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4/03 10:34:11
Name 우주전쟁
Subject [일반] 봉준호가 선택한 소설 [미키 7] (수정됨)
9781250275035.jpg?w=900

봉준호 감독이 로버트 패틴슨을 주연으로 해서 제작하고 있다고 해서 화제가 되고 있는 차기작은 [미키 7]이라는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을 쓴 에드워드 애쉬튼은 미국에서도 무명에 가까운 작가라고 합니다. 들리는 말로는 작가가 봉준호 감독에게 아직 출간되기 전의 작품을 건넸고 봉준호 감독이 원고를 읽어보고는 맘에 들어해서 영화제작으로 이어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작품의 무엇이 봉준호 감독을 사로잡았을 지 궁금해서 저도 직접 작품을 읽어 보았습니다.

작품을 읽으면서 떠올리게 된 사람은 바로 [마션]의 작가 앤디 위어였습니다. 문체나 소설의 전개 방식 등이 앤디 위어의 스타일과 상당히 유사했습니다. 앤디 위어 특유의 유머러스한 그 분위기 역시 에드워드 애쉬튼의 이 작품에서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이 작가만의 필살기랄까, 뭔가 번뜩이는 영감 같은 것은 없었습니다. 일회용 종이컵처럼 한번 쓰고 나면 버리고 새로 찍어내는 복제인간이라는 소재도 그렇게까지 신선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제의식을 깊이 파고 들어가지도 못한 것 같습니다. 진정한 "인간성"이란 무엇인가라고 하는 문제를 그냥 이야기 전개를 위해 소비했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볼 때는 흔한 SF 소설이라고 느껴졌습니다. 믈론 아예 기본기가 부족한 망작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높이 평가를 받을 작품 역시 아닌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그러다 보니 과연 봉준호 감독은 이 작품에서 어떤 특별한 것을 포착해 낸 것인지 궁금해집니다. [설국열차]에서도 그랬듯이 봉 감독이 소설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영상화 하지는 않을 것이고 소재만 취한 후 자신의 스타일대로 각색해서 영화을 만들텐데 과연 영상으로 만들어진 [미키 7]은 소설과 또 얼마나 달라질 지 호기심이 동합니다. 봉 감독이 공략할 만한 지점은 충분히 있다고 보입니다. 확실히 소설보다는 영화가 더 기대가 되어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2/04/03 10:58
수정 아이콘
옥자나 설국열차를 생각하면 이것도 평작 정도 되지 않을까 마 그런 느낌이..
로메로
22/04/03 14:13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봉준호 감독이 영어를 아예 못하지는 않아도 원어민처럼 하진 못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원고를 받을때 번역을 해서 받는걸까요?
우주전쟁
22/04/03 14:36
수정 아이콘
말하는 건 조금 어려워도 독해는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요? 저도 뭐 읽었는데요...;;
기사조련가
22/04/04 11:12
수정 아이콘
독해는 쉬워요 특히 특정 장르를 좋아하면 그 장르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가 있거든요.
22/04/03 21:24
수정 아이콘
특별하고 번뜩이는것은 봉감독님이 추가해주면될것같습니다 크크
열혈둥이
22/04/04 08:44
수정 아이콘
그리고 그 특별하고 번뜩이는 연기는 송강호한테 [해줘]
나혼자만레벨업
22/04/04 00:32
수정 아이콘
연출 스타일이 해외 배우들의 느낌과 궁합이 잘 안맞으시는 거 같아서 살짝 걱정이네요.
55만루홈런
22/04/04 00:43
수정 아이콘
제작만 하는 줄 알았는데 연출까지 하는건가 보네요 솔직히 봉준호는 딱 기생충,마더처럼 한국 배우와 현대극? 찍는게 베스트라 보고 sf..는 괴물이 피크고 설국열차랑 옥자는 걍 소소했던거 보면 그래도 봉준호라 망까진 아니지만 절대 마더나 기생충급은 아닐것 같네요 크크 괴물급만 나와도 대박이긴 한데...

결론은 그래도 봉준호라 기대하지만 외국자본쓴 봉준호는 생각만큼 믿음은...
닉언급금지
22/04/04 13:21
수정 아이콘
이영도 씨 소설 중에 아들을 실수로 죽인 우주선의 선장이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죽이는 소설이 있었지요.
소재만 보고 딱 떠오른 소설은 이거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8] jjohny=쿠마 25/03/16 1980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2810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7204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0076 4
10420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8)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完) [2] 계층방정588 25/05/21 588 2
104206 [일반] 그 날, 2편 회피와 기피 [2] 똥진국2188 25/05/20 2188 5
104205 [일반] SPC삼립 크보빵 생산공장 사망사고 [62] Croove7316 25/05/20 7316 6
104204 [일반] 친구의 병문안을 다녀왔습니다. [12] Enigma4125 25/05/20 4125 9
104203 [일반] [노스포] 미션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후기 - 오타쿠는 오마쥬랑 수미상관에 약하다구 [24] 헤세드3613 25/05/20 3613 2
104202 [일반] 중국인 흉기난동 사건: 말해도, 말하지 않아도 혐오는 커진다 [73] 계층방정9464 25/05/20 9464 23
104201 [일반] 어떤 일본 축구선수의 만화와도 같은 생애 [35] 無欲則剛7301 25/05/20 7301 23
104200 [일반] SKT 해킹사태 2차 조사결과 IMEI 유출 가능성 발견 [79] 윈터11226 25/05/19 11226 7
104199 [일반] 책 후기 - <1973년의 핀볼> [7] aDayInTheLife4873 25/05/18 4873 5
104198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7)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6) [3] 계층방정4070 25/05/18 4070 3
104197 [일반] 태양광 산업 기사회생? [110] 如是我聞13521 25/05/18 13521 7
104195 [일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스트 액션 히어로. (노스포) [93] aDayInTheLife10360 25/05/17 10360 7
104194 [일반] 미신에 대한 생각 [24] 여기7449 25/05/17 7449 13
104193 [일반] AI 음악 딸깍! 도전해보기 [11] 여행의기술6481 25/05/16 6481 8
104192 [일반] 닭비디아 주가 [43] 퀀텀리프11843 25/05/15 11843 0
104191 [일반] <해벅> -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보인다는 것. (노스포) [7] aDayInTheLife6089 25/05/16 6089 1
104190 [일반] 북한은 과연 김주애가 권력을 승계받는게 가능할까요? [68] 독서상품권12139 25/05/15 12139 1
104189 [일반] 어쩌면 PGR의 미래? [45] bifrost8637 25/05/15 8637 4
104188 [일반] 중동외교의 대전환을 꾀하는 듯한 트럼프 [30] 크레토스7582 25/05/15 758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