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3/20 10:04:13
Name 난될거다
Subject [일반] 소시민으로 살아가기란 (수정됨)
안녕하세요 여러분 수도권에서 생활을 하는 소시민입니다
한국 경제가 극심한 저성장 시대로 정착해가는 과정에서 저같은 소시민은 어떻게 살아가는게 합리적이고 바람직할까 라는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작년에 사회로 진출하고 매월 통장에 찍히는 급여는 220만원 남짓
지금까지의 소비패턴을 분석해봤을때 1개월 고정 지출이 평균 90만원정도네요
-부모님 보험비, 본인 보험비, 통신비, 식비, 교통비 + a-

대기업처럼 임금상승률이 높고 진급의 기회가 많은것도 아니고
공무원처럼 년차가 쌓일수록 호봉이 올라 급여도 올라가는 것도아니고
물론 이런사람들은 대한민국 0.01퍼센트 사람이라 비교하는 자체가 무의미하지만요

주변 어른들은 항상 저한테 저축은 하고있냐 돈 함부로 쓰지말고 악착같이 모으라고 얘기합니다
너도 결혼도 해야지 가정을 꾸려야지
하지만 제생각은 결혼할때 아파트 1세대와 차를 구비할수 없는 남자는 결혼시장에서 경쟁력이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매년 1500만원을 저축해 15년이면 2억 1500만원 경력이 올라 급여가 오르고 대출까지 끼면 3억 정도 되려나 모르겟습니다
음 15년이라도 힘드네요 20년? 즉 제가 47살 정도되야 아파트 한세대와 자가용 하나를 구매할수 있는 여유가 되련지

지금의 사회에선 돈을 악착같이 모으는게 미덕이 아닌거 같습니다.
물가는 매년 상승하고 부동산 거품은 계속 부풀려지기만 하고
지금 저축한 돈의 가치는 계속 떨어지는데
YOLO족처럼 저축이 아닌 새로운 경험과 체험
지금의 나를 위해 돈을 쓰는게 더 현명한거 아닌가 고민이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18/03/20 10:08
수정 아이콘
집은 은행 월세로 사야죠 뭐 ㅜㅜ
어랏노군
18/03/20 10:11
수정 아이콘
대출 안 끼면 집 살 수가 없죠.. 소시민이라면..
가정을 안 꾸린다면 나름 즐기며 사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습니다만..
가정을 꾸릴 생각이 있으시다면.. 악착같이 모아두는 것이 좋죠..
달달한고양이
18/03/20 10:13
수정 아이콘
돈 모아서 (그것도 서울에) 집 살 수 있으면 그거슨 소시민이 아닙....

힘내세요. 저축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너무 서럽게 안누리고 살지 마시구요.
18/03/20 10:17
수정 아이콘
집은 대출해야죠
미래를 위해 현재를 포기할수없죠
데포르쥬
18/03/20 10:19
수정 아이콘
차는 몰라도 아파트는 좀... 연애를 계속하다보면 결혼은 따라오긴 하더라구요.
ioi(아이오아이)
18/03/20 10:24
수정 아이콘
서울 집을 자기 번 돈으로만 살 수 있으면 소시민 아닙니다. 당연히 대출 끼고 사야죠

