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8/22 17:08:21
Name 사업드래군
Subject [일반] 전 세계 저널(Journal) 순위 - 2018 (수정됨)
제목에 순위라고 돼 있어서 좀 이상하긴 한데, Thompson-Reuter에서 발표한 2018 전 세계 Journal들의 Impact factor 를 기준으로 한 순위입니다.

(정확히는 총 80개국 234개 학문 분야 11,655종 저널을 수록한 것입니다.)

잘 아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Impact factor (IF, 영향 지수)란, 그 저널에 속한 논문들이 타 논문에서 얼마나 인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한 저널의 IF가 5.0이라면 그 저널에 속한 논문들이 다른 논문들에서 평균 5번 인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확한 계산식은 IF = Citations / Publications 즉, 저널 내 논문들이 인용된 총합을 저널 내 논문의 총 수로 나눈 것입니다.

2018년 IF라고 하면 2016, 2017 이렇게 지난 2년간의 실적을 바탕으로 발표됩니다.

IF가 높다고 반드시 더 좋은 저널이라고 할 수 없지만, 매우 높은 IF를 가진 저널은 어느정도의 신뢰성을 인정받습니다.


그렇다면 2018년 전 세계 모든 분야 저널에서의 Impact factor 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1.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244.585)

2.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79.258)

3. LANCET (53.254)

4. CHEMICAL REVIEWS (52.613)

5. Nature Reviews Materials (51.941)

6.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50.167)

7. JAMA -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47.661)

8. Nature Energy (46.859)

9. NATURE REVIEWS CANCER (42.784)

10. NATURE REVIEWS IMMUNOLOGY (41.982)

11. NATURE (41.577)

12. NATURE REVIEWS GENETICS (41.465)

13. SCIENCE (41.058)

14. CHEMICAL SOCIETY REVIEWS (40.182)

15. NATURE MATERIALS (39.235)

16. Nature Nanotechnology (37.490)

17. LANCET ONCOLOGY (37.147)

18. REVIEWS OF MODERN PHYSICS (36.367)

19. NATURE BIOTECHNOLOGY (35.724)

20.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35.612)

21. NATURE REVIEWS NEUROSCIENCE (32.635)

22. NATURE MEDICINE (32.621)

23. Nature Photonics (32.521)

24. NATURE REVIEWS MICROBIOLOGY (31.851)

25. CELL (31.398)

26. ADVANCES IN PHYSICS (28.396)

27.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30.067)

28. World Psychiatry (30.000)

30. LANCET NEUROLOGY (27.138)

31. NATURE GENETICS (27.125)

32. NATURE METHODS (26.919)

33. PSYCHOLOGICAL INQUIRY (26.364)

34.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6.303)

35. Nature Chemistry (26.201)

36.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25.242)

37. LANCET INFECTIOUS DISEASES (25.148)

38.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24.912)

39. Nature Reviews Clinical Oncology (24.653)

40. PROGRESS IN POLYMER SCIENCE (24.558)


지면상 일단 40위까지만 적겠습니다.

압도적 1위는 IF 무려 244.585의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입니다. 암의 진단과 치료, 예방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Review Journal 입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187.04 였는데 1년만에 무려 60점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2위는 79.258의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EJM)으로 의학계에서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 저널입니다. 의대교수들이 여기에 논문 1편 내 보는 게 평생의 소원일 정도이고, 우리나라 전체에서도 여기에 논문을 실은 분이 몇 분 안 됩니다.

3위 53.254의 Lancet 역시 의학계에서 NEJM에 버금가는 권위를 인정받는 저널입니다.

4위 52.613의 Chmical Reviews는 화학 Review jounral인 것 같습니다.

11위의 Nature, 13위의 Science, 25위의 Cell 정도는 크게 관심이 없는 분들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만큼 유명한 Journal 들입니다.

