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3/30 13:04:46
Name 강가딘
Subject [일반] 中 ‘톈궁 1호’ 추락 D-2, 우주위기경보 ‘경계’ 발령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134310

점심 먹으며 뉴스 보다 속보 뜨더라고요
속보 전하는 앵커분도 살다 이런 경보는 처음 전한다며 당황해 하는 기색이 역력했습니다.
sf소설이나 영화에서 보던 일이 실제로 일어나다니....
일단 아직은 가능서은 낮아 보이긴 하지만
어디로 떨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경게는 해야할거 같습니다.
제발 바다로 떨어저야 핥텐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3/30 13:05
수정 아이콘
제발 바다로..
솔로13년차
18/03/30 13:07
수정 아이콘
바다나, 사막이나, 어쨌든 인명피해 없고 재산피해 적을 곳으로 떨어졌으면 좋겠어요.
지하생활자
18/03/30 13:07
수정 아이콘
내려오다가 다 타서 지표면에 떨어지는게 없을텐데..
솔로13년차
18/03/30 13:07
수정 아이콘
이번에 크기가 커서, 아무래도 지표면에 떨어지는 게 있을 것 같다고 예상하더군요.
피식인
18/03/30 13:36
수정 아이콘
우주정거장 같이 큰 놈들은 떨어질때 잔해가 남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그래서 낙하 경로를 대양으로 유도하는 편이에요.
18/03/30 13:08
수정 아이콘
하 진짜 중국 진짜...
YORDLE ONE
18/03/30 13:10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만으론 부족했니
마징가Z
18/03/30 13:10
수정 아이콘
진짜 액시즈 떨어지는 느낌이네요;; 어디가 됐든 큰일만 일어나지 않았으면;;
Achievement
18/03/30 13:11
수정 아이콘
웃을 일이 아닌데 이거보고 터졌습니다...엑시즈라니
Suomi KP/-31
18/03/30 13:13
수정 아이콘
그런데 아무로는 어디갔나요?
ThisisZero
18/03/30 20:41
수정 아이콘
아무로랑 샤아는 액시즈 타고 미국갔어요...
18/03/30 13:26
수정 아이콘
가라 천궁, 추악한 기억과 함께
엔조 골로미
18/03/30 13:37
수정 아이콘
뉴건담은 겉치레가 아니야
18/03/30 13:10
수정 아이콘
저 군대있을때 러시아 위성이 저런 상태라고 공문 본적이 있네요
덴드로븀
18/03/30 13:11
수정 아이콘
http://www.n2yo.com/?s=37820
경로가 정말 안좋긴 하네요...
NoGainNoPain
18/03/30 13:12
수정 아이콘
이런 분야에서 갑은 핵연료를 탑재한 러시아 코스모스 위성이 캐나다에 떨어진 겁니다.
텐궁 1호는 핵이 없으니 그나마 이것보단 좀 낫긴 하네요.
18/03/30 13:14
수정 아이콘
중국 망했으면..
걸그룹노래선호자
18/03/30 13:14
수정 아이콘
일단 주요 추락 예측 지역이 남반구 쪽이네요.

호주, 남미, 인도양, 아프리카 등
18/03/30 13:15
수정 아이콘
천궁 이란 이름은 마가 끼었나...
낭만없는 마법사
18/03/30 13:24
수정 아이콘
아 하필이면 천궁.... 이름부터가 잘못된 거였네요.... 쩝....
18/03/30 13:15
수정 아이콘
저거 크기가 어느 정도 될까요?
우주 정거장 규모면 길이가 50m 이상 되려나..
크기, 무게와 속도에 따른 파괴력 예측 같은 것도 지금은 전혀 안 되는 걸까요
그런 게 있어야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이 될 텐데..
고작 이틀 정도 남았는데 정보가 너무 부족하군요
18/03/30 13:17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까 대강 나오네요

"2011년 9월 발사된 톈궁 1호은 중국 우주정거장으로 발사당시 중량 8500kg, 길이 10.5m, 직경 4.3m의 규모로, 당시 무인인공위성과 도킹 및 우주인 체류 실험을 위해 제작됐다."
