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8/09 17:38:59
Name 모모스2013
Subject [일반] 유전자조작식물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전에 썼다가 지웠던 내용입니다. 조금 보충하면서 다시 올립니다.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즉 유전자조작식물을 만드는 기술은 아래와 같이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Agrobacterium method
첫번째는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이용한 기술로 원하는 유전자를 가진 DNA조각을 plasmid를 이용해서 식물의 유전자에 끼워넣는 기술입니다.  일부 담배, 페튜니아, 목화 등에 이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다만 모든 식물에는 적용되지 않고 특히 옥수수, 밀, 벼와 같은 주요작물에는 잘 안통합니다.


Particle gun method
다른 하나는 원하는 유전자를 가진 DNA조각을 금이나 텅스텐 총알에 붙여 세포속으로 발사하는 유전자총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목적을 가지고 설계를 해가는 방식은 아니지만 수없이 많은 시도를 해서 우연히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라는 방법입니다.



(실제 신약개발에서도 목적을 가지고 약물을 설계하기 보단 빠르게 효과나 부작용을 스크리닝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내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수많은 물질을 무작위적으로 적용해 Lead compound를 찾아내고 이를 Modify하는 방법으로 신약을 개발합니다. 우리 생명체의 진화 방법인 돌연변이와 자연선택도 이와 비슷하지 않나 합니다.)

대부분의 GMO식물은 이 두번째 방법으로 탄생했습니다.
썩지않은 토마토, 벌레에 저항성있는 목화, 감자, 옥수수 등이 이렇게 탄생합니다.
섬세한 설계에 의한 것이 아니지만 나름대로 다양한 검증절차를 걸쳐 새로운 품종으로 탄생하게 됩니다.

이런 GMO 유전자조작은 우리 선조들이 했던 필요한 형질을 얻기 위해 원하는 돌연변이 선택하고 재배를 반복하여 품종개량을 했던 유전조작과는 조금 다른 방법입니다. ( 쌀, 보리, 밀 이야기, 자화수분-자웅동주식물 https://pgr21.com/?b=8&n=65012)

GMO 유전자조작식물은 일종의 교통영향평가를 받지 않고 건물을 세운 거랄까? 자연생태계에 어떤 영향를 미칠지는 미지수인거죠.


일례로 Bt 독소 GMO식물이 있습니다.


Bacillus thuringiensis (Bt) 라는 세균은 Bt독소를 분비해서 곤충의 위장을 공격해서 곤충의 파괴된 세포에서 빠져나오는 양분을 먹고 산다고 합니다. 먼저 스프레이식 Bt독소 살충제가 개발되었죠. 그 후 유전자조작식물로 Bt독소유전자를 함유한 식물을 개발해내었습니다. 대다수 동물들의 위장은 산성인 반면 곤충의 유충은 염기성인데 Bt독소는 염기성에서 활성을 띠고 산성에서는 분해된다고 합니다. 또 스프레이식 Bt독소 살충제와 달리 Bt독소의 유전자를 식물유전자에 넣으면 그 식물 모든 세포가 그 독소를 가지고 있고 잎이나 줄기 뿐만 아니라 뿌리나 식물의 안쪽까지 먹는 해충들까지 박멸할 수 있어 기대를 받았습니다. 현재 Bt 옥수수, Bt 감자, Bt 목화, Bt 콩 등의 Bt독소 유전자가 삽입된 다양한 유전자조작 작물들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인도에서 수만 마리의 양과 염소들이 Bt목화의 잎을 먹고 죽었습니다. 다른 나라와 달리 인도에서는 목화수확하고 남은 목화의 잎들을 양들에게 먹였습니다. 일반 목화밭에서 방목한 염소들은 무사한 반면 Bt목화밭에서 방목한 양과 염소만 일부 죽게 됩니다. 보통 일반 스프레이식 Bt독소 살충제와 달리 유전자 조작 Bt 목화의 경우 식물 전체에 Bt독소를 함유하고 있는 Bt목화를 반복적으로 먹은 양들이 Bt독소가 고농도로 축적되어 결국 양들을 죽게 된거죠. 농축된 Bt독소가 장내세균을 변이시켜 장내에서 지속적으로 Bt독소를 활성화 된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기존 유전자에 들어갈 정도로 이동성이 큰 Bt독소유전자가 다시 나와서 다른 세포에 들어가는 것 또한 쉽지 않을까요? 서로 다른 종간의 유전자교환이 특히 미생물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자주 그리고 광범위하게 일어난다는 증거입니다. 이것이 GMO식물이 위험한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또 아벤티스가 만든 Bt옥수수품종인 스타링크의 Bt단백질은 사람의 위장에서 분해되지 않음을 나중에 알게 됩니다. 즉 스타링크옥수수를 먹으면 심한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고 심하면 죽을 수도 있습니다. 이미 농민들이 스타링크옥수수와 그냥 옥수수를 같이 재배하기 시작하였으며 이 둘은 필연적으로 섞일 수 밖에 없었고 재앙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결국 1억달러의 비용을 들여 스타링크옥수수종자를 회수하고 오염이 의심되는 옥수수는 전부 식용으로 금지가 되었습니다. 이렇듯 GMO식물은 잘못 되었을 때 회수도 어렵고 영원히 그 생태계에 자리잡아 인간에게 큰 피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GMO식물은 검증이 제대로 되지 않고 무분별하게 뿌려졌을 때 위험성이 큽니다. 이미 수많은 식물들에게 스타링크의 Bt단백질 유전자가 전해졌을지도 모릅니다.