40위 안에 있는 저널들 중 의학저널이 15개로 가장 많고, 화학이나 물리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재료공학, 심리학, 천문학 등의 저널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Journal 중 Thompson-Reuter 2018 Journal Citation Reports 에 들어간 저널은 총 363개입니다. 몇 가지를 소개하면

1568. EXPERIMENTAL NEUROBIOLOGY (3.810)

1572.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3.809)

1658.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3.710)

2464. MOLECULES AND CELLS (3.077)

2972.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CELLS (2.768)

3478. IMMUNE NETWORK (2.524)

3933. Advances in Nano Research (2.333)

3948.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330)

4872. WORLD JOURNAL OF MENS HEALTH (1.981)

5079.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1.916)

5274. ANNALS OF DERMATOLOGY (1.860)

6315. YONSEI MEDICAL JOURNAL (1.564)

6334. Algae (1.556)

6547.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1.500)

6942. JOURNAL OF GASTRIC CANCER (1.400)

6942. BIOCHIP JOURNAL (1.400)

7102.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1.362)

7635.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1.237)

7653.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1.233)

814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1.129)

9055. ASIAN NURSING RESEARCH (0.918)

9345.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0.861)

9424.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0.845)

11098. ASIAN PERSPECTIVE (0.482)

등등 입니다.


뭐 당연한 얘기겠지만 대부분 학계를 선도하고 자본이 몰려있는 천조국에 최상위권의 저널들이 거의 다 몰려 있습니다.

뭐, 저랑은 관계 없는 얘기지만 여러 교수님들, 박사님들께서 수고해 주시는 덕분에 우리나라도 점점 SCI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등재 저널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아직 세계적으로는 갈 길이 멉니다.

Impact factor가 반드시 저널 내 논문의 질과 연관된 것은 아니지만, 최상위권 저널들에 실린 논문들은 어느 정도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심심해서 한 번 적어봤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대구머짱이
18/08/22 17:19
수정 아이콘
IF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그냥 구글에서 xxx 저널 Impact Factor 2017 이런식으로 입력해서 하기만 했었는데..
예전에 저널 쓴 곳이 지금 IF가 어떤지 궁금하네요
Bluelight
18/08/22 17:21
수정 아이콘
http://jcr.incites.thomsonreuters.com 에서 확인하실 수도 있고,

해당 저널 홈페이지에도 나오는 편입니다.
Bluelight
18/08/22 17: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수정) 제가 잘 못 알고 있어서 수정합니다.

제가 지금까지 잘못 알고 있나 싶어서 기준치 확인 중이였는데, 확인해보니 본문에 쓰신게 맞네요.

다만 본문의 수치들은 IF (2017), 그러니까 2015, 2016 년의 실적을 기준으로 한 것이네요.

당연한거지만 IF (2018)은 2019가 되어야 발표될 거라서.
18/08/22 17:32
수정 아이콘
역시 NEJM 짱짱맨...
고등어자반
18/08/22 17:34
수정 아이콘
헐, 제가 편집자로 뛰었던 저널이름을 PGR에서 볼 줄이야... (덜덜덜)
작별의온도
18/08/22 17:37
수정 아이콘
의학저널들의 특성상 임팩트 팩터가 높게 나올 여지가 있긴 한데 그럼에도 NEJM과 LANCET의 위엄은 후덜덜
뒹구르르
18/08/22 17:41
수정 아이콘
의대와 공동연구로 의학 쪽 저널에 냈더니 보통 내는 기계공학쪽 저널에 비해 I.F.가 몇배가 높더군요.
논문 작성에 들어간 성의나 퀄리티는 반도 안됐는데...
뭔가 지는 느낌이었어요. 우린 2.만 되도 감지덕진데!
Bluelight
18/08/22 17:55
수정 아이콘
분야별로 차이가 크긴 하죠.
18/08/22 17:42
수정 아이콘
와.. 1위 저널은 정체가 뭐길래 점수가 압도적이네요.
몽키매직
18/08/22 18:04
수정 아이콘
리뷰만 싣는 저널이고 초청 형식이라 인용수 뻥튀기가 심합니다.
아이지스
18/08/22 17:44
수정 아이콘
NEJM, LANCET, JAMA 정말 좋죠
18/08/22 17:48
수정 아이콘
바이오 뻥튀기는 살짝 안정화 되는 추세고.. 배터리쪽이 진짜 엄청나게 폭등 중이죠. 올해 처음 점수 나온 Nature Energy 시작 점수만 봐도..
블리츠크랭크
18/08/22 17:51
수정 아이콘
Journal 이죠.. 크크
사업드래군
18/08/22 17:5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 ^^;
18/08/22 18:01
수정 아이콘
리뷰 저널들은 거르고 순위를 메겨야..
18/08/22 18:33
수정 아이콘
애초 기초 과학이나 기술 관련 저널의 순위를 IF로만 매기는 것 자체가 큰 의미 없는 일입니다.
분야마다 저널의 갯수도 다르고 연구하는 사람들의 규모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이죠. 사실 연구자의 연구 능력은
그가 쓴 페이퍼를 읽고 활용하는 다른 동료 연구자들이 제일 잘 평가할 수 있습니다. Nature Science에 출판된 페이퍼 중에 쓰레기도 있지만,
IF = 1짜리 저널에 출판된 페이퍼 중에 보석도 있기 때문이죠. 물론 통계적으로 IF가 높을수록 새롭고도 기본에 충실한 연구 결과가 실릴 통계적
상관관계는 높은 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F는 그저 하나의 지표일 뿐이죠. 청색 LED로 노벨상을 수상한 나카무라의 최초 논문도 자국의 저널인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에 실렸는데, 이 저널의 IF는 1-2 수준입니다. 요즘 기준으로 보면 처참한 IF죠.

