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13 20:50:43
Name aurelius
File #1 FE4CB77B_8B11_4964_92C8_E84D74575EB5.jpeg (120.0 KB), Download : 79
Subject [일반] [토막글] 청일전쟁의 진정한 승자는 영국? (수정됨)


영국제국의 역사[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라는 일본책을 읽고 있다가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청일전쟁에 대한 배상금으로 일본이 중국한테 막대한 금액을 요구했는데, 중국은 그 배상금 준비를 위해 영국은행 HSBC을 통해 차관을 받았더군요.

영국은 담보로 광산이권, 철도이권, 관세수입 등을 요구했습니다.

그리고 중국에 철도부설권을 얻는 회사는 자딘 매디슨이었고요. 참고로 자딘 매디슨은 일본막부말기(1865~70)메이지 유신 세력에 자금과 무기를 지원했던 회사입니다 (토마스 글로버가 거기 직원)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일본이 중국으로부터 받은 배상금을 다시 잉글랜드 은행에 예금....

이건 뭐

영국은 앉아서 돈놀이 했네요....

일본은 왜 배상금을 영국은행에 예탁했는지 궁금하네요

다른 한편 19세기 영국금융제국의 아시아 진출 과정과 수단 등도 이해해야 19세기 동아시아 근대사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다음에 이 부분 관련 좀 더 읽고 정리되면 보다 장문의 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1/13 21:07
수정 아이콘
보면 볼수록 역사란 건 어려운 거 같습니다.
구한말을 예로 들자면 그 시대를 알기 위해선 그냥 나라이름이랑 그 나라 인물만 알아서 되는 게 아니라 왜 그런 결과로 갈 수밖에 없나를 살펴보고 왜 그런가 살펴보기 위해선 자국만 아니라 이웃나라들의 상황을 알아야하고
근데 이게 꼭 구한말 같은 격동의 시기뿐만 아니라 모든 시대가 다 해당된다는 게 ..
19/11/14 10:51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어떠한 역사적 사건이라는게 단편적으로 일어나는일이 없죠... 상황, 시기, 동기 그리고 우연등 모든요소를 다 종합해서 봐야하는데 참 쉽지않죠.. 그러한 요소들을 살펴볼수있는 사람들이 역사가구요
Montblanc
19/11/13 22:22
수정 아이콘
영일동맹때문인가 싶기도 하고...
19/11/13 22:42
수정 아이콘
러일전쟁도 뭐....
영국은 자신들의 아시아 이권을 지키기 위해 일본을 챔피언으로 삼고 군비를 확장하게 했지만 그게 무상이 아니었죠. 만약 일본이 러시아에게 졌으면 일본은 그 빚을 갚지 못해 영국과 미국에게 경제적으로 완전히 종속되었을 거라고 봅니다.
19/11/13 22:53
수정 아이콘
영국이 세계적 제국에다 금융 강국이어서 배상금을 예치해 놓으면 전 유럽+세계 곳곳의 영국 식민지까지 전부 통용되니까 그랬던
것 아닐까요?
지금처럼 전자망이 깔린 것도 아니고 금본위제고, 얼마 안 되는 신용거래도 각 은행이나 동맹 은행 정도로 제한되었을 테니 일본
입장에서 장래 세계적 금융거래를 하려면 역시 영국이다 하고 생각했을 듯합니다.
이른취침
19/11/14 13:52
수정 아이콘
사실 지금도 미국 아니면 영국의 영란은행이긴 하죠.
오체풀만족
19/11/14 01:14
수정 아이콘
러일전쟁까지 영국이 일본 벗겨 먹은거 생각하면 새삼스러울것도 없죠. 일본이 그 빚 다 갚은게 우리나라 서울 올림픽 직전이었을 정도였는데
metaljet
19/11/14 09:13
수정 아이콘
일본은 청으로부터 배상금을 금이나 은, 혹은 파운드화로 받았을 테니 별로 이상한 일은 아닙니다.
당시 영란은행은 영국정부와는 독립된 국제적 상업은행 역할도 했거든요.
우리나라도 오늘날 외환의 상당부분을 미국국채형태로 갖고 있고 자산으로 구입한 금괴를 편의상 미국 연방준비은행에 보관하죠
체르마트
19/11/14 10:57
수정 아이콘
우리가 금융이 일상화 된 세상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금융이 간단해보이고, 일본이 영란은행에 배상금을 예치한 것이 의아해보이지만
당시에 배상금을 예치하고 활용할 수 있던 곳이라고 하면
영국과 네덜란드 뿐이었을 겁니다.

그 중에 영국을 선택한 거고요.
Jedi Woon
19/11/14 16:30
수정 아이콘
하긴 청나라가 배상금에 해당하는 엔화를 현금으로 지급하지는 않았을테니까요.
생각해보면 군사력만 강하다고 강대국이 되는게 아니고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자본력도 있어야 강대국이 되는가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6889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733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959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4814 4
104524 [정치] 법원의 야당 탄합 해프닝이라던가 [9] Janzisuka1532 25/07/13 1532 0
104523 [정치] 중국의 권력이상은 없다 [40] 如是我聞5255 25/07/13 5255 0
104522 [일반] <슈퍼맨> - 고전적 향취로 담아낸 고전적 히어로. (노스포) [14] aDayInTheLife1846 25/07/13 1846 2
104521 [일반] [팝송] 크리스토퍼 새 앨범 "Fools Gold" [1] 김치찌개2074 25/07/13 2074 2
104520 [정치] 의대생들 "국회·정부 믿고 전원 학교에 돌아갈 것" [105] Davi4ever12160 25/07/12 12160 0
104519 [일반] 군림천하 웹툰. [45] 진산월(陳山月)5743 25/07/12 5743 1
104518 [일반]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의 예비 조사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5] nearby4647 25/07/12 4647 2
104517 [일반] [책 나눔 이벤트] 생애 첫 펀딩을 해보았습니다. [19] Fig.12659 25/07/12 2659 4
104516 [일반] [스포있음] 최근 읽은 로판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 3선 - 메리 사이코, 악녀는 두 번 산다, 에보니 [19] Nybbas2248 25/07/12 2248 4
104515 [일반] 300년 안에 인류의 99퍼센트가 사라질 것이다 [56] 식별7656 25/07/12 7656 11
104514 [정치] 심심해서 혼자 만든 영화의 마지막 장면 [7] lux5652 25/07/11 5652 0
104513 [정치] 국힘, 특검 '임종득 압수수색'에 "정치 보복·야당 탄압" 반발(종합) [71] Crochen10235 25/07/11 10235 0
104512 [일반] 마을버스에서 있었던 작은 해프닝과 좋게좋게 마무리한 썰.. [5] 李昇玗4321 25/07/11 4321 14
104511 [일반] [강스포] 오징어게임3가 아쉬운 이유 [16] 페이커753832 25/07/11 3832 3
104510 [일반] 기후변화로 인한 바닷물 양의 증가와 지진의 관련 [15] 다크드래곤4623 25/07/11 4623 4
104509 [정치] 이재명 대통령 간담회 실언 해프닝 [363] 짭뇨띠15100 25/07/11 15100 0
104508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20(끝) [23] Poe2027 25/07/11 2027 61
104507 [일반] [서평]그들의 감정은 왜 다가오지 않는가: 《도둑맞은 교회》와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 계층방정1640 25/07/11 1640 4
104506 [일반] AI 보이스챗 난민의 Character.AI 정착기 [13] 깃털달린뱀2613 25/07/11 2613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