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4/06 17:58:53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유럽] 메르켈의 후계자로 거론되는 3인방 (수정됨)
4월25일 독일 기민당 당수 선거가 예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앙겔라 메르켈은 16년의 장기집권을 뒤로 하고 2021년 퇴임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이번에 선출되는 기민당 당수가 차기 총리가 될 가능성이 높고, 그가 향후 독일의 향배를 좌지우할 것입니다. 
현재 유력한 후보는 총 3명입니다. 

기호1번
아르민 라셰트(Armin Laschet) / 59세 / 가톨릭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법학
GettyImages-1208556872-380x253.jpg

현재 가장 유력한 후보입니다. 그는 언론인 출신으로 가톨릭 매체서 주로 활동했고, 부인은 아헨의 유력가문 출신이라고 합니다. 
독실한 가톨릭인 만큼 동성애 결혼 관련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정치적으로는 합의를 도출하는 데 능하고 메르켈의 지지층을 흡수하는 데 적임자라고 평가됩니다. 또한 역대 선거에서 항상 승리하는 등, 선거의 승리자라는 평판을 갖고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서방매체에서 그에 대한 평가는 좋지 못합니다. 그는 러시아에 대해 지나치게 유화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미국의 포린폴리시의 경우 최근 그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포린폴리시 2020/3/9일자 기사) 


기호2번
프리드리히 메르츠(Friedrich Merz) / 64세 / 가톨릭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법학 
GettyImages-1208562430-380x253.jpg
그는 독일 전재무장관이자 현 국회의장 볼프강 쇼이블레의 총애를 받은 정치인입니다. 약간 고인물 정치인 느낌이 있는데, 헬무트 콜 시절부터 메르켈과 라이벌이었고, 기민당 당수 자리를 놓고 메르켈을 상대로 패해서 콩라인 이미지가 있습니다. 심지어 메르켈 후계자가 될뻔했던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를 상대로도 패해 뭐랄까 2연패 이미지. 2000년대 중반 메르켈한테 패한 이후로 주로 기업 고문으로 활동하면서 민간영역에서 활약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비행기를 조종할 줄 안다는 게 그의 특기라고.... 
그런데 그의 가장 큰 단점은 거만하다는 점이며, 이때문에 적이 많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민당 안에서 확고한 지지층이 있으며, 기민당 내 반메르켈 파의 구심점이 된다고 합니다. 흥미롭게도 "유럽군대창설"을 지지하는 성명에 사인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코로나19 확진됐다고 하네요.... 

기호3번 
노르베르트 뢰트겐(Norbert Roettgen) / 54세 / 가톨릭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법학
Norbert Röttgen:
현재 독일 연방의회 외교상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치인입니다. 당선권에서 가장 멀리 있다고 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호감이 가는 정치인입니다. 외모도 뭔가 신뢰감 가는 인상이고, 나이도 상대적으로 젊어서... 크크크. 그는 외교현안에 대해 가장 지식이 많고, 평소에도 철학자 이미지가 많은 사람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뉴스테이츠먼(New Stateman)이라는 잡지는 그를 두고 기민당 안에서보다 트위터의 외교호사가들 사이에서 훨씬 더 유명한 인물이라고 평했습니다. 또 그의 가장 큰 단점은 2012년 메르켈하고 한바탕 싸운 적이 있어서 친메르켈파의 지지를 얻기 어렵다는 점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가 독일을 리드한다면, 프랑스의 마크롱으로서는 굉장히 다행스러운 일일 것입니다. 둘도 없는 파트너를 얻게되는 셈이죠. 
마크롱이 평소 빅픽처를 자주 그리는데, 뢰트겐 또한 마크롱과 유사한 기질을 갖고 있습니다. 그 또한 큼직큼직한 주제들에 대해 관심이 많고 미중경쟁, 러시아, NATO, 유럽연합의 미래, 5G 등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뢰트겐은 트위터로 굉장히 자주 소통하는 편인데, 주로 큼지큼직한 주제에 대해 논평을 많이 하고 또 지난 3월 "Time for a Geopolitical Europe: A German Answer to Macron"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마크롱이 제기한 문제의식에 화답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4월 말, 독일의 키를 누가 잡게 될런지... 