어쨌든, 위의 리스트에서 임상이나 리뷰 저널을 제외하면, 1-40위까지에 속한 저널 중에,

8. Nature Energy (46.859)
11. NATURE (41.577)
13. SCIENCE (41.058)
15. NATURE MATERIALS (39.235)
16. Nature Nanotechnology (37.490)
19. NATURE BIOTECHNOLOGY (35.724)
22. NATURE MEDICINE (32.621)
23. Nature Photonics (32.521)
25. CELL (31.398)
27.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30.067)
31. NATURE GENETICS (27.125)
32. NATURE METHODS (26.919)
33. PSYCHOLOGICAL INQUIRY (26.364)
35. Nature Chemistry (26.201)

14종 밖에 남지 않습니다. 애초 임상이나 리뷰 저널들의 IF가 높은 까닭은, 사람들이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를 할 때 항상 많이 인용되는 페이퍼들이
잔뜩 실려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연구하고 실험하고 해서 얻은 데이타를 정리하여 독립된 페이퍼 (letter, communication, full paper 등의 형식)로
출판한다고 했을 때, 이런 저널에는 연구자들이 페이퍼를 잘 보내지도 않고 설사 보낸다고 해도 잘 실리지도 않습니다.

또 한 가지 생각할 문제는, 이런 저널들도 IF가 지나치게 높아질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핫하다고 하는 분야에 대한 리뷰 페이퍼가 저널에 실리게 될
경우가 그렇습니다. 저널 출판인들이나 에디터도 이런 메커니즘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저널의 IF를 높여야 할 경우, 이런 장난질 아닌 장난질을 많이
칩니다. 에디터 중에는 전략적으로 그 분야의 학계의 떠오르는 스타 혹은 네임드 빅가이에게 invited review를 요청하여, 그 해의 citation 횟수를
왕창 늘리는 요령이 잘 준비된 사람이 꽤 됩니다.