아니 왠만큼 중산층이라고 불리는 사람도 서울에 대출 안 끼고 집 살 수 없을 껄요
사신군
18/03/20 10:25
수정 아이콘
220이면 연봉 3천 정도 이것도 대한민국 중위값으로는 평균이상이라고 하더라고요.
아래를 보면 나보다 힘든 사람이 넘치는데
위를 보면 나보다 더 나은 사람도 넘치고..
살기참 빡빡합니다.
오버액션토끼
18/03/20 12:59
수정 아이콘
정말인가요 허허..
사신군
18/03/20 13:33
수정 아이콘
뭐가 정말인지 잘모르지만 연봉내용이라면.. 더 자세한 기사가 있었는데 검색이 안되서 평균 연봉은 3300만원 중위값은 2600만원 정도네요. 중위값은 딱 가운데 분포한 사람들 값이니 현실값이 가깝다고 들었습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92&aid=0002133246
김철(33세,무적)
18/03/20 10:27
수정 아이콘
저보다 월급이 많으시니...다행입니다!!!! 아직 외벌이인데 정말 빠듯하게 살아갑니다.
애가 둘이라...둘째가 좀 크고나면 맞벌이 해야죠 흐흐. 아내도 육아가 질려서 일하고 싶어하기도 하고...
저는 육아하고 싶네요 크헝
감전주의
18/03/20 10:36
수정 아이콘
부모님께서 수입이 있으시다면 양해를 구하시고 보험은 빼세요. 없으시면 어쩔 수 없을 듯
본인 보험은 실비보험정도만 필요하겠네요. 나중에 결혼을 하면 그 때 급여에 맞게 가입하세요.
다른 분들도 말씀하시지만 집은 대출 껴야죠.
OctoberRain
18/03/20 10:42
수정 아이콘
집은 대출로, 결혼해서 맞벌이하시면 의외로 지금보다 넉넉해지실 수 있습니다. 단순 200씩 번다고 가정하면 400이 되는 거니까요. 근데 애 낳는 순간 바로 마이너스가 되니까..
홍승식
18/03/20 10:49
수정 아이콘
집, 결혼, 육아를 포기하면 편합니다.
노후준비나 하면서 사는 거죠 모
방향성
18/03/20 10:52
수정 아이콘
결혼할때 집을 사는 사람은 별로 없어요. 매년 1500씩 저축할 수 있으면 생각보다 돈이 빨리 모입니다.
18/03/20 11:02
수정 아이콘
20여년 전에 저도 그런 생각을 했었는데
시간이 지나고 보면 그래도 악착같이 모으는게 맞았던거 같다...라는 생각도 들어요
화이팅 하시고 모든 일 잘 되시길 기원합니다 ^^
18/03/20 11:08
수정 아이콘
27살 월수령 220이면 ... 그닥 나쁜 조건 아닌데요?
저는 27살에 학자금대출500 갚을거 말고 암것도 없었는데..
지금 상황이 20년간 계속 지속될 거라고 생각하시면 오산입니다. 전 글쓴분 10년 후 모습인데 그간 천지개벽으로 바뀌었어요. 사람 일 몰라요.
긍정적인 마인드로 자기계발 지속하세요. 경력 쌓이고 그 동안 본인이 준비되어있으면 기회는 얼마든지 옵니다.
집은 중요하고 차는 없어도 됩니다. 저는 결혼 5년차에 애가 3살인데 아직도 차가 없습니다. ㅠ
절름발이이리
18/03/20 11:14
수정 아이콘
사실 돈을 더 벌어도 소비 크게 안하고 사는 것 같은데 돈 안 모이죠. 결국 재테크를 하는 수 밖에..
급진개화파
18/03/20 11:23
수정 아이콘
어느나라든 집은 대부분 대출로 삽니다...
이쥴레이
18/03/20 11:31
수정 아이콘
결혼하고 애도 있는데 집은 대출껴 있는 전세이고, 잔고는 0원에서 왔다갔다하니 참 힘드네요.
하루먹고 사는거 같은..

장사하는 와이프가 나몰래 모은 비상금이 많이 있겠지 하면서.. 그냥 행복회로 돌리고 있습니다.
결혼전에는 1년 2천은 그냥 모을수 있을거 같았는데.... 지금 200 모으기도 힘드네요. 하하..
18/03/20 11:38
수정 아이콘
부동산이 참 제일 문제죠. 지금 엄청 많이 올랐는데 여기서 떨어진다? 그럼 대출 끼고 산사람들은 몇년을 다시 후퇴하는지 모릅니다. 반대로 계속 쭉쭉 오른다? 부자 말고는 집 사지 말란 소리죠. 안봐도 평균 임금이 오를 생각이 없는데..
현재도 미치긴 했는데 부동산이 저는 더 오를지 여부가 참 궁금합니다. 거품으로 같이 올랐다가 애매한 지방 위성 도시부터 슬슬 아작 나고 어디까지 올라갈지...
Syncnavy
18/03/20 12:18
수정 아이콘
고정지출이 크던 씀씀이가 크던 나가는 돈을 줄이는게 어렵다면 결국은 소득을 늘리는 방법밖에 없더군요. 말이쉽지 소득을 어떻게 늘리냐!고 한다면 할말은 없지만..직장생활을 하시면서 부업이나 다른 돈벌 기회를 항상 기웃거리시면 언젠가 좋은 기회가 올지도 모릅니다. 무엇보다 아직 젊으시잖아요!!
긴 하루의 끝에서
18/03/20 12:50
수정 아이콘
그냥 여타 선진국처럼 살아가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집 문제는 평생 월세로 살든가 아니면 주택 담보로 대출해서 집 구매한 후 평생 갚아나가는 식이 될 테죠. 이것이 소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테고, 생활을 이어나가려면 남은 돈은 어쩔 수 없이 저축보다는 소비하는 데 거의 쓰이겠네요. 그 와중에 허리띠 졸라매서 자녀들 교육자금 마련 정도 하고, 그나마 소득이 괜찮다 싶으면 여가 생활도 좀 누릴 수 있겠죠. 대체적으로 노후 자금 마련이 쉽지 않을 테니 우선 노후 관련 정부의 복지 강화가 어느 정도 필요할 것이고, 개별적으로 노후 대비를 할 수 있는 금융 상품 개발도 많이 있을 겁니다. 애초에 저축할 여력이 적어 과거처럼 자산을 안전하게 불리는 것은 쉽지 않을 테니 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부담하며 자산을 늘리려는 사람들이 점차 많아질 테고 이에 따라 금융 시장도 점점 활성화 되겠네요. 나쁘게 보면 하루 벌어 하루 먹는 하루살이 인생, 불안한 삶이라 할 수도 있겠으나 호황기 대비 상대적으로 그렇게 보일 뿐이지 굳이 나쁘게만 보며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Cafe_Seokguram
18/03/20 15:51
수정 아이콘
소시민은 집(전세든, 매매든) 당연히 은행 대출 껴야 합니다. 자기 돈(혹은 부모님 돈)으로 전세금 혹은 매매자금 전액을 마련할 수 있는 사람 거의 없어요.