유전자조작기술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영양결핍에 시달리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어줄 수도 있습니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지역에 사는 저개발국에서 비타민 A 결핍은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됩니다. 1억2400만의 아이들이 심각한 비타민 A 결핍에 시달리며 매년 50만명의 아이들이 눈이 멀고 죽어간다고 합니다. 이에 벼에 베타카로틴을 생산하는 유전자를 집어 넣은 황금벼를 개발하여 저개발국에 배포하려고 시도 중입니다. 다만 베타카로틴은 지방과 함께 먹어야 흡수가 잘 되므로 이 황금벼만으로는 그 효용성이 있을지 의문인 상태입니다. 영양실조를 보이는 저개발국의 사람들이 지방성분을 가진 음식을 충분히 흡수하긴 힘드니까요.

대두를 주식으로 하는 사람에게 메티오닌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메티오닌을 생산하는 브라질땅콩의 유전자를 집어넣어 유전자조작 대두를 개발하여 시장에 내놓습니다. 그러나 브라질땅콩에 심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이 새로운 유전자조작 대두에도 알레르기를 보여 결국 시장에서 철수하게 됩니다. 이 경우는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합니다. 단지 선진국 사람 수십명이정도가 알레르기로 사망할 수 있는 것을 막았다손치더라도 영양결핍에 시달리는 수십만명을 구할 수 있는 기회 또한 막아버린거니까요.

전에 쓴 글에 "GMO에 대해서 필요한 것은 '공포'나 '거부'라기 보다는 지속적인 관심과 규제 요구를 통한 정치적 견제라고 생각됩니다." 라고 댓글 달아주셨습니다.

전적으로 이 말에 동의합니다.


P.S.
좀 다른 이야기지만 몬산토라는 회사는 특히 이런 쪽에서 이윤 추구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비윤리적인 일을 많이 했습니다.

몬산토회사는 자신들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Bt종자의 식물을 농민들이 심고 나서 얻은 종자들 다시 심지 못하게 하고 새로 구매하거나 특허권으로 협박하여 사용료를 지불하도록 하는 기술협약을 맺자고 농민들을 위협합니다. 농민들의 엄청난 불만과 저주를 받게 됩니다. 전통적으로 수천년동안 농민들은 종자를 한번 얻으면 그걸로 수확을 하고 수확한 종자를 다시 재배를 하는 걸 반복해 왔으니 몬산토의 협박은 정말 어이가 없었을 겁니다. 이 방법이 잘 안통하자 몬산토는 유전자조작을 하여 1세대의 종자를 심으면 잘 자라나 그 작물에 맺힌 2세대 씨는 발아가 되지 않는 기술을 적용하기에 이릅니다. 일명 터미네이터기술이라고 불리우는 유전자조작을 하기 시작합니다. 반생산적이고 모순적인 일을 하고 있는거죠. 특히 가난한 제 3세계 사람들에게는 절망적인 일이었습니다.