요즘 한국 학계는 SCI SSCI 등 해외 학술 저널에 실리는 페이퍼의 '점수'를 오로지 IF에만 의존하여 평가하는 것이 유행이 된지 벌써 10년이 다 되어 갑니다. 전통적인 기초 과학 관련 저널의 IF는 해마다 깎이거나 잘 해 봐야 정체 수준인데, 이른바 잘 나가는 분야만 집중적으로 다루는 저널들은 해가 다르게
IF가 높아지죠. 위에 27위에 랭크된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라는 저널이 대표적인 예인데, 거의 1년에 5-10점씩 올라가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집중적으로 관심을 갖는 이차전지, 태양전지, 물분해 등의 에너지 기술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죠. 이러니, 원래 에너지 기술 관련 연구를 하지 않았던 연구자들도 너도나도 에너지쪽으로 방향을 틀어서, 어떻게든 EES에 페이퍼를 내 보려고 애를 씁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고지식하게 원래 자기가 하던 연구를 깊게 파내려가는 연구자들은 똑같은 노력으로 똑같은 페이퍼를 똑같은 저널에 내도, 점점 페이퍼가 쓰레기 취급 당하는 일이 발생하게 됩니다. 웬만큼 심지가 굳은 학자가 아닌 다음에야 (혹은 tenure를 받은 교수가 아닌 다음에야), 이런 상황을 모른척 하기 힘들고요, 따라서, 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파고 드는 젊은 연구자가 자생하기가 힘들어집니다.

저널의 퀄리티를 결정할 수 있는 정량 지표가 필요하다는 점에는 동의합니다만, 그것이 꼭 IF만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해당 분야의 연구자들이 알아서 tier를 정하게 하는 방법도 있고, eigenfactor 등의 조금 더 보정된 index를 쓰는 방법도 있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론적으로는, 어떤 연구 페이퍼든, 일단 출판되면, 그 분야 연구자들은 이 페이퍼가 좋은 페이퍼인지 아닌지 저널 이름과 상관없이 판단할 깜냥은 다들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용횟수에서도 차이가 날 것이고, 언급되는 데이타의 수준에서도 드러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18/08/22 19:01
수정 아이콘
제 지도교수께서도 늘 '좋은 연구는 좋은 저널에 실린 연구가 아니고 인용이 많이 된 연구다' 라고 하시는데 비슷한 얘기네요.
18/08/23 03:13
수정 아이콘
사실이 아닙니다. 인용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매우 많고요. 그 교수님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 통하는 지 모르겠지만, 분야마다 너무나 다릅니다.

한 예로 저희 분야는 사이즈도 작고 페이퍼도 빨리 나오지 않기에 보통 인용수가 100회를 넘어도 좋은 페이퍼입니다만, 툴 페이퍼들은 인용수 수천회는 어렵지 않게 가져갑니다. 그 툴을 사용하는 모든 실험들이 해당 툴 페이퍼를 인용해야 하거든요. 하지만 그 툴을 만드는 일은 연구라기보단 개발에 더 가까운 일이라서 그 툴 페이퍼는 좋은 평가를 받진 못합니다. 다른 예로, 어떤 페이퍼는 너무 빼어난 솔루션을 만들어서 해당 연구 분야를 죽여버리기도 합니다. 그런 페이퍼 또한 매우 좋은 페이퍼지만 그 페이퍼 이후 해당 연구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인용수가 이전 페이퍼들에 비해 턱없이 적죠.
18/08/23 06:37
수정 아이콘
저희는 문과쪽이라 말씀하신 내용과는 차이가 있긴 합니다 :)
방과후티타임
18/08/22 18:37
수정 아이콘
우와...IF가 200이 넘어가는 저널도 있네요. 제가 대학원 있을때 낼까말까 하던 저널들은 1~3정도 수준이었는데....
18/08/22 18:57
수정 아이콘
연세메디컬 저널이라,, 꽤나 유의미한점수인것같은데 재밌네요. 학교이름이 걸렸다니
라방백
18/08/22 19:25
수정 아이콘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저 IF 1위 저널의 리뷰는 수백페이지에 달하는 각종 임상 결과들로 가득차있던걸로 기억합니다. 인용수가 높을수 밖에 없는 저널이던걸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IF는 리뷰 저널들이 높고 레터 저널들은 낮은데 보는 재미로는 네이쳐 사이언스를 제외하면 오히려 레터 저널에서 신기한 아이디어들이 많이 보였던것 같습니다.
달달한고양이
18/08/22 20:16
수정 아이콘
CNS 중 역시 간지의 최고봉은 네이처라 생각합니다. 본지는 됐고 자매지라도....아니 네이처 컴이라도 쓰고 싶다....

