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1/31 03:47:27
Name 달과별
Subject [일반]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의 법인세 이야기

스웨덴의 세법 관련해 먼저 짚고 넘어갈 두가지가 있습니다.


1. 스웨덴 지주회사가 스웨덴 기업에서 배당을 받을 시 배당금에 대한 세금은 면세.

2. 배당주 판매에 따른 이득 또한 면세.

">


http://ir.investorab.com/files/press/investor/201403264524-1.pdf




2013년 기준 대표적인 자회사들의 실효법인세율입니다.


SEB 은행 18%

자회사 중 가장 지분비중이 높고, 발렌베리 가문의 자금줄로 불리는 북유럽 최대 은행 중 하나입니다.


다른 주요 회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약: 아스트로제네카 21.3%

통신장비: 에릭슨 28.8%

전자: 일렉트로룩스 25.7%

자동차: 사브 24%


지난 10년간 제조업에 대한 실효법인세율은 폭등세를 보였습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5%내던 자동차를 비롯한 중공업 회사들은 아쉬울 것 같습니다.




지주회사인 Investor AB의 구조를 보면 발렌베리 재단이 전체 주식의 25%를 가지고 있습니다. 황금주인 관계로 결정권 50%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호적인 스웨덴 연기금이 8%를 보유, 그 외 개인적인 가문 일원들의 지분을 합치면 외부에서 경영권 위협은 원천 차단되어 있습니다.


Investor AB 위에 발렌베리 재단이 있고, 발렌베리 재단은 지난 5년간 연 평균 10억크로나(1300억원, Investor AB의 순이익의 2%)를 기부했습니다.


기부금의 대부분은 대학교 - 카롤린스카 의대를 비롯한 스웨덴 대학들의 생명공학부 - 로 향하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1/31 04:25
수정 아이콘
어찌보면 스웨덴의 모델도 자본주의의 모순 파해와 양극화 해소를 추구하기에는 깔끔하지 않은거 같아요. 소득편차는 적은데, 부의편차는 큰 편이라....

물론 현재 나온 포스트 자본주의 모델로써는 굉장히 우수한 모델이긴 합니다만...
15/01/31 04:36
수정 아이콘
이렇게 다른 모델마다 각기 장단점이 있다는 건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 아닐까 싶네요. 마치, 세상에 모든 것을 하나의 이론만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짓인가 싶기도 한 생각이 먼저 떠오릅니다. 더욱이 사회 시스템은 특히나 더 유동적으로 움직여야되지 않나 생각해보게 되네요. 그렇기 때문에 행정가와 정치가들은 하나의 사고와 가치에만 매달리면 그 부담은 고스란히 국가전체로 넘어오게 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더 큰 문제는 어떤 시스템이건간에 국가에 떠 넘겨진 부담이 고스란히 서민들에게 넘겨진다는 것이지 싶네요.
15/01/31 05:49
수정 아이콘
세계 4위 재벌이라고 불리는 이케아 창업자 "잉바르 캄프라드"도 스웨덴 사람이라고 들었는데,
잉카 재단이라는 곳에서 이케아를 관리하고 있다고 하네요...
http://en.wikipedia.org/wiki/Stichting_INGKA_Foundation
기부도 많이 하고 있다고 하는데,
무서운건 창업자 아들들이 IKANO (이카노 그룹)을 운영하고 있는데,
부동산, 보험업, 금융업 (이카노 은행) 업체를 거느리고 있다고 하네요~
다이달로스
15/01/31 09:39
수정 아이콘
오래된 기억이라 정확하지는 않지만,
예전에 행정학 교수님이 역사적 제도주의 부분에서 스웨덴 예를 들어서 설명하시더군요.
우리가 흔히 생각하기에 스웨덴은 기업이 법인세 많이 낼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전혀 아니다.
대신 개인의 소득세가 월등히 높다.
이런 이유를 설명하는데 사회적 대타협 같은 스웨덴 사회의 역사적 경험을 빼놓고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세계에서 경쟁해야 하는 대기업들 대신에 세금은 국민들이 낸다. 그 대신 대기업들은 고용 안정과 노동 조건을 책임진다.
이런 식으로 형성된 역사적 경험들이 제도화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하더군요.
wish buRn
15/01/31 09:59
수정 아이콘
스웨덴 소득세 이야기를 읽고,강제로 거세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요정테란마린
15/01/31 12:47
수정 아이콘
다이달로스님 말처럼, 기업의 부담을 덜어주는 대신 그 기업들에게 고용과 노동조건 개선의 의무?를 지우는 게 스웨덴 방식일 겁니다.
달과별
15/02/05 02:21
수정 아이콘
상속세 철폐, 황금주 허용 양보한 결과가 LG그룹보다도 낮은 법인세라니 아쉽긴 합니다.

