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8/06 18:33:11
Name 비온날흙비린내
File #1 0003538357_001_20210805145706622.jpg (102.0 KB), Download : 58
Subject [정치] 유승민 저출생 해결 공약 "양성평등 실현될수록 저출산 문제 해결"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538357

"국민의힘 대권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은 5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저출산의 원인 중 하나로 페미니즘을 꼽을 것에 대해 "양성평등이 실현될수록 저출산 문제가 해결된다"고 반박했다.

유 전 의원은 이날 온라인으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윤 후보가 페미니즘과 저출생을 연관시키는 발언을 한 것 같은데, 진의는 모르겠지만, 저출생 문제는 페미니즘과 관계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히려 유 전 의원은 페미니즘이 주창하는 성평등이 이뤄질수록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인 저출산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양성평등을 실현하면 할수록 저출산 문제에 해결에 도움이 된다"며 "현재 이를 상징하는 용어가 '독박육아'고,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고 언급했다."

---

파이어 나기 딱 좋은 주제라서 퍼오기가 좀 그랬는데 그래도 한번쯤 올려봐야 하는게 아닌가 싶어서 올려봅니다.

기본적으로는 성평등을 이룩하고 저출산을 해결하자는 말은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만, 좋은 거 두개를 가져다 붙인다고 해서 기가 막히게 좋은 물건이 나오는 게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고 싶네요.