또 몬산토회사의 "Roundup Ready" GMO도 만듭니다. Roundup은 모든 식물을 죽이는 강력한 제초제인데 몬산토에서 이 제조체에 저항성을 띠는 "Roundup Ready" GMO를 유전자조작으로 만든 거죠. 자연에 대한 조작과 농약 사용의 장려 그로 인한 돈벌이...라운드업 저항성 식물은 제초제의 사용을 장려하고 잡초에 제초제 저항성을 길러주는 등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이 부도덕한 회사는 터미네이터유전자와 특허권으로 전세계종자시장을 장악하려 했습니다. 또 잡초를 죽이기 위해 라운드업이라는 농약을 수없이 살포하게 만들고 또 농민들은 그에 예속되게 Roundup Ready 종자를 사게 만드는 극도로 이윤만 추구하는 대표적 악덕기업이 됩니다.


똥, 설사 이야기 https://pgr21.com/?b=8&n=66727
도핑테스트와 질량분석기 https://pgr21.com/?b=8&n=66674
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는가? - 재레드 다이아몬드 https://pgr21.com/?b=8&n=66511
보스턴홍차사건 (Boston Tea Party) https://pgr21.com/?b=8&n=66148
천연두 바이러스 https://pgr21.com/?b=8&n=65754
불멸의 세포 - 우리는 영생할 수 있을까? https://pgr21.com/?b=8&n=65724
음주에 대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https://pgr21.com/?b=8&n=65690
쓰레기 유전자 (Noncoding DNA) 와 유전자 감식 https://pgr21.com/?b=8&n=65679
기생충에 대한 또다른 인간의 방어법 IgE https://pgr21.com/?b=8&n=65672
X염색체 - 인간의 기본형은 여성? https://pgr21.com/?b=8&n=65668
포유동물의 각인 - 애들은 엄마, 아빠 누구 머리를 닮나? https://pgr21.com/?b=8&n=65648
밑에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 with TED talk 설명글 https://pgr21.com/?b=8&n=65646
흑인 최초 근대 독립국 아이티 https://pgr21.com/?b=8&n=65470
절해의 고도 - 이스터섬 https://pgr21.com/?b=8&n=65421
보톡스 (Botox) https://pgr21.com/?b=8&n=65392
지구에 복잡한 생명체가 살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요소들 https://pgr21.com/?b=8&n=65336
외계로부터의 생명 전달 https://pgr21.com/?b=8&n=65333
조현병,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에 사용되는 약물 https://pgr21.com/?b=8&n=65307
생명체의 과밀화로 인한 폭력성 https://pgr21.com/?b=8&n=65295
항생제와 항생제 내성 https://pgr21.com/?b=8&n=65264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독 - 황금독화살개구리 https://pgr21.com/?b=8&n=65242
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https://pgr21.com/?b=8&n=65221
암살자 리신 https://pgr21.com/?b=8&n=65201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생물들, 동물들의 신비한 능력 https://pgr21.com/?b=8&n=65189
섹스의 진화 - 인간의 배란신호와 일부일처제 https://pgr21.com/?b=8&n=65128
보쌈, 면사포, 결혼반지 https://pgr21.com/?b=8&n=65080
배틀크루저와 자연선택 https://pgr21.com/?b=8&n=65055
가축화된 포유류는 어떤게 있나? https://pgr21.com/?b=8&n=65034
쌀, 보리, 밀 이야기 (자화수분-자웅동주식물) https://pgr21.com/?b=8&n=65012
코카인과 코카콜라 https://pgr21.com/?b=8&n=64989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와 인류의 여정  https://pgr21.com/?b=8&n=64967
콜레라와 Cholera toxin 이야기 (설사하면 왜 죽을 먹어야하나?) https://pgr21.com/?b=8&n=64943
커피 이야기 - Caffeine https://pgr21.com/?b=8&n=64908
소주 이야기 https://pgr21.com/?b=8&n=64887
진료비통계지표 - 국민건강보험 (보험진료 통계) https://pgr21.com/?b=8&n=64863
비아그라와 시알리스 이야기 https://pgr21.com/?b=8&n=64842
육두구 이야기 https://pgr21.com/?b=8&n=64818
기생충 이야기 https://pgr21.com/?b=8&n=64765
지헬슈니트 (낫질) 작전 - 1940년 독일-프랑스 전투 https://pgr21.com/?b=8&n=64736
타이레놀과 울트라셋 이야기 https://pgr21.com/?b=8&n=64724
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https://pgr21.com/?b=8&n=64700
정자왕 침팬지 https://pgr21.com/?b=8&n=64675
각국의 의료보험 https://pgr21.com/?b=8&n=64650
판피린 3형제 이야기 https://pgr21.com/?b=8&n=64605
게보린 3형제 이야기 https://pgr21.com/?b=8&n=64581
이부프로펜, Cyclooxygenase, 아스피린 이야기 https://pgr21.com/?b=8&n=64555
적록색맹과 비타민씨 이야기 https://pgr21.com/?b=8&n=6451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핑키밍키
16/08/09 17:56
수정 아이콘
바로바로 글은 읽지 못하고 있지만 언젠가 날 잡아서 남겨주신 글들 싹 정독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6/08/09 19:37
수정 아이콘
몬산토는 욕 좀 아니, 엄청 많이 들어 먹어야 합니다.
제초제도 처음에는 아프리카지역의 농부들에게 가장 큰 적인 갈퀴풀과 정말 억센 잡초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했었지만, 이게 돈벌이랑 연계되면서 욕 들어먹기 시작하고, 설상가상으로 거기 저항성을 띈 잡초들도 생겨나서.. 다시 헬게이트가..
Tyler Durden
16/08/09 19:42
수정 아이콘
옥수수 통조림이나 두부같은 식품은 GMO로 만든 식물인가요?
우리나라 농작물이나 수입돼서 유통되는 식품에서도 GMO 식물이 여럿있는지 궁금하네요.
좋으쪽으로 개발되면 참 좋을듯 싶은데, 부작용이 우려되긴 하네요.
다크템플러
16/08/09 19:51
수정 아이콘
GMO는 규제를 통해 자리잡아가야할 방향이라 생각하지만, 몬산토 얘네들은 진짜... 알면 알수록 더럽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거대기업의 부정적 측면을 보여주는 사례를 꼽는다면 주저없이 몬산토를 꼽겠습니다.
알리타
16/08/09 19:58
수정 아이콘
GMO가 딱히 과학적으로 검증된 결점이 없는데에 비해서 많은 견제를 받고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미 셰계 전체의 식업에 침투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말도 없던 사람들이 갑자기 반대하기 시작해서 발전이 늦어지고 있는거 같아요. 그 이유에는 몬산토의 이윤만 찾는 정책과 정부와의 뒷거래가 있기에 권력에 반발하는 마음도 섞여있는거 같습니다. 기술자체는 가능성이 있는데 그 기술을 쥐고 있는 회사중 하나가 너무 악덕이라 기술전체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생겨서 많이 아쉽습니다.