양념반자르반
18/03/30 13:17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크기는 크진않은데 떨어지는 속도에 따른 파괴력은 엄청 날거같은데;;;;;;;;
무섭네요 ㅠㅠ
덴드로븀
18/03/30 13:21
수정 아이콘
시험적인 모델이라 10미터 정도로 그렇게 크진 않습니다. 거기다 대기권 돌입때 거의다 타버릴거구요.
잔해가 남더라도 크기는 cm 단위겠지만... 운나쁘게 미터단위 파편이 육지에 떨어지면 포탄보다 위력이 더 클테니까요.
보통 대충 바다에 떨어지도록 조종해놓고 대기권 진입시켜서 태워버리는 식인데 이놈은 그게 안되서 어디로 떨어질지 모르다보니 경보까지 발생시킨거죠.
메가트롤
18/03/30 13:18
수정 아이콘
하 중국크크크
메가트롤
18/03/30 13:18
수정 아이콘
느닷없이 그래비티 떠오르네요.
운명의방랑자
18/03/30 13:19
수정 아이콘
그러길래 이름을 왜 그 따위로 지어서…….
걸그룹노래선호자
18/03/30 13:24
수정 아이콘
http://naver.me/G9C0FQHM

톈궁1호의 추락 가능 지역은 북위 43도에서 남위 43도 사이로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남미, 호주, 아프리카 등을 걸친 넓은 범위다. 우리나라 면적은 추락가능 지역 영역 대비 약 3600분의 1 정도로 우리나라에 추락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리나라가 최종 추락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추락 1∼2시간 전 가능하다.

3600분의 1이라네요. 저는 안심하고 있겠습니다.
18/03/30 13:37
수정 아이콘
약 0.03%의 확률이네요. 그럼 뭐...
어? 근데 복권이나 게임에서 아이템 획득확률 생각해보면 이거 생각보다 높은데요?
우리아들뭐하니
18/03/30 13:41
수정 아이콘
음? 가챠 확률보다 높은듯한데요.
타마노코시
18/03/30 13:45
수정 아이콘
저 말이 웃긴게, 결국 현재 돌고 있는 위성궤도의 유효 범위가 다 포함된거예요. 그냥 공전궤도상 가지 않는 지역을 제외하고 공전궤도가 커버하는 전 지역이 해당된다는 뜻입니다.
한마디로 '랜덤'...
강가딘
18/03/30 13:53
수정 아이콘
레알 복불복
낭만없는 마법사
18/03/30 13:25
수정 아이콘
애휴 중국은 진짜.... 민폐주는 건 전세계 1~2등이라고 자부합니다. 왜 1~2등이냐면 북한도 있기때문이죠.
Fanatic[Jin]
18/03/30 16:19
수정 아이콘
1~3등 봅니다.

요새 유럽보면 존재감 원탑은 테러집단으로 보여서...
처음과마지막
18/03/30 13:37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만약에 우주 무인위성에 핵무기 장착해놓으면 그것도 무시무시한 전략무기급이 될것 같아요
키스도사
18/03/30 14:17
수정 아이콘
http://news.donga.com/List/3/0806/20160816/79777251/1
실제로 우주 궤도에서의 공격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고 있죠.
NoGainNoPain
18/03/30 15:33
수정 아이콘
근데 말 그대로 연구뿐이라서... 현 단계에서 실용성은 거의 없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일단 올리는게 어렵습니다. 막대기 하나가 수톤이라고 하는데, 현재 발사체 탑재 용량이 이걸 한꺼번에 실어나르기에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위성에 막대기를 대량으로 탑재할려면 적어도 열몇번 정도의 발사가 필요한데 이게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전세계를 타격하기 위해서는 저궤도상에 올려놔야 하는데, 저궤도는 공기저항이 있기 때문에 가만히 놔두면 자연스레 고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추진체를 사용해서 주기적으로 고도를 상승시켜야 하는데, 수톤짜리 막대기를 대량으로 탑재하면 고도상승을 위한 추진체 용량이 무지막지하게 커지게 됩니다.