사실 한국의 지주회사 기준에서 보면 배당금에서 한번 떼이고, 총 영업이익에서 또 다시 떼가는건 이중과세라고 볼만 하긴 합니다.

발렌베리가의 기부금도 한국으로 치면 삼성이 성균관대랑 삼성병원에 투자하는 것 까지 다 긁어모은 금액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726 [일반] 주치의 #1 [5] 지하생활자3542 16/06/13 3542 2
65639 [일반] 미국의 '성별에 따른 교육 현황' [43] OrBef10094 16/06/09 10094 16
65314 [일반] [연예인] (데이터주의) 일본 부자집 딸내미가 길거리 캐스팅되서 한국에서 데뷔하는 스토리 [23] evene34245 16/05/21 34245 5
65229 [일반] 국방부 "공중보건의도 없애겠다" [134] 밤의멜로디13217 16/05/17 13217 3
64853 [일반] 지금 영국 의사들은 전면 파업 중(응급실, 중환자실 포함) [215] santacroce17664 16/04/26 17664 5
64719 [일반] 살을 빼고 싶어요. [38] 새로미7903 16/04/20 7903 2
64510 [일반] 고대 의대 성범죄자가 성대 의대에 입학했습니다 [292] renoma21933 16/04/07 21933 6
63861 [일반] 나는 노력이 부족한 걸까? <부제: 그러니까 노오력을 하란 말이야> [13] 사도세자5915 16/03/02 5915 28
63782 [일반]  대출을 거절 당하다 [13] ZolaChobo7759 16/02/28 7759 24
63694 [일반] [잡담] 걸그룹과 함께하는 출근, UFC와 함께하는 퇴근... [17] 언뜻 유재석5701 16/02/23 5701 12
63014 [일반] [의학] 심폐소생술, 분당 100회를 어떻게 하나? [40] 토니토니쵸파8976 16/01/10 8976 7
62444 [일반] 신경외과 인턴 시절 이야기 [109] 녹차김밥27386 15/12/08 27386 109
62210 [일반] 결혼을 앞두고.. [27] TheGirl7117 15/11/26 7117 2
61728 [일반] 수상한 시절과 비국민 그리고 서울대 교수 성명 [52] ScentofClassic8612 15/10/28 8612 32
61475 [일반] 사도 - 그 때 그 날, 임오화변 [16] 눈시6701 15/10/14 6701 13
61378 [일반] 사도 - 사랑치 않으시니 서럽고, 꾸중하시니 무서워서... [25] 눈시8668 15/10/08 8668 23
61302 [일반] 소개팅을 받고 집에 오는 길에 울었습니다. [84] 상상력사전13665 15/10/04 13665 38
61281 [일반] 사도세자가 미칠 수 밖에 없던 이유 [95] Perfume20869 15/10/02 20869 21
57104 [일반] 유사과학에 대한 불만이 한의학으로 넘어왔네요... [176] 갈길이멀다17507 15/03/22 17507 8
56859 [일반] 이자스민 의원 아들 담배 절도 의혹.... 뜬금없는 이자스민 기사들... [142] 발롱도르12525 15/03/05 12525 4
56685 [일반] 군대갑니다. [51] 부처5167 15/02/22 5167 7
56275 [일반]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의 법인세 이야기 [7] 달과별11422 15/01/31 11422 1
55935 [일반] 이번 2015년 수능이 확실히 물수능이긴 했나 보네요 [51] 발롱도르9369 15/01/13 936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