인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유전자조작식물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인공배양고기까지 멀지 않은 미래에 필수가 될것이라 믿고있습니다. 육류섭취증가에 인한 환경파괴와 현대식단의 영양 불균형까지 식품에서 오는 문제들이 굉장히 많은데 유전자조작과 인공배양외에는 답이 안보이는게 현실입니다. 인류는 생선과 고기를 줄일바에는 과학의 힘으로 만들어낸 음식을 먹을 종족이란걸 역사가 보여주고 있구요.
노르트롬
16/08/09 21:39
수정 아이콘
딱히 과학적으로 검증된 결점이 없는데 많은 견제를 받고 있다는 것은 공감합니다.
하지만 이게 멀지 않은 미래에 필수가 될지는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현재 인구에 비해 지구 전체에서 생산하는 고기나 곡물이 모자라지는 않아 보이고, 인구가 훨씬 더 많아진다면 식량 문제뿐만이 아니라 자원 등의 다른 문제가 나타날 테니 우주로 진출하는 등의 더 높은 수준의 해결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노르트롬
16/08/09 21:33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글에서 의문점이 있어 댓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1. Bt독소가 염기성에서 활성을 띠고 산성에서는 분해된다고 하셨는데, Bt목화밭에서 방목한 양과 염소가 죽은 이유가 독소의 고농도 축적 때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동물의 위장은 일반적으로 산성이고 양과 염소 역시 마찬가지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축적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야 정상 아닌가요? 또한 독소는 그냥 축적된다고 작용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receptor가 있어 반응이 이루어져야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 receptor는 굉장히 특이적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작용하지 않습니다. Bt독소는 곤충의 장 내 receptor에 반응하게 되는데, 이 receptor는 곤충의 종마다 약간씩 달라지게 됩니다. 즉, 단순히 곤충이라고 다 죽이는 것이 아니라 특정 종에만 해당하여 Bt독소가 작용하게 되는 건데, 하물며 더 높은 가지에서 분화한 동식물에 작용이 가능한 것인지 의문입니다.