성평등 좋고 저출산 해결 하는 거 다 좋습니다만, 성평등을 이루면 저출산이 저절로 해결될 거라는 말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와는 별개로 독박육아 해결한다던지 하는 부분은 저도 찬성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라지
21/08/06 18:38
수정 아이콘
저출산은 양성평등 전부터 문제였을텐데... 뭐 정치인으로서 프레임짜기 딱 좋은 구도이긴 하죠.
실제상황입니다
21/08/06 18:38
수정 아이콘
양성평등이 실현된다고 저출산이 해결될 것 같지는 않지만, 양성평등 하긴 해야죠. 근데 작금의 페미니즘이 양성평등을 지향한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각 성별이 차별받는 영역이 있고, 저마다 사회문화적인 구조의 억압을 받고 있다고 보는데 유승민 말하는 거 보니까 한쪽 편에 치우쳐진 워딩이라는 생각은 드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1/08/06 18:39
수정 아이콘
단어상 의미의 양성평등이면 이론상?
내배는굉장해
21/08/06 18:40
수정 아이콘
저에게는 그냥 아무 의견이 없다는 말로 들리네요. 그런데 뭐 지금 정치인들 다 그래 보여요. 아직 지금 정치인들에게 급박한 문제는 아니겠죠.
Respublica
21/08/06 18:40
수정 아이콘
사실은, 양성평등하면 출산율은 더 내려가죠.
역사가 증명해준 사실이라고 봅니다.
카라카스
21/08/06 18:40
수정 아이콘
독박 운운 하는거보니 뻔하군요
고타마 싯다르타
21/08/06 18:41
수정 아이콘
[출생]은 또 누구네가 만든 단어죠? 신어조작증에 걸리셨나? 아니면 1984를 너무 심취해서 읽어서 단어로 세상을 지배하려고 그러는 건가?
덴드로븀
21/08/06 18:56
수정 아이콘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1786
[저출산 아니라 저출생입니다] 2019.07.18
몇년전부터 성차별 단어 바꾸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여성계쪽에서부터 사용되고 있죠.
아마추어샌님
21/08/06 19:02
수정 아이콘
교과서에는 출산이 아닌 출생이란 단어를 쓰고있다라구요. 아마 앞으론 출생이란 단어가 보편화 되지 읺을까 싶네요.
지나가던S
21/08/07 10:16
수정 아이콘
뭐, 포궁 수준의 황당한 수준의 말도 아니고. 출생 정도면 봐줄만 하죠.
타시터스킬고어
21/08/06 18:42
수정 아이콘
정말 역대급 대선 상황인거 같아요. 찍고 싶은 후보가 보이지를 않아.....
21/08/06 18:42
수정 아이콘
이준석 유승민계 아닌가요? 브레이크 안 잡고 뭐 하는지 참
Normal one
21/08/06 18:43
수정 아이콘
이제는 유승민이 이준석계임 크크크.
21/08/06 18:51
수정 아이콘
고타마 싯다르타
21/08/06 18:43
수정 아이콘
유승민이 이준석계 경제통입니다....
2021반드시합격
21/08/06 18:43
수정 아이콘
아~ 여자들이 괄시받아서 애를 안 낳는구나~
재즈드러머
21/08/06 18:47
수정 아이콘
저출산과의 연관성 은 잘 모르겠지만 양성평등은 제발 좀 이룩했으면 합니다. 뷔페니즘말고요.
21/08/06 18:47
수정 아이콘
여자가 혼자 생활하기 힘들수록 출산율이 올라갈것같은데
21/08/06 18:50
수정 아이콘
양성평등은 당연히 필요하죠. 근데 양성평등에서 출산율 개선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설명을 해야죠. 걍 듣기좋은 소리만 골라서 하는 느낌.
덴드로븀
21/08/06 18:52
수정 아이콘
유승민이 유승민했네요
AaronJudge99
21/08/06 18:53
수정 아이콘
제 표를 누구한테 줘야할지 감이 안오네요...
AaronJudge99
21/08/06 18:54
수정 아이콘
페미니즘이랑 저출산이 관계가 없긴 뭐가 없어요...
덴드로븀
21/08/06 18:58
수정 아이콘
별다른 말을 안하고 있는 홍준표?
시작버튼
21/08/06 18:53
수정 아이콘
제발 남녀 성별 지우고 블라인드 상태에서 양성평등을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한창고민많을나이
21/08/06 18:58
수정 아이콘
대충 자 지금 부터 서로 죽여라 짤
카라카스
21/08/06 19:06
수정 아이콘
子 지금부터 서로 죽여라..!
이재빠
21/08/06 18:5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정말 양성평등 이뤄지면 남자도 결혼 안할거라 예상합니다.
이민들레
21/08/06 19:00
수정 아이콘
독박육아라는 말이 참 웃겨요. 독박근무같은 말은 없는데 말이죠.
스타베리
21/08/06 19:10
수정 아이콘
독박가사노동이라는 말도 없죠 육아는 한부모가정이 아니고서야 부부 공동의 책임입니다 그런데 남녀 어느쪽이든 한쪽만 책임을 지고 있다면 독박이죠
이민들레
21/08/06 19: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가사노동은 공동의 책임 아니던가요. 경제활동은 공동의 책임이 아닌가요? 왜 유독 육아에만 독박이 붙을까요.
스타베리
21/08/06 19: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외벌이의 경우 일반적인 가사노동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쪽이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인 역할분담 아닌가요? 그러니 전업주부라는 말이 있는 거고
육아를 노동으로 생각하시는 거 같은데 저는 양육의 의미로 공동의 책임이라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아 저출산의 원인이 독박육아라는 저 말같잖은 소리에 동의하는건 아닙니다 독박육아 무서워서 애 안낳겠다는 소리 하는 애들은 커뮤에서 밖에 못봤어요
이민들레
21/08/06 20:30
수정 아이콘
아.. 전 노동적인 측면에서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독박이라는 말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닐 수 도 있군요
21/08/06 19:03
수정 아이콘
독박육아에 겁먹어서 저출산이 된게 아니라 갈수록 떨어지는 혼인율이 원인아닌가요? 아 혹시 남성부를 만들기위한 포석아니라면.. 감떨어졌고 지금 독박육아 보단 독거노인문제가 시급할텐데..
21/08/06 19:04
수정 아이콘
페미니즘은 양성평등이 아닌데 말이죠
선 그어야죠
탈탄산황
21/08/06 19:17
수정 아이콘
스윗하다느니 온갖 비꼼이 나오겠네요.
이리떼
21/08/06 19:20
수정 아이콘
왜 다들 본질을 외면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오히려 여성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가 올라가면서도 여성의 고질적인 상향혼 인식이 해결되지 않으니까 출산율이 이토록 꼴아박은 거겠죠.
이리떼
21/08/06 19:22
수정 아이콘
제발 누구라도 좀 진실을 말해줬으면 좋겠네요. 상향혼 문화가 사라지지 않는 이상 저출산은 극복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CapitalismHO
21/08/06 20:09
수정 아이콘
뭐 문화라는게 굉장히 큰 변수긴 합니다만 대체로 회귀분석 돌려보면 여성임금은 출산율하고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게리배거의 일련의 연구에서 매우 선명하게 나타나는 관계죠.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출산시 비용과 편익(자식을 가짐에 기쁨 등)을 계산해서 효용이 극대화되는 수준에서 사람들은 자녀수를 결정합니다. 그리고 경제학에서 말하는 비용은 늘 기회비용이죠. 출산하면 일정기간 일을 못하는데 여성임금이 높아질수록 출산의 기회비용이 커집니다. 그래서 출산율이 내려가는거고요.

