다는 이 상황에서 이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해석을 종결할 수 있는 해석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석에 대한 우리 생각과는 다르게, 해석은 하나로 끝나지 않는다. 텍스트는 언제나 여러가지로 해석할 수 있게 열어준다."
문자언어의 의미는 언제나 두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한 것입니다.

이 주장은 참으로 논쟁적입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한 칼 슈미트도 이것을 반대할 것 같습니다.
이 주장대로라면 트롤리 문제와 같은 정의 앞에 우리는 언제나 결단을 내려야 하는데, 이것을 중지하라는 말밖에 되지 않느냐고 할 것입니다.
만일 정의가 언제나 이렇게 결정 불가능할 것이라면 법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할 것입니다.

3.3.4. 대안
데리다는 여기서 이렇게 말합니다.
다른 대안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언제나 의미는 두 해석을 열어주지만, 언제나 의미는 언어에서 나온다고 말입니다.
그렇게 의미는 불가피하게 여기서 열려 있게 됩니다.

4. 결론
여기서 누군가는 "대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라고 비판할 것입니다.
이것은 현대 철학자에게는 도저히 좋은 비판이 아닙니다.
이 현대 철학의 흐름을 위해 미셸 푸코의 이론을 인용할까 합니다.

그에 따르면, 지식인은 해답, 교훈, 대안을 제시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지식인이 사람들에게 "인간은 자유롭다"고 말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 지식인은 "어떤 것이 인간을 부자유케 한다"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뿐입니다.
그것으로 사람들은 그것을 통해 삶의 의미를 만들어나가고, 저항의 정치를 실행하게끔 도움을 줄 뿐입니다.
이렇게 본다면, "대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라는 말만큼 한심한 말이 없는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리한
22/05/10 20:24
수정 아이콘
컵에 손잡이가 없었나보죠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2/05/10 20:25
수정 아이콘
앗...크크
에린의음유시인
22/05/11 14:42
수정 아이콘
저도 종이컵 형태를 생각하고...고민했습니다
유료도로당
22/05/10 20:28
수정 아이콘
2.2까지는 정확하게 이해했는데 그 다음문단부터는 마법처럼 아무것도 모르겠네요. 분명히 끝까지 읽었는데도 하나도 읽지 않은것 같은 느낌...