2. '기존 유전자에 들어갈 정도로 이동성이 큰 Bt독소유전자'라고 하셨는데, Bt독소유전자가 알아서 움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이 인위적으로 옮겨 준 것 아닌가요? 인간이 넣어줄 때는 자연에서보다 쉽게 들어갈 수 있지만, 인간의 개입 없이 다시 나와서 다른 세포에 들어가는 것이 쉽다고 말할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3. Bt독소가 장내세균을 변이시켜 장내세균이 Bt독소를 만들어낸다고 말씀하시는 게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Bt독소는 유전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Bt독소가 유전자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만약 준다면 장내세균이 잘 모르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Bt독소에 죽을 것을 가정한다면, 저항성을 가진 세균으로 나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로 다른 종간의 유전자교환이 미생물에서 자주 일어나는 것은 맞지만, Bt독소 유전자를 가지는 세균과 장내세균과의 교환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4. 스타링크의 Bt단백질이 사람의 위장에서 분해되지 않는데, 그것이 즉 알레르기를 일으키고 죽음으로 연결되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위장에서 분해되지 않는 것, 즉 소화효소가 없는 것이 알레르기하고 어떤 연관이 있는지요?

5. 이건 정말 몰라서 묻는 건데, 2세대 씨가 발아가 되지 않는 기술을 적용시킨건가요? 일반적으로 회사가 파는 품종은 잡종을 팔게 되는데, 잡종강세가 이루어진 품종이기 때문에 그 다음 세대에서는 원하는 특성이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기술을 적용시키지 않아도 종자를 쓸 가치가 없는데, 적용시킨건지 궁금합니다.
BakkyFan
16/08/09 22:18
수정 아이콘
전혀 잘 모르는 제 3자인데
댓글 내용이 질문이 아닌거 같습니다만...

내용이 틀렸지만 반박의 반박이 무서우니
증명은 니가해 류의 질문을 가장한
댓글은 아닌지요?
노르트롬
16/08/09 23:17
수정 아이콘
질문을 가장해 반박하는 댓글이냐는 말씀이시라면, 일단 그런 의도로 작성한 것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글에서 이러이러하게 적힌 부분이 있는데 제가 알고 있는 것은 이러니 여기 적힌 내용이 맞는지 궁금하다는 거죠.
댓글을 작성하기 전에 내용을 찾아보지 않은 것은 아닌데, 혹시라도 제가 잘못 알고 있거나 모르는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그런 의도로 쓴 건 아닌데, 그렇게 읽힐 정도로 공격적이었나요;;
혹시라도 작성자분이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조금 부드러운 말투를 쓰도록 노력할게요.
FreeAsWind
16/08/11 20:04
수정 아이콘
저도 읽고 같은 의문이 들었습니다. 전혀 공격적인 댓글이라 생각되지 않아요.
Bt 독소가 포유류에게 유해하다는 유의미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모모스2013
16/08/15 22:55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BT독소만 섭취하는 게 아니라 BT독소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함유한 식물 세포를 양이나 염소 수천만마리가 반복해서 대량으로 섭취하면 문제가 발생해서 양들과 염소가 죽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이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특히 초식동물들은 거친 섬유질 식물세포들을 장내미생물들로 발효라는 과정이 오랜시간동안 장내에서 일어나므로 인간보다 더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두나미스
16/08/10 22:19
수정 아이콘
노르트름님이 제시한 질문은 매우 적절하다고 봅니다.
모모스2013님께서 어디에서 이 자료를 가지고 오셨는지 모르지만, 아직 증명되지 않은 내용이, 마치 사실인양 써 놓은 부분들이 몇 군데 있습니다.
예를 들어, "또 아벤티스가 만든 Bt옥수수품종인 스타링크의 Bt단백질은 사람의 위장에서 분해되지 않음을 나중에 알게 됩니다. 즉 스타링크옥수수를 먹으면 심한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고 심하면 죽을 수도 있습니다."