양성평등에 어긋나는 수많은 장벽이 없어져야 함에는 동의합니다만 여성지위향상이 출산율 상승으로 이어지진 않을겁니다.
오렌지꽃
21/08/07 21:23
수정 아이콘
상향혼 인식은 본질적인거라 애초에 문제도 아니고 해결될 수도 없습니다.
21/08/06 19:21
수정 아이콘
정치적 언사죠 본인부터가 저말대로되면 저출산이 해결될거야라고 생각하겠습니까 크크
21/08/06 19:32
수정 아이콘
양성평등과 출생률이 같이 간다곤 생각하지 않지만 고민해볼 문제라곤 생각합니다.
21/08/06 19:32
수정 아이콘
저렇게 공허하고 추상적인 선언은 저도 하겠네요. 양성평등이 이뤄지면 뭐 어떻게 어떤식으로 출산율이 올라가는지?
라이언 덕후
21/08/06 19:34
수정 아이콘
대선후보들 진짜 다들 노답인데 누굴 뽑아야 할까요...
겨울삼각형
21/08/06 19:48
수정 아이콘
아 여성의 권리가 낮아서 애를 안낳는구나..
그렇구나..
밀로세비치
21/08/06 19:49
수정 아이콘
얘는 믿고 있었는데 이거참..... 왜 서로들 헛발질 못해서 안달났을까요
21/08/06 19:49
수정 아이콘
아이러니하게 출산율과 양성평등은 반비례라고 보긴 하지만, 그렇다고 둘다 포기할 순 없긴하죠.
그와 별개로 양성평등과 페미니즘의 간극은 매우 크다고 보구요.
비후간휴
21/08/06 20:02
수정 아이콘
양성평등->여성의 경제력 상승, 남성의 경제력은 하강->여성 눈에 차는 괜찮은 남자 적어짐->혼인률 출생률 줄어듦
비온날흙비린내
21/08/06 20:03
수정 아이콘
슬프지만 이게 현실이죠
21/08/06 20:03
수정 아이콘
뽑아줄 생각 없어 돌아가
김연아
21/08/06 20: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직까지도 유승민한테 기대를 거시는 분들은 접으세요.

안그래도 세력도 없는 사람인데, 센스는 그것보다 더 없어요.

유승민이 조금만 센스가 있었어도, 보수계의 마지막 희망으로 계속 버티다가 온갖 지지 다 받아먹을 위치에 있었는데,

본인 스스로가 그런 거 받아먹을 위치에 단 한 번도 근접한 적이 없죠.

안티 인자기급 위치 센스로 본인이 다 차버렸지.

그냥 정치 센스 0인 사람입니다.

유승민이 안철수보다 나을게 단 하나도 없는 사람이에요.

한 때 보수계 거두가 유승민이 되길 바라면서 유심히 본 입장에서 낸 결론입니다.
프리템포
21/08/06 20:15
수정 아이콘
양성평등이랑 페미니즘은 별개의 문젠데 .. 돌봄교실도 밤7시까지 확충한다는데 어린애들을 밤늦게까지 학교에만 맡겨버리는 게 능사인지 생각도 드네요
흑태자
21/08/06 20:16
수정 아이콘
출생률을 높히려면 특정 나이까지 자녀가 없을 경우 강력한 불이익을 줘야죠.

