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1/22 15:31:13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역사] 청일수호조규는 어떻게 체결되었는가? (수정됨)

예전부터 잘 이해할 수 없었던 주제 한 가지가 있었습니다.
1871년 대청제국은 왜 일본과 대등한 "조약"을 맺었는가? 
중화제국으로서의 자부심과 천하질서의 주인이, 어찌 동방의 섬나라 오랑캐와 서구식 조약을 맺을 수 있었던 것인가?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조선은 외교문서가 무례하다고 하여 강화도 조약 때까지 버텼는데 말이죠. 

그런데 최근 어떤 기사를 보니, 이제야 좀 납득이 되었습니다. 

먼저 일본의 "동방의 천자가 서방의 천자"에게 전하노라 (실제로 저렇게 한 건 아니고, 옛날 당나라 시대 당시 일본이 보낸 문서였습니다)하는 문서를 받은 청나라의 반응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무례하도다! 감히 상국을 업신여기고 우리의 천하질서를 어지럽히다니!
(2) 문서를 거부하면 일본이 서양과 합세하여 중국을 공격할 수 있음. 게다가 일본은 애초에 우리 천하질서 바깥의 존재임

당시 문서를 접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이는 리훙장이었습니다. 
그리고 조정은 그를 깊이 신임했습니다. 

근데 가장 중요했던 문제는 "톈진사태" (1870)

외세에 반대하던 중국인들이 프랑스인들을 수십명 죽였고, 이는 거대한 외교문제로 비화되었습니다. 특히 영국과 미국도 프랑스에 동조하여 중국은 상당한 압력을 받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일본까지 적대하기에는 리스크가 컸다고 하네요. 

아울러 일본 또한 중국에 강압적으로 나갈 형편이 아니다보니... 굉장히 특이한 방식으로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먼저 서로 원했던 것을 짚어보자면

청국 - 중국과 조공국에 대한 공격 금지, 서양식 근대조약 거부, 최혜국 조항 및 영사재판권 조항 거부
일본 - 조공체제의 타파, 서양식 근대조약, 자유무역

그런데 현실적으로 양국이 서로 자국의 의사만을 관철시킬 수 없어 묘하게 타협했다고 합니다.

(1) 조약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조규라는 단어를 쓴 점 
- 조약이라는 단어를 거부하여, 형식상 근대조약 표현을 제외시켜 중국 입장 관철 (참고로 강화도 조약도 원래 조일수호조규로 조규의 형태입니다)
(2) 상호간 "방토" 침략 금지
- 중국 입장에서 볼 때는 속방과 영토를 모두 포괄 조선, 류큐 등을 포함한 의미. 일본 측 입장에서는 중국 본토만으로 해석. 서로 편할대로 해석할 여지를 남겼습니다. 
(3) 최혜국 조항 및 영사재판권 조항 상호 거부
- 근대조약의 필수조항이었던 이 조항이 없어 서양열강이 당시 일본과 중국이 내통해서 서구열강에 대항하는 거 아니냐는 의구심을 품었다고 합니다
(4) 조약문구나 서명란에 양국 군주의 휘호나 도장이 없는 점
- 일본은 서양식으로 메이지 천황의 사인이 들어가는 걸 원했으나, 중국이 거부. 결국 양국 교섭자의 서명으로 갈음함. 아편전쟁 후 난징조약에는 영국과 중국 양국의 국가수반의 승인이 있었던 것과 대조적입니다. 

종합적으로 보면, 중국은 형식을 취하고 일본은 제한적인 실리를 취한 조약이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당시 조선은 일본이 중국과 맺은 이 "조규(?)를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궁금해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6046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6720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411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4072 4
104459 [일반] [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1398 25/07/06 1398 1
104458 [일반] 오징어게임 시즌 3 감성평 (스포일러 없습니다.) [37] 성야무인4543 25/07/05 4543 3
10445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2)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4) [2] 계층방정2281 25/07/05 2281 4
104456 [일반] 멀티탭에 에어컨 꽂아두신 거 아니죠? [85] 밥과글10418 25/07/05 10418 39
104455 [일반] 자존감은 어떻게 생기는가 [11] 번개맞은씨앗4371 25/07/05 4371 12
104454 [일반] 트럼프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미국 의회를 통과했습니다. [150] 전기쥐13158 25/07/04 13158 8
104453 [정치] 박선원 "멀쩡한 드론통제차량 폐차 시도…증거인멸 정황" [154] 로즈마리14082 25/07/04 14082 0
104452 [정치] 북극항로, 대왕고래와 같은 대국민 사기극이 될 것인가? [47] 삭제됨7979 25/07/04 7979 0
104451 [일반] 정부 "SKT 위약금 면제해야…안전한 통신 제공 의무 못해" [64] EnergyFlow8072 25/07/04 8072 0
104450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8 [10] Poe2954 25/07/04 2954 19
104449 [정치] [한국갤럽] 李 대통령 직무수행평가 65% [59] 철판닭갈비8068 25/07/04 8068 0
104448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41] 깃털달린뱀6510 25/07/04 6510 5
104447 [정치] 문화부 장관은 왜 안뽑는걸까요? [31] 방구차야8120 25/07/04 8120 0
104446 [정치]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 통과 (국민의힘 표결 불참) + 초선의원의 표결 실수 [249] Davi4ever12572 25/07/03 12572 0
104444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9] 번개맞은씨앗3475 25/07/03 3475 1
104443 [일반] 입대 1주년, 휴가 복귀 전 써보는 글 [29] No.99 AaronJudge3907 25/07/03 3907 10
104442 [정치] 바보야, 문제는 교육이야 [105] 휘군7811 25/07/03 7811 0
104441 [정치]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전원 탄핵 반대파? [45] 철판닭갈비8294 25/07/03 8294 0
104440 [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 [47] 물러나라Y9829 25/07/03 982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