노르트름님께서 질문하신 것처럼, 위장에서 분해되지 않음과 알레르기와의 연관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스타링크 옥수수수를 먹고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실제로 알레르기 반응이랑 상관이 없었고, 알레르기 반응이 실제로 일어난 사람들 중에 단 한명도 스타링크의 Bt 단백질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물론 여전히 다른 이유로 스타링크 옥수수가 실제로 특정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는 있겠지만,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모모스2013
16/08/15 22:58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아벤티스의 스타링크 옥수수를 그렇게 많은 돈을 들여 회수할 필요는 없었을 것 같네요. 제한된 사람이 먹는 약도 이런 문제가 생기면 자진 철수하는데 더 광범위하게 먹는 음식에서 이런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만으로도 자진철수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일반적인 BT 독소는 위에서 산에 의해 분해되니까 장으로 가지 않았는데 스타링크의 BT독소는 분해되지 않으니 장으로 가게 되고 이에 일부사람들에게 알러지를 일으키거나 위험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크론병같은 것 무서운 것 아시죠?
노르트롬
16/08/16 11:39
수정 아이콘
지적 받고 다시 보니, 제가 공격적으로 들릴 표현을 썼던 곳이 있었네요. 그 점을 말씀해주신 것 같은데 지적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조금 더 다른 사람을 생각하면서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모스2013
16/08/15 22:53
수정 아이콘
1. 독소자체만 먹은 것이 아니라 독소를 생산하는 DNA를 함유한 식물세포를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섭취해 일어난 것으로 의심되며 실제 수천만마리의 양중에서 모든 양이나 염소에서 일어나지 않는 걸 보면 변이될 확률은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 수가 많다면 변이는 충분이 일어날 거라 봅니다. 이걸 무시한다면 진화자체를 무시하는 거라 생각됩니다.
2. 기존유전자에 인간이 개입해서 넣기보다 DNA조각을 유전자총을 이용해서 넣은거고 기존 DNA에 임의로 들어간거라 가장 쉽게 끼어들 수 있는 곳으로 들어가서 아마도 가장 쉽게 나올 수 있을거라 예상해 볼 수 있겠네요. 특히 포유동물에 장에 존재하는 대장균은 유전자 재조합이 자주 일어납니다.
3. 다시 말씀드리지만 독소자체만 먹을 것이 아니라 독소를 생산하는 DNA를 함유한 식물세포를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섭취해 일어난 것으로 의심됩니다.
4. 위에서 산에 의해 분해되니까 장으로 가지 않았는데 분해되지 않으니 장으로 가게되고 이에 일부사람들에게 알러지를 일으키거나 위험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크론병같은 것 무서운 것 아시죠?
5.종자가 2세대 잡종으로 만들어지는 것도 있고 터미네이터기술로 2세대 발아 안되는 것도 있습니다. 실제 2세대 잡종같은 경우 과거의 기술로 지금도 많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주로 서로 다른 종을 인간이 인위적으로 수분시켜 생산하는 종자가 있어서 미국 유학생들이 많이 알바하는 것으로 압니다.
말씀하는 자세가 너무 맘에 안들어서 답변 안달려고 하다가 늦게나마 달아봅니다. 당시 기분이 매우매우 나빴습니다.
노르트롬
16/08/16 06:55
수정 아이콘
1. Bt독소뿐만 아니라 독소를 생산하는 세포까지 먹었기에 그 문제가 일어났다고 말씀하셨는데, 어떤 점이 다른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식물 세포가 어떤 DNA를 가지고 있건 소화 과정에서 분자화학적으로 기본 단위, 그러니까 아미노산이나 핵산과 같이 작게 분해되어 흡수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이 단계부터 Bt목화를 먹어 생기는 문제가 거의 없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DNA가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양이 세균과 같이 단순한 생물이라면 모르겠는데, 그렇지 않아 단순히 GMO작물을 먹었다고 GMO작물DNA에 영향을 받을 정도로 간단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외부에서 DNA가 들어오게 되면 그 DNA를 자기 것이 아니라고 인식하고 제거하는 메커니즘은 어느 생명체나 다 가지고 있습니다. 무슨 변이를 말씀하고자 하신 건지 모르겠으나 그 변이가 독소 또는 식물 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며, 그걸 무시한다고 해서 진화를 무시하는 것 역시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 기존 DNA에 임의로 들어간다고 하셨는데, 이게 가장 쉽게 끼어들 수 있는 곳으로 들어간다는 근거가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임의로 일어나는 것인데 이게 끼어들기 쉬운 부분에 일어나는 것이라면 일종의 방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인데, 그러면 임의로, 즉 무작위로 일어나는 변화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쉽게 끼어들었다고 해서 쉽게 나올 수 있다는 것은 넣어 준 유전자가 일종의 transposon과 같은 genome 내에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지 Bt독소와는 약간 다른 얘기이지 않나요?
3. 식물 세포에서 박테리아로 DNA가 넘어가는 것이 쉬울 것 같지 않은 것이, 진핵생물과 원핵생물간의 교환이라 가능성이 매우 희박할 것이라는 것은 제외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Bt독소는 목화에 맞게 optimization되었을 것인데, 이 유전자가 세균 내에서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굳이 포유동물의 장에 한정하지 않더라도 대장균 자체가 유전자 재조합이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나는데, 그럼 Bt독소 유전자가 대장균 내에서 계속 남아있어야 할 이유 역시 없지 않을까요? 대장균이 Bt독소를 만들어내는 것은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 에너지를 통해서 대장균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거의 없습니다. Bt독소는 양분을 분해하거나 다른 대장균보다 더 경쟁적으로 우위에 있게 해 주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장균은 자기에게 필요 없는 유전자인 Bt독소 유전자를 제외시키는 게 더 적합한 추론이지 않나 싶습니다.
4. 사실 아직도 잘 모르겠는데.. 위에서 산으로 분해되지 않고 장으로 갔는데 왜 알러지 문제가 일어나는 건가요? 알러지는 일종의 자가면역 반응인데, 자가면역이라고 하는 건 자기 몸에 있는 것들을 공격해야 할 요소로 잘못 판단하는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크론병을 들은 것이 처음이기는 한데, 찾아 보니 이것도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이라고 합니다. 이게 위에서 분해되지 않아 장으로 내려간 Bt독소랑 무슨 연관이 있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Bt독소가 자가면역이랑 무슨 연결고리가 있는 건가요?