유자녀= 그래도 내집마련은 하고 살겠구나
무자녀= 평생 내집마련은 어렵겠구나

수준의 강력한 차별정책이 필요합니다
겨울삼각형
21/08/06 20:18
수정 아이콘
그건 이미..
묵리이장
21/08/06 20:19
수정 아이콘
그건 너무 이세계 정책인데요. 자녀 안낳는 것도 자유죠.
불이익이 아니라, 자녀를 낳았을 때 이득을 많이 줘야죠. 허경영이라던지...
굵은거북
21/08/06 20:21
수정 아이콘
자녀는 사랑으로 낳아야지 집을 바라고 낳게되면 부작용이 생깁니다.
21/08/06 20:45
수정 아이콘
정치는 적을 만드는 정책하면 망합니다.. 크크 어디서 촛불맛을 볼려고 잼민이적인 발상을 하십니까? 차라리 국가가 주도해서 짝을지어주거나 아니면 독거 남성들에게 어떻게던 신부감을 얻을수있는 기회를 주는 정책이 빠르죠..물론 그반대도 가능합니다.
아라나
21/08/06 22:43
수정 아이콘
국가를 위해 국민이 희생해야 한다를 대놓고 이야기 하는건 전체주의 아닌가요?
묵리이장
21/08/06 20:17
수정 아이콘
정치인들 포인트를 다 못잡고 있네..
라스보라
21/08/06 20:19
수정 아이콘
출산율같이 중요한 문제에 ... 아무거나 꼽사리 끼우지 말았으면 합니다.
벌점받는사람바보
21/08/06 20:2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정도로 떨어지는게 정상이고
해결책은 욕먹을정도로 독한 방법밖에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21/08/06 20:27
수정 아이콘
아니야 관계 있다고....ㅜ.ㅜ
아라나
21/08/06 20:32
수정 아이콘
뭐 저소득층이 출산률이 높다고 모두를 저소득층으로 만들자고 할 수 는 없는 노릇 아니겠습니까(...)
더치커피
21/08/06 20:36
수정 아이콘
이러다 갑자기 홍준표가 부동산 혁신안 들고 나오면 정말 홍님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최강한화
21/08/06 20:47
수정 아이콘
정치인들이 말하는 양성평등이 달성되면 우리나라 출생률이 1.0을 회복할까요? 0.5로 갈까요?
후자에 한표 겁니다. 아직 0.8대 출산율인데 더 떨어지겠어요. 이제 0.5도 바라볼 수 있을듯
오늘하루맑음
21/08/06 21:00
수정 아이콘
홍준표가 이럴때 아무 말 없는게 제일 신기하면서도 본인이 청와대 갈 수 있는 각을 본건가 싶습니다
보라준
21/08/06 21:15
수정 아이콘
준석아 승민이 관리 안 하니?
비온날흙비린내
21/08/06 21:20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스타베리
21/08/06 21:28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현재 낮은 출산률과 혼인률 문제 해결할려면 남자 신데렐라 드라마 정책적으로 만들어서 상향혼 문화 좀 없애고 그놈의 남들과 비교하는 문화 다 없애버리게 SNS에 자랑 금지해야 해결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민주주의 국가에서 말도 안되니까 진짜 현실적으로라도 남성징병제 폐지해야 해요 상향혼 문화라는게 몇십년 내에 쉽게 바뀔 꺼 같지가 않으니 상향혼이 이뤄지게 소득을 향상시킬 2년이라는 시간을 돌려줘야죠
주거랑 사교육도 좀 해결해줘야 하는데 참 쉽지 않은 문제네요
뿌엉이
21/08/06 21:28
수정 아이콘
문정부 논리인데 효과가 없었죠
21/08/06 21:36
수정 아이콘
본인들이 경험으로 현재를 상상하니까 저런 소리하는거죠. 그냥 현실감각이 없는거고 지들 밥그릇 말고는 신경 안쓰는겁니다.
-안군-
21/08/06 23:02
수정 아이콘
양성평등 따위를 들고올게 아니라 진짜 애 낳는걸 생계수단으로 삼게 만들어야 될까말까죠. 결혼을 하건말건, 미혼모든 돌싱이든, 애만 있으면 임대주택 주고, 연금주고, 육아비용 줘야죠. 선진국 반열에 든 국가가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입니다. 챠브족 양성해야죠.
그런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족관이 뿌리박혀있는 꼰대들은 절대 그소리 못할겁니다.
21/08/06 23:03
수정 아이콘
유승민 최근 언론 인터뷰 봤는데 하는 말이라고는 죄다 좋은말 이어붙이기더군요.
경제성장, 유능한보수, 양성평등 듣는동안은 그럴듯한데 다 듣고나면 그걸 어떻게 한다고? 뭘 한다고? 이런생각만 들고 남는게 없음...
21/08/07 00:34
수정 아이콘
지금처럼 여성에서 퍼주는 거 말고 진짜 공평하게 양성평등한다면 반등해야죠. 보수쪽에서 이걸 비판하는 게 약간 이해 안 되는 게 아직 여성이 차별받는다는 걸 무의식 중에 동의하는 건 가요? 게다가 저출산을 얘기하면서 여성의 사회진출을 들먹이는 건 남성에게 혜택을 몰아주자는 건가요? 그냥 논지자체를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결국 이러니 저러니 해서 답은 이민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다시마두장
21/08/07 06:26
수정 아이콘
이미 많이들 지적하셨지만 상향혼 문화가 팽배한 사회에서 양성평등과 출산률이 어떻게 관계가 있다는건지...