사실 저 위 목록에 나와있는 탑 저널들은 저같은 일반연구자들에겐 꿈이고, 현실적으로 5점 이상 쓰면 평타고 10점 넘기는 게 우선 목표죠. 전통의 역사깊은 저널이 아니고서야 impact factor로 줄을 세우는 게 보통이라 거기에 집착하게 되긴 하는데, 그러다보니 높은 팩터를 내세워서 장사하는 저널들도 많아지는 것 같아요. Nature communication은 투고비도 받는 데다가 억셉되어도 개재비가 몇천불이라는 덜덜 ㅠㅠ
(하지만 그래도 쓰고 싶다 하....)

또 하나 재밌(?)는 점을 들어보자면 위에 제시된 factor는 매년 갱신되기 때문에 미래가 밝아(?)보이는 저널을 찾아 개재하는 게 의외로 몹시 중요합니다. 개재 시점보다 팩터가 올라가면 몹시 뿌듯하고 반대로 떨어지면 씁쓸하죠. 이거슨 흡사 주식이나 도박하는 느낌 크크...물론 최악은 저널 자체의 공신력이 쩔어져 버리는 것이지만요. 팩터만 보고 달리다가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블루투스 너마저
18/08/22 20:31
수정 아이콘
33위인 PSYCHOLOGICAL INQUIRY (26.364) 라는 저널은 굉장하네요. 사회 및 성격심리학 쪽 저널이라는데, 제가 공부할 때는 이름도 못 들어본 것 같은데... 내가 정말 무식했구나...
티모대위
18/08/22 20:40
수정 아이콘
역시 임팩트 팩터는 의학과 화학 분야가 짱인듯 합니다. 여기는 서로 통하는 구석도 많고, 모두가 주목하는 분야가 오랫동안 연구되니까...
저는 전자공학에서도 디지털 회로라... 제 분야는 찾아보기 힘드네요. 전자공학은 학문 자체가 너무나도 세분화되어있고 독립되어있어서... 제가 연구하는 분야조차도 매년 바뀌는데 오죽하겠냐만은요 크크
possible
18/08/22 22:22
수정 아이콘
국내 저널 중에 한편은 초창기 편집을 제가 다했었는데...지도교수님이 편집위원장이셔서... 당시 0점대였는데 많이 올라왔네요...허허
18/08/23 02:10
수정 아이콘
분야마다 달라요.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페이퍼가 빨리 나오는 분야는 임팩트 팩터가 높고, 페이퍼가 느리게 나오는 분야는 임팩트 팩터가 낮아요. 페이퍼가 3~4달마다 하나씩 나오는 분야가 있고, 길게는 실험때문에 페이퍼 하나에 4~5년 혹은 그 이상 걸리는 분야도 있어요. 그 페이퍼 나오는 속도 차이가 같은 분야라도 토픽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 심지어 분야가 다르면 이런 임팩트 팩터 비교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요.
하얀가운의노예
18/08/23 09:2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저널중에 높은 if를 가진 몇 저널이 더 있습니다.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IF 3.230),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IF 1.726) 이 있습니다. 위에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는 대한암학회에서 발간하는 저널이고, 후자는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에서 발간하는 저널입니다. 우리나라 저널들의 IF 가 많이 올라왔네요 과거에 비해서
18/08/23 12:55
수정 아이콘
IF는 관련 연구자들이 많을수록 높을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간과하는 요소가 있는데 그건 논문의 유무료 여부입니다.
top 저널은 대부분 open access를 지원합니다.
아무나 다운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대신 저자에게 꽤 비싼 게재료를 내도록 합니다.
이 댓가로 많은 사람들이 쉽게 citation을 하게 되죠. Gets better! 양극화가 심화되죠.
그래도 돈을 냅니다. 실적이 좋아지니까. 작은 저널은 reprint 받는 걸로 버티지만
어떤 저널은 한번에 300만원까지 게재료(open)를 받습니다. 쪼그마한 수학저널같은
경우 도서관 구독, 회원구독으로 버티는데 논문 open으로 풀면 망하죠.