흥미로운 기점이 될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06 18:10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독일은 개신교 핵심지역으로 배웠는데 3 후보다 가톨릭이라 찾아보니 독일 가톨릭이 개신교보다 비율이 높네요.
꿈은없고놀고싶어
20/04/06 18:16
수정 아이콘
예전에 젊은 여성 정치인이 메르켈의 뒤를 이을거라더니, 성과가 좋지 않았는지 그 후보는 안보이는것 같네요
aurelius
20/04/06 18:18
수정 아이콘
그 사람이 안네그리트 크람프카렌바우어인데, 현재 당수입니다. 그런데 사임한다고 하네요.
꿈은없고놀고싶어
20/04/06 18:4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러프윈드
20/04/06 18:28
수정 아이콘
3번분 보고 순간 문통인줄
멍멍머멈엉멍
20/04/06 18:39
수정 아이콘
저는 클롭감독..
20/04/06 18:43
수정 아이콘
저는 조지 클루니
Bellhorn
20/04/06 20:43
수정 아이콘
저도 조지클로니!
산밑의왕
20/04/06 18:42
수정 아이콘
법학전공이 아니면 안되는 동네인가요..
나성범
20/04/06 19:01
수정 아이콘
법국이 경쟁상대라 지피지기 하려고 하는거겠죠
고양이맛다시다
20/04/06 20:11
수정 아이콘
공대생이 오랫동안 했으니 법대생이 할 때도 됐습니다. 크크크
표절작곡가
20/04/06 18: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 노트라인베스트팔렌이군요~~

노드라인 베스트팔렌주는 카톨릭보다는 개신교(루터교)가
더 강세인 동네입니다...
20/04/06 19:08
수정 아이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은 사민당 텃밭으로 알고 있는데, 기민당 당수 유력후보 3명이 모두 NRW 출신인건 재밌네요. 모두 카톨릭 신자라는 것도 그렇구요.
라인란트 출신이며 카톨릭 신자인 중도 우파라는 점에서 콘라트 아데나워가 생각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30] jjohny=쿠마 25/03/16 38837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5650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990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6479 4
105261 [일반] 강의 특성에 따라 4대문명이 달라진 이유 [17] VictoryFood2800 25/10/22 2800 15
105260 [일반] 유혹하고 돈 버는 구조 [9] 신정상화3077 25/10/22 3077 1
105259 [일반] 캄보디아 청년, 다수는 그저 또 다른 가해자인가? [67] 신정상화5857 25/10/22 5857 6
105258 [정치] “수십억 아파트 갭투자하고 국민은 안된다?” 정부, 여론 들끓자 전문가 불러 ‘당부’ [부동산360] [258] petrus9015 25/10/22 9015 0
105257 [정치] 조희대의 대법원, 12월 3일 계엄 따른 조치 논의됐나? [407] 빼사스11853 25/10/21 11853 0
105256 [정치] 김건희 이배용과 함께 경회루에서? [17] 삭제됨4725 25/10/21 4725 0
105255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37] 바람돌돌이5867 25/10/21 5867 0
105254 [일반] 뉴미디어 시대, 중세랜드의 현대인 [11] meson4254 25/10/21 4254 0
105253 [일반] "트럼프, 젤렌스키에 지도 던지며 압박에 욕설까지" [82] 철판닭갈비11681 25/10/21 11681 11
105252 [정치] “한두 잔 마신” 지귀연 술자리 170만원…대법 감사관 “징계사유 안 돼” [127] 빼사스12091 25/10/21 12091 0
105251 [정치] 이 대통령 '냉부해' 논란 보도, 명태균·김건희 공천 개입 보도보다 2배 많았다 [29] lightstone5762 25/10/21 5762 0
105250 [정치] 부읽남 국토부차관에게 듣는 부동산 썰 [252] 문재인대통령11803 25/10/21 11803 0
105249 [정치] 검찰청 ‘연어 술파티’ 의혹 당일, 김성태 ‘페트병에 술 준비’ 지시 녹취 확인 [110] 베라히9941 25/10/20 9941 0
105248 [일반]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며 쓰는 SMR주 이야기(겉핥기) [28] 깃털달린뱀4500 25/10/20 4500 4
105247 [일반] 나를 스쳐지나간 불꽃 [2] 내꿈은세계정복2788 25/10/20 2788 25
105246 [일반] (주식 관련 글이 올라오길래) 20년 시장생존자의 의견 [21] 퀘이샤4881 25/10/20 4881 11
105245 [일반] 이 시국에 집 팔고 주식에 몰빵한 썰 [154] 휘군11951 25/10/20 11951 22
105244 [일반] <어쩔수가없다> - 기묘한 합리화. (강스포) [10] aDayInTheLife4038 25/10/19 4038 2
105243 [정치] 정부가 보유세 손대려나 봅니다 [470] 비브라늄21182 25/10/19 2118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