거기다가 이걸 몇개월 운용하는 것도 아니고 몇년을 운용해야 하는데, 무게를 따져봤을 때 엄청난 양의 추진체를 탑재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친환경적(?)이고 막을 방법이 거의 없다라는 장점이 있긴 합니다만, 올리기가 무지하게 힘들고 유지하는것도 무지하게 힘들며 위성위치가 항상 노출되어 있다보니 격추될 가능성도 커서, 차라리 ICBM으로 핵폭탄을 날려보내는게 현재로서는 훨씬 남는 장사이긴 합니다.
-안군-
18/03/31 11:58
수정 아이콘
어 이거 지아이조2 에서 봤어요!!
닉네임을바꾸다
18/03/31 00:24
수정 아이콘
그거 협약으로 금지되어있습니다...
처음과마지막
18/03/31 00:27
수정 아이콘
다행이군요
피식인
18/03/30 13:39
수정 아이콘
사실 이게 중국이 진짜 민폐 끼치는거긴 한데 우주 개발 선진국인 미국 러시아도 전에 이런 민폐 많이 끼쳤었더랬죠. 별 일 없이 지나가길..
도토루
18/03/30 13:40
수정 아이콘
저걸로 인해 문제가 생기면 중국에서 전액 보상해 주는거겠죠?
아유아유
18/03/30 13:40
수정 아이콘
중국에 그냥 떨어지는게 지구 평화를 위해 제일 나아보이는데...하하;;
18/03/30 13:43
수정 아이콘
전문가들 의견도 잔해가 지표든 해수면이든 충돌할 가능성이 높은걸로 보나요? 언뜻 생각하기엔 일반적으론 다 타버리고 희박한 확률로 최대 수십센치정도의 파편이 남을 거 같긴 한데..
매일발전하는인생
18/03/30 13:46
수정 아이콘
'너의 이름은' 이 생각나네요. 무사히 지나가길 바랍니다.
Cazellnu
18/03/30 13:47
수정 아이콘
천궁 허허
18/03/30 13:48
수정 아이콘
만약 우리나라 A농사꾼의 사유지에 추락하게 되면 소유권은 어떻게 되죠?
-안군-
18/03/30 13:56
수정 아이콘
뜬금없이 이영도작가가 떠올랐...
감나무밭을 태워버렷!!
포도씨
18/03/30 14:06
수정 아이콘
그게 KT가 5억에 팔아먹은 위성처럼 가치있을거라고 생각하시는건 아니시죠?
물론 전세계적인 뉴스거리니 사겠다고 덤벼드는 부자들이 있을지도...전 안 부자라서 그 가치를 모르겠네요. ㅠㅜ
피카츄백만볼트
18/03/30 14:11
수정 아이콘
유의미한 사이즈(아기 주먹 사이즈 정도?)의 쪼가리 주우면 그건 나름 수집품으로서의 가치는 있을것 같네요. 무려 우주정거장 쪼가리인데 무슨 수억일리는 없지만 수백만원정도면 산다는 사람 나올듯 한데...
타마노코시
18/03/30 14:40
수정 아이콘
우주 환경에 있다가 대기로 진입하고 진입 과정동안 극고온 상태가 되서 함부로 접근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아마 떨어지면 그 지역 주변 통제구역 치는 걸로..
츠라빈스카야
18/03/30 14:56
수정 아이콘
극고온이래봐야 금방 식어요.. 어차피 소재 융점 이상 올라가면 다 녹아버릴테니 최고점이라도 수백도 수준일거고요.
그리고 구조상 공기저항이 커서 유성처럼 어마어마한 속도도 아닐터라, 떨어지는 사이에 웬만큼 식을겁니다.