우선 피드백 감사합니다. 위에서 말한 대로, 글에서 꼬투리를 잡으려는 게 아니라 제가 봤을 때 약간 다르거나 잘못된 것 같은 부분이 있어 의문을 제기한 것이었는데, 다르게 읽힐 수 있었던 것 같네요. 말씀드렸던 게 불쾌하셨다면 죄송합니다. 혹시 어떤 점이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모모스2013
16/08/16 08:51
수정 아이콘
본문에 대한 내용은 양과 염소가 죽은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기술이므로 추가 연구를 해서 증명하지 않은 한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없고 제가 틀릴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더 이상 기술하거나 디펜스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우선 가장 기분이 나빴던 문장은 "5. 이건 정말 몰라서 묻는 건데," 인데

이는 문장의 단어 하나하나만 보면 별 문제 없으나 전체 맥락에서 보면 크게 2가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첫번째 그 전 1~4번 질문은 내가 잘 아는 건데 니가 틀리게 말해서 시험해볼라고 질문했고 5번만 좀 아리까리해서 질문하는 거다.
두번째 어디서 근본도 없고 듣보잡 내용을 가지고 와서 썰을 푸냐? 내가 너보다 더 많이 아는데 내가 아는 상식에는 이런 내용은 없다.

로 해석 가능합니다. 실제 학회에서 재수없는 사람들이 "관용어구"처럼 쓰기도 하구요.

특히 제가 석박사과정 때 지도교수님이 "석1" 들 발표할 때 자주 쓰던 관용어구라서 더더욱 기분이 나빴습니다.