같은 이유로 차도 결혼 혹은 연애 시 꼭 필요할 때, 할부로 사는 겁니다. 일시불로 사는 사람 많지 않아요.
강미나
18/03/20 22:29
수정 아이콘
부모세대도 자기 돈 모아서 집산 거 아닙니다. 단칸방으로 시작해서 25년 30년 대출끼고 산거죠.
사실 부모세대처럼 살 수 있다면 지금도 누구나 서울 외곽 집 한 칸은 마련할 수 있죠. 어차피 강남은 부모세대도 못들어간 곳이고요.
나막신
18/03/22 12:53
수정 아이콘
30대인데 200못버니 이미 차랑 집은 포기했습니다 흑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284 [일반] 나의 피지알, 나의 개인화 [80] YORDLE ONE9250 18/06/14 9250 5
77270 [일반] 소시민이 북미회담 질의응답을 듣고 느낀점. [105] 딴딴15458 18/06/12 15458 6
77262 [일반] 2018 모터쇼 후기 외제편 (데이터,스압) [9] 소시8149 18/06/12 8149 6
77260 [일반] 2018 모터쇼 후기 국내편 (데이터,스압) [5] 소시6787 18/06/12 6787 0
77248 [일반] 2018 모터쇼 후기 (데이터,스압) [24] 소시10523 18/06/11 10523 22
76827 [일반] 최근에 들린 맛집들(부제 '님아 거기로 가면 난 어쩌리오' / 데이터주의) [17] 치열하게8847 18/04/30 8847 11
76216 [일반] 소시민으로 살아가기란 [25] 난될거다9752 18/03/20 9752 4
76084 [일반] 미스터리 소설을 읽다 말고 싸우는 친구들에게 [12] VrynsProgidy7034 18/03/10 7034 13
75972 [일반] 인간은 잘 모르는것에 두려움을 느낀다. [45] 수지느12310 18/03/01 12310 25
75938 [일반] 눈물바다가 된 단일팀 해단식(펌) [31] 틀림과 다름13837 18/02/26 13837 4
75892 [일반] 대학교에서 만난 그녀 上 (소설 주의) [23] 위버멘쉬8802 18/02/21 8802 18
75887 [일반] 대충대충 쓰는 오키나와 여행기 (6 끝) [23] 글곰7422 18/02/21 7422 15
75780 [일반] 네타/헌터x헌터 요즘 연재분 감상 [35] hk11618425 18/02/10 8425 0
75708 [일반] 2017 모터쇼 뒤늦은 후기 2편 (데이터,초스압) [9] 소시11231 18/02/04 11231 43
75704 [일반] 2017 모터쇼 뒤늦은 후기 1편 (데이터,스압) [21] 소시9741 18/02/04 9741 5
75660 [일반] 서지현 검사의 수기를 보고.... [28] 무가당10182 18/01/31 10182 20
75496 [일반] 그래도 믿고 지지합니다. [112] 세인트12625 18/01/19 12625 39
75326 [일반] 당뇨 확진, 그 후 1개월 [60] Song110731 18/01/08 10731 8
75165 [일반] [스포포함] 1987을 보고.. (추가) [54] kaerans8982 17/12/27 8982 13
75087 [일반] 스물아홉 살에 세계일주 다녀온 이야기(하) - 스압/데이터 [60] 살려야한다10643 17/12/21 10643 39
75072 [일반] [뉴스 모음] 자기 뒤틀리는 대로 쓰는 대한민국 언론 [31] The xian12011 17/12/21 12011 55
75011 [일반] [감상] MBC 스페셜 - 내 친구 MBC의 고백 [31] The xian9958 17/12/16 9958 29
74706 [일반] (시와 시) 절정,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9] 글곰6587 17/11/23 6587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