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0/01 23:08:12
Name swordfish
Subject [일반] 각 군계급의 기원
애초 군대 계급이라는 게 원래 서양에서 왔고 그 이름이 있었던 원래 이유가 있었습니다.
단지 우리는 번역어를 사용해서 그 뜻을 정확히 모를 뿐이죠.

우선 일단 이 당시 전쟁이 일어나면 전쟁을 하는 주체가 봉신들에게 병력을 모으라고 시킵니다.
이게 왕이 될 수도 있고 대공일 수도 공작일 수도 있죠.

그럼 해당 봉신은 자기 영지에서 병력을 모집합니다. 이게 바로 연대(Regiment)입니다.
현대 가장 그 원형을 가진 나라가 영국인데 영국의 연대는 병력 모집, 훈련, 재편성 같은 후방 임무만 하고 모집지역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보통 대륙의 경우 연대 자체가 하나의 전열부대 단위였기 때문에 그대로 전투에 투입되죠.

자기 영지에서 병력을 이 연대를 모으는 귀족을 [대령](Colonel)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병력을 모집했던 영지 이름이 연대 앞에 붙습니다.  바덴 연대, 랭카스터 연대 이런 식으로
말이죠.

이 대령을 보좌하는 사람이 바로 [대리 대령](Lieutenant colonel), 한국어 번역으로 중령이라고 하죠.
보통 대령들인 귀족들은 군사 기술면에서 부족한 경우가 있기에 실재적인 지휘를 하거나 혹은 대령을
보좌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보통 대령들은 전투의 스페셜 리스트였습니다.)

한편 연대 밑은 원래 대대가 아니라 중대였습니다. 연대의 어느 수준의 소규모 부대이자 근대에서는 최소
단위 부대였습니다. 이걸 지휘한다고 해서 바로 캡틴(Captain)인 거죠. 대신 해군의 경우 해군의 최소단위가
1개 배이기 때문에 그배의 대장이라고 해서 그게 대령이 되었지만요. 아무튼 중대 캡틴이 우리나라 번역어로
[대위]가 됩니다.

[대위]들 집단에서 우두머리가 메이저 캡틴(Major Captain)인데 바로 그게 한국어 역어로는 [소령]이 됩니다.

그리고 [대위]를 보좌한다고 해서 대리(Lieutenant)란 계급이 있었는데 이게 번역 되어서 [중위]가 되구요.

하사의 영어 단어 써전트(Sergent)의 경우 원래 기사의 지휘하에 기사에 준하여 무장한 맨엣암즈를 지칭하는
말이었는데 이시기 대위 밑의 베테랑을 활동했고 이게 부사관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즉 원래 군에는 연대를 중심으로 하위에는 중대 밖에 없었습니다. 모든 계급은 연대와 중대의 업무에서 나온 거죠.

한편 장군의 경우 초기에는 여단, 사단, 군단, 야전군, 집단군이라는 개념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개념과
장군 명칭과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유일하게 있는건 준장 뿐이죠.

일단 여러 연대를 모아 이를 지휘하는 한 지역 최고 사령관이 있습니다. 황제나 왕일 수도 있고 그의 부하일
수도 있는 인물들이었죠.
이런 사람들을 [원수](Field Marshal) 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 사람의 부하가 바로 [대장](General)
이죠. 하지만 이건 독일식이고 영어는 조금 다릅니다.

왕이 바로 General이 됩니다. 즉 왕이 [대장]이 되는 거죠.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 대통령이 General이 됩니다.
(지금은 물론 아닙니다.) 이게 깨진게 영국은 웰링턴 공작이 필드 마샬 위를 받으면서고 이고 미국은 2차 대전에나
이르러 실질적인 원수 직위가 생기죠.(그 이전 워싱턴이나 그란트, 셔먼, 퍼싱 모두 2차 대전 이후 5성 장군이 됩니다.)

그리고 실재적으로 영국의 경우 한개 군을 이끄는 건 왕을 대리한다고 대리 장군, 영어로 Lieutenant General
즉