노르트롬님도 이와 같은 형태의 질문을 받으시면 기분 나쁘실거에요.
노르트롬
16/08/16 10:56
수정 아이콘
그랬군요;; 저는 제가 전혀 그 분야에 대해서 모른다는 의미로 사용했는데, 말씀해주신 내용을 듣고 보니 충분히 기분 나쁠 내용이네요. 제 잘못입니다. 그런 의도로 쓴 건 아니니 마음 푸셨으면 합니다. 앞으로 표현 시 더욱 주의하도록 할게요.
16/08/10 03:13
수정 아이콘
GMO에 긍정적이었다가 몬산토가 한짓을 많이 듣고 회의적으로 바뀌었습니다.
세계 식량 문제가 양이 부족해서라기보단 분배의 문제라 GMO가 굳이 필요할까 생각하는 요즘입니다.
음식을 안심하고 먹을수가 없습니다.
16/08/10 15:32
수정 아이콘
지식채널e - 그 씨앗 속에는 씨앗이 있을까? (처음에는 GMO 배추, 2:17초 부터는 토종 종자에 관한 이야기)
https://www.youtube.com/watch?v=Uoyox1ZqGFA

한번 쯤 보시길 권합니다.
몬산토와 다른 회사 딱 두개의 회사가 농업에 관련된 거의 모든것을 지배한다고 합니다.
16/08/10 15:34
수정 아이콘
이름이 기억 안나 검색 해보니 또다른 회사는 스위스의 Syngenta 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925 [일반] 27개월 아이 한약 먹고 전신 탈모 [167] swear16513 16/08/11 16513 3
66924 [일반] 대형신인 블랙핑크의 데뷔 [75] 달라이라마12466 16/08/11 12466 1
66923 [일반] [야구] 이장석 구단주 구속영장 청구 [26] 이홍기6115 16/08/11 6115 2
66922 [일반] 더민주에는 아직 김종인이 필요한듯 보입니다. [68] 에버그린8538 16/08/11 8538 16
66921 [일반] 한 눈에 보는 2016 걸그룹 음반판매량 [22] 홍승식14733 16/08/11 14733 3
66920 [일반] 더민주 초선의원 6명이 방중 뒤 망신만 당하고 있네요 [81] 리오넬 호날두11337 16/08/11 11337 2
66919 [일반] 나무 v 해충...독극물 전쟁의 서막... [24] Neanderthal6357 16/08/11 6357 18
66917 [일반] 세상에서 가장 큰 대포 [32] 모모스201313345 16/08/11 13345 7
66916 [일반] 노래방 단상. [51] 렌 브라이트7021 16/08/11 7021 1
66915 [일반] 일본 지방활성화 정책 '헛일'…수도권에 몰린 기업 역대 최대 [89] 군디츠마라8627 16/08/11 8627 0
66914 [일반] 한겨레가 또...? [106] 에버그린12550 16/08/11 12550 7
66913 [일반] 7월 가온차트 주요 걸그룹 앨범 판매량 [24] pioren5195 16/08/11 5195 2
66912 [일반] 상하이스파이스치킨버거 [75] 13274 16/08/11 13274 4
66911 [일반] 1년간의 취준 후기입니다. 기록 남겨봅니다. [23] 뀨뀨20417 16/08/11 20417 9
66910 [일반] 진중권이 메갈 사태에 대해 추가발언을 했군요 [146] 무식론자15252 16/08/11 15252 4
66909 [일반] 다음 주 음악방송 결과에 따라 역대급 기록이 2개 생길 수 있습니다. [67] 삭제됨8077 16/08/11 8077 0
66908 [일반] [야구] NC이재학 승부조작 전면부인 [22] 이홍기7983 16/08/11 7983 0
66907 [일반] 힛 더 스테이지 3회 주관적인 감상 [10] 삭제됨4085 16/08/11 4085 0
66906 [일반] 바르바로사 작전 (2) - 북부 집단군 (1) [17] 이치죠 호타루6780 16/08/11 6780 12
66905 [일반] 삶에서 중요한게 무엇일까요? (긴 넋두리) [58] 결혼이무슨죄요6391 16/08/11 6391 5
66904 [일반] 김현중 승소…법원 "前여친은 1억원 배상하라" 선고 [30] 카우카우파이넌스9270 16/08/10 9270 3
66903 [일반] [짤평] <터널> - 위트와 긴장을 오가는 생생한 재난 현장 [166] 마스터충달9072 16/08/10 9072 9
66902 [일반] [데이터주의] 스시인 리뷰. [59] 유스티스14017 16/08/10 14017 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