한국어 글을 읽고 이렇게 머리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게 오랜만이라 당황스럽습니다...
스토리북
22/05/10 20:31
수정 아이콘
이거 완전 가바가이네요.
마술사
22/05/10 20:33
수정 아이콘
컵에 바닥이 없었나요? 그렇지않고서 어떻게 도넛이 컵과 위상동형인거죠? 이해가 안되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2/05/10 20:33
수정 아이콘
손잡이가 있으면 위상동형일겁니다...없을때도인지는 모르겠고...
유료도로당
22/05/10 20:41
수정 아이콘
구멍뚫린 손잡이가 달린 머그컵류 이야기입니다. 손잡이 없는 유리컵은 구와 위상동형일거고요.
마술사
22/05/10 20:45
수정 아이콘
손잡이가 있다는 생각을 못했네요
유리한
22/05/10 21:26
수정 아이콘
제 첫 댓글이 그 뜻이었어요 흐흐
라멜로
22/05/10 20:35
수정 아이콘
빨대 구멍은 두개고
도넛 구멍은 한개입니다
아무튼 이게 맞아요
닉네임을바꾸다
22/05/10 20:36
수정 아이콘
뭐 어찌보면 법률들도 어떠한 명제들로 이루어진 논리계라고 보면...사실 그 안에 모순이 있다는게 뭐 당연한거일지도...법 내에서 일단 모든걸 때워야하는 구조인 이상...?
원상연
22/05/10 20:3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사람도 빨대라는 말씀이시죠?
리니시아
22/05/11 09:2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
드워프는뚜벅뚜벅
22/05/10 21:19
수정 아이콘
종이 빨대 1시간 동안 물고 있기
Old Moon
22/05/10 22:04
수정 아이콘
앞과 뒤는 하나라고 생각해서 뒤로 술을 마시고 병원에 가지 맙시다.
22/05/11 07:47
수정 아이콘
빨대에 구멍이 "하나 아니면 둘"이라는 생각을 포기하면 됩니다
레드빠돌이
22/05/11 09:09
수정 아이콘
항문도 문인가?
살려야한다
22/05/11 09:34
수정 아이콘
이것도 질문인가?
내맘대로만듦
22/05/11 09:46
수정 아이콘
야하네요
바람기억
22/05/11 09:45
수정 아이콘
나오기도 하지만, 때로는 들어가기도 하니
문이 맞네요
(한자도 문 문)
닉네임을바꾸다
22/05/11 17:05
수정 아이콘
근데 문이 꼭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게 전제되어야할까요?
-안군-
22/05/11 19:06
수정 아이콘
단방향이면 포탈...
닉네임을바꾸다
22/05/11 19:13
수정 아이콘
환영의 문은 단방향이란 말입니다...(로스트아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610 [일반] 모욕죄 고소당하고 불송치된 후기 [50] 김유라20810 22/05/13 20810 35
95608 [일반] 루나코인 바이낸스 상폐 + 업비트/고팍스/빗썸 상폐 공지 [21] Leeka9350 22/05/13 9350 5
95607 [일반] BK의 소송이야기 2탄 [16] BK_Zju10014 22/05/13 10014 7
95606 [일반] 연구자 분들께 여쭙니다. 이럴수가 있는건가요? 혼란스럽습니다. [63] 60초후에15865 22/05/13 15865 3
95605 [일반] 착한 사람이 될 기회를 박탈당한 이들이 있는가 [26] 아빠는외계인7502 22/05/13 7502 25
95604 [일반] 두나무(업비트), 2021년 루나 처분해 1300억 투자이익 [58] VictoryFood17095 22/05/13 17095 6
95603 [일반] 플라스틱에 대한 오해 [23] 체크카드8814 22/05/13 8814 16
95602 [일반] 루나코인이 바이낸스에서 0시 30분에 선물이 상폐됩니다. [42] Leeka13863 22/05/12 13863 4
95601 [일반] [약국단상] 마스크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방해합니다. [18] 구준표보다홍준표8110 22/05/12 8110 17
95600 [일반] [15] 시계에 밥을 주라고 해서 줬을 뿐인데.. [8] 파란무테6208 22/05/12 6208 15
95598 [일반] [15] 꽃으로도 때리지 않겠습니다 [18] 나래를펼쳐라!!5644 22/05/12 5644 20
95597 [일반] 러브젤 면도 후기 [46] speechless13696 22/05/12 13696 26
95595 [일반] 우리에게는 화형식이 필요하다. 그것도 매우 성대한 [33] 12년째도피중12671 22/05/12 12671 20
95594 [일반] [15] 어느 여자아이의 인형놀이 [19] 파프리카너마저5329 22/05/12 5329 26
95593 [일반] <민스미트 작전> - 모든 것에는 이야기가 깃들어 있다.(스포?) [8] aDayInTheLife3974 22/05/11 3974 2
95592 [일반] 좋아하는 칵테일 베스트 3 [56] 삼화야젠지야5819 22/05/11 5819 3
95591 [일반] [생각] 조직에서 애매한 방해 요소는 어떻게 도려내는가 [20] 맑은강도10150 22/05/11 10150 15
95590 [일반] 오드택시 우주 명작이네요.(스포) [10] 그때가언제라도8881 22/05/10 8881 2
95589 [일반] 빨대의 구멍은 몇 개인가? [24] 나는모른다11597 22/05/10 11597 7
95588 [일반] 나는 어떻게 문도피구를 우승하였나? [77] 임영웅9798 22/05/10 9798 55
95587 [일반] 음식.jpg [42] 이러다가는다죽어10289 22/05/10 10289 19
95586 [일반] 두 아이 아빠가 바라보는 한국의 걱정되는 미래 [91] 난할수있다13848 22/05/10 13848 13
95585 [일반] 오늘부로 공식적으로 전역했습니다. [25] Leos7595 22/05/10 7595 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