시노부
18/03/30 14:04
수정 아이콘
이게 웃을일이 아닌데 실웃음 나오네요
진짜 어지간히 해라 니네..ㅠㅠ
와따가감
18/03/30 14:07
수정 아이콘
중국은 참 대단해요^^
18/03/30 14:27
수정 아이콘
뻥궁 이자식들 진짜... 이건 테러 아닌가요
봄바람은살랑살랑
18/03/30 14:55
수정 아이콘
저거에 피해 받으면 보상은 누가 해주나요..
아점화한틱
18/03/30 15:38
수정 아이콘
우주물 추락하는 곳에는 하이드라진같은 맹독성 물질도 주의해야한다던데 그게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나용? 대기권에서 다 타버리려나 그런거는
18/03/30 16:13
수정 아이콘
혹여나 중국 아닌 타지역에 떨어져서 피해입으면 중국쪽에서 보상해줘야하는건 당연하겠죠?
SoLovelyHye
18/03/30 16:54
수정 아이콘
근데 이게 대륙간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테스트 하기에 최고의 조건 아닌가요?
걍 미국에서 미사일 방어 시스템 점검겸 해서 미사일 쏴서 대기권 상부에서 맞춰서 부숴버리면 조각들이야 뭐 떨어지면서 다 불타서 없어질 것 같은데...
빗나가도 손해볼 것도 없고요.
덴드로븀
18/03/30 17:04
수정 아이콘
일단 시작하려는 순간 돈이...
우주쓰레기 하나 격추하자고 MD 시스템 풀가동해야할텐데 비용이 못해도 몇백억원 단위로 갈려나가겠죠.
거기다 혹시라도 빗나간다...? 천조원짜리 시스템으로 쓰레기하나 제대로 못치운다라는게 되버리면 신뢰도가...어우....크크크
SoLovelyHye
18/03/31 00:38
수정 아이콘
훈련으로 생각하면 대륙간 탄도 미사일 쏘는 비용은 절약되니 훈련 치고는 싸게 먹힐 수 있는거죠.
못맞춰도 못맞추는 것 대로 데이터가 쌓이는거니 손해가 아니고요.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니 추락체의 속도가 미사일만큼 빠르진 않을 것 같아서 별로 실험의 의미가 없겠네요.
닉네임을바꾸다
18/03/31 00:26
수정 아이콘
우주쓰레기만 늘리는 꼴이 될수도...
SoLovelyHye
18/03/31 00:36
수정 아이콘
대기권에서 박살나면 떨어지다가 불타게 됩니다. 유성처럼요.
대기권 밖에서 박살나도 이미 떨어지고 있었다는건 탈출 속도나 궤도 유지 속도에 미달하였다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파편은 대기권으로 추락하게 될겁니다.
일부는 에너지를 받아 잔류할 수도 있겠네요.
근데 어차피 미사일 디펜스 체제가 대륙간 탄도미사일이 날아다닐 정도의 높이에만 국한된거니 잔류 쓰레기는 별로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 같네요.
18/03/30 17:05
수정 아이콘
사고나면 보험처리 될까요? 집이나 자동차나?
엣헴엣헴
18/03/30 17:13
수정 아이콘
너의 이름은...
Galvatron
18/03/30 17:23
수정 아이콘
bbc위 보도에서는 사람을 명중할 확율은 한해에 같은 사람이 두번 번개에 맞을 확률과 비슷하다고 하더군요
六穴砲山猫
18/03/30 17:28
수정 아이콘
무슨 건담에 나오는 콜로니 떨구기도 아니고 이게 뭔일이랍니까;;;;;
눈팅족이만만하냐
18/03/30 17:55
수정 아이콘
미카엘
18/03/30 18:15
수정 아이콘
천궁은 진짜 이름 자체가 문제인지.. 위성이나 파워나 다 폭탄이군요.
스타카토
18/03/30 19:31
수정 아이콘
이제 추정 추락지점이 콩고군요~
일단 바다가 아니라 육지인데...