굳이 그 원리를 꼽아보자면 남녀의 임금격차를 완전히 0으로 만든다 -> 어차피 남자 벌이는 거기서 거기라는 인식을 심어 상향혼 문화를 희석시킨다
는 식으로 해석 가능할 것 같은데, 저런 식이라면 차라리 덮어놓고 차별적인 여성우대정책을 펼치는 게 더 현실성 있다고 봅니다.
여성 임금 무조건 남자의 세 배! 하는 식으로요 크크.
후마니무스
21/08/07 07: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떨어질 수록 출산율이 올라가긴 하지요

이건 기본적인 이론으로 이미 수십년 전부터 소개되어온 이론입니다

성평등이 이뤄진단 얘기는 지금보다는 라디컬 페미들이 덜 설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는 얘기이기도 하죠

그리고 이와는 별개이긴 한데, 몇몇 여성단체에 지령을 주는 곳이 북한이라는 기사도 나왔네요.

정신 똑바로 차려야 할거 같습니다.
연필깍이
21/08/08 14:21
수정 아이콘
육아는 부모중 한쪽의 사회적 희생이나 많은 돈을 전제로하는 거라서요. 그래서 양성평등은 현대의 저출산 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안됩니다. 전혀 관련이 없으므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041 [일반] 출산율 떡밥으로 찾아본 해외 출산율 자료 모음.zip [236] 오곡물티슈21159 22/02/14 21159 23
94804 [일반] 인구절벽발 노동인력 부족 우려는 과장인가 [54] 데브레첸16944 22/01/12 16944 71
94660 [정치] 안철수 후보 삼프로 영상(좀 많이 깁니다. 요약이라기보단 주요 내용) [71] Crochen19065 22/01/02 19065 0
94309 [일반] 합계출산율 0.84 ... 문제가 돈이라고? [454] 스토리북23851 21/12/10 23851 100
94307 [일반] 해방 후 한국과 일본의 출생아 추이와 격차 (feat. 베트남) [42] 마르세유11307 21/12/09 11307 5
94213 [정치] 정동영이 돌아오고 52시간 제한이 철폐되는 시기에 믿어야 할 것은 [93] 오곡물티슈19926 21/11/30 19926 0
94119 [정치] 오늘 국민과의 대화 어떻게 보셨나요? [117] 박세웅20847 21/11/21 20847 0
93979 [일반] [책이야기] 인구 미래 공존 [11] 라울리스타8802 21/11/06 8802 6
93918 [정치] 집값 상승은 얼마나 안좋을까? [197] 스물다섯대째뺨18491 21/10/31 18491 0
93890 [일반] 저출산 고령화는 진정으로 지구를 사랑하는 방법 [75] 깐부9190 21/10/28 9190 4
93437 [일반] 마지막 최후의 한명까지 끌려가게 생긴 대한민국 군대 [347] 비온날흙비린내21148 21/09/21 21148 14
93265 [일반] 美 싱크탱크 "한국 사회 고령화가 코로나보다 경제 타격↑" [149] rclay19913 21/09/05 19913 26
93218 [일반] 코로나와의 공존에 대한 이해와 의견 [58] 여왕의심복13278 21/09/02 13278 63
93107 [일반] 상반기 출생아 수 '또' 사상 최저…2분기 출산율 0.82명 [223] 비온날흙비린내21061 21/08/25 21061 18
92947 [일반] 현재 미국은 무엇을 우려하는가? [105] 아리쑤리랑75159 21/08/13 75159 199
92938 [일반] 동북아에서 급증하는 무자녀 현상 (부제: 초저출산이 비혼'만'의 문제인가?) [66] 데브레첸16090 21/08/13 16090 29
92849 [정치] 유승민 저출생 해결 공약 "양성평등 실현될수록 저출산 문제 해결" [76] 비온날흙비린내15839 21/08/06 15839 0
92777 [일반] 불안, 알랭드보통(2004) 중에 (고용) toheaven10964 21/08/02 10964 3
92662 [일반] 중국 교육주 폭락- 중국관련주의 위험성 [57] 맥스훼인18486 21/07/25 18486 5
92277 [정치] 20대 남자는 진짜 우리 사회와 괴리되어 있을까 [129] VictoryFood16028 21/06/27 16028 0
91580 [정치] 출산율을 정책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할까 [72] 부대찌개15625 21/04/30 15625 0
91562 [일반] 중국조차 무너진다...중국인구조사 결과 인구수 감소 발표예정 [100] 하얀마녀17956 21/04/28 17956 8
91535 [일반] 미국 인구 센서스 뉴스 [29] 라이언 덕후11603 21/04/27 116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