이전에 웃긴 사건이 있었는데 브라질 풍토병 관련 연구를 Science에 냈는데(브라질 연구진들이)
연속 거절되었죠. 그런데 이 병이 스물스물 미국쪽으로 타고 올라가게 된 후에 승인되었습니다.
top저널 심사는 정치가 최소 30-40%정도는 됩니다. 그래서 한국학자들이 막상 발표할 때는
미국 거물학자, 또는 Jews familiy 연구원 끼워서 NSC에 논문내곤 합니다.
18/08/23 22:36
수정 아이콘
논문이 나오는 양이 많은 분야는 물타기가 돼서 희석되기도 하고, 애초에 레퍼런스를 많이 다는 분야나 저널도 있고 반대로 적게 다는 곳이 있습니다. 분야마다 다르지만 같은 분야에서도 그래요. 그래서 연구의 질을 비교하기에 임팩트 팩터로는 사실 측정이 애매합니다. 그래도 같은 분야내에서의 비교로는 그래도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는 편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336 [정치] 맹목적 추종과 비민주적 정치관 [134] LunaseA13499 19/08/22 13499 35
82328 [정치] 한영외고 "학교차원에서 공식 인터십 프로그램없다" [245] 차오루17366 19/08/22 17366 34
82275 [정치] 조국 딸 관련, 단국대 공식사과 및 조사착수+내용추가 [116] 차오루14919 19/08/20 14919 12
82274 [정치] 불투명해진 사법개혁, 그 개혁의 지지자의 왼쪽 진영에 대한 당부의 말 [61] 종합백과7640 19/08/20 7640 28
82269 [정치] 조국이 정말 무섭긴 무섭네요. 정말로. (조국자녀 의학논문 관련 건) [1286] 차오루58552 19/08/20 58552 98
81746 [일반] 서울시 교육청, 자사고 대규모 지정취소 [49] 아유8290 19/07/09 8290 0
81525 [일반] 일본 소설가 야마자키 도요코의 작품 소개 [8] 비타에듀7367 19/06/18 7367 1
80992 [일반] 수능이 서민한테 불리하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봅니다 [182] AUAIAUAI12404 19/04/30 12404 9
80358 [일반] 당신은 왜 사는가? 상대적 박탈감에 지친 당신에게 [36] 귀곡성13197 19/03/08 13197 13
80140 [일반] 캐나다 의사가 미국으로 이주? 이제는 그 반대 [60] 달과별17737 19/02/16 17737 2
79978 [일반] '공간'이라는 키워드로 생각해 본 sky 캐슬의 진주인공 [24] 위버멘쉬9694 19/02/02 9694 23
79944 [일반] (육아/교육) 미국 입시 관한 잡담. [94] OrBef10992 19/01/31 10992 8
79435 [일반] 학생부종합전형의 현실을 알려드립니다 [150] truebeatsfear15231 18/12/22 15231 53
79381 [일반] 대입을 준비하기! [51] Jr.S19457632 18/12/18 7632 6
79378 [일반] 육아는 템빨 -5- [62] 비싼치킨10709 18/12/18 10709 30
79377 [일반] [MCU] 어벤져스의 천상천하 유아독존 3인방 + 캡틴 이야기 [52] HesBlUe9866 18/12/18 9866 10
79359 [일반] SKY캐슬 실재의 아이들은 어떻게 살아가나. [90] 펠릭스30세(무직)16725 18/12/16 16725 14
79266 [일반] 인생에서 가장 평화로웠던 한 때 [18] 녹차김밥7228 18/12/10 7228 11
78947 [일반] 문제풀이 암기식의 수능의 한계. [240] 펠릭스30세(무직)17885 18/11/20 17885 36
78561 [일반] 아래 요양원 글을 써보는 우리나라 의료계 문제... [281] 마르키아르16198 18/10/18 16198 9
78159 [일반] 현직 의사로서 의료기기 영업사원 수술에 대한 간단한 글 [182] 킬리언 머피22840 18/09/08 22840 36
77973 [일반] 전 세계 저널(Journal) 순위 - 2018 [30] 사업드래군31879 18/08/22 31879 7
77881 [일반] [단편] 만진이 [2] 헤이주드5032 18/08/13 5032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