계속 바뀌고 있습니다만 제발 우리나라만 아니길 바랍니다~
아이유
18/03/30 19:56
수정 아이콘
산동성 공장밀집지역으로 떨어지면 좋겠다 제발..
...이라는 리플이 있네요. 크크
Normalize
18/03/30 20:02
수정 아이콘
그냥 얌전히 태평양 한가운데 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육지에 떨어지면 어떻게든 악영향 나올거라서...
Zakk WyldE
18/03/30 20:35
수정 아이콘
미국 항공모함 같은데 떨어지면 3차세계대전 일어나나요?...
처음과마지막
18/03/31 00:26
수정 아이콘
진짜 미항공모함에 떨어져서 격추되면 3차대전 시발점이 될지도요
도라귀염
18/03/31 14:42
수정 아이콘
홀인원을 18홀 연속하기 정도의 확률이지 싶은데요
18/03/31 00:39
수정 아이콘
전설의 콜로니 떨구기를 현실에서 보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739 [일반] 역대 최고의 일본 sf 애니메이션 15선 [85] 예니치카22369 19/01/14 22369 26
79647 [일반] 유상무, 부기영화, 그런거 왜 보냐? [61] 와!14867 19/01/06 14867 16
79630 [일반] 할란 카운티에는 중립이 없다는데 당신은 누구 편이오? [40] Farce11715 19/01/05 11715 15
79601 [일반] 석 달째 추리소설을 읽으며 - 스포 無 [10] 잠잘까7299 19/01/03 7299 7
79185 [일반] 마미손과 회복탄력성 [46] 2212176 18/12/06 12176 64
79024 [일반] 두 달간 추리소설을 읽으며 - 스포 無 [37] 잠잘까8483 18/11/26 8483 5
78605 [일반] 릭 앤 모티: 우주 속 우울한 사람들 [34] Farce9393 18/10/22 9393 8
78565 [일반] [약스포] 퍼스트맨 용아맥 후기 [33] 여섯넷백7781 18/10/19 7781 6
78341 [일반] 나는 왜이리 무식할까. [4] makka6406 18/09/24 6406 1
78266 [일반] (생각거리) 기억은 나인가 [33] 유유히5723 18/09/18 5723 9
78199 [일반] 안 백수입니다. [61] 현직백수10147 18/09/12 10147 11
78022 [일반] 인생 미드 몇 개 추천 [116] 생각안나19213 18/08/27 19213 8
77877 [일반] 부산/경남/전남/제주에 해일주의보가 발령되었습니다. [20] 무가당12096 18/08/12 12096 0
77821 [일반] 사람과 괴물 사이의 이야기 2 : 나쁜놈들 전성시대 [18] Farce8712 18/08/06 8712 16
77721 [일반] <인랑>, 로맨스 안넣으면 제재라도 당하나? (스포X) [73] 화이트데이9838 18/07/25 9838 4
77357 [일반] 실험적으로 입증될 수 없어도, 그래도 여전히 과학인가? [27] cheme12199 18/06/21 12199 40
77248 [일반] 2018 모터쇼 후기 (데이터,스압) [24] 소시10528 18/06/11 10528 22
77010 [일반] 오스카 연기상을 받지못한 최고의 남자배우 TOP10 [57] 기관총15498 18/05/17 15498 26
76718 [일반] [보드게임 소개] 배틀스타 갤럭티카 [34] Serapium8903 18/04/20 8903 6
76613 [일반] sf의 미래를 알고 싶다면 앤 레키를 보라 [22] 글곰8138 18/04/13 8138 17
76604 [일반] [sf걸작선] 유년기의 끝 [35] 아케이드10493 18/04/12 10493 5
76525 [일반] [7] 인문사회 신간 위주로 둘러본 서점 나들이 (사진 多) [9] 위버멘쉬10093 18/04/07 10093 29
76449 댓글잠금 [일반] (칼럼 번역)House of 1000 manga-강철의 연금술사 [302] 히나즈키 카요11250 18/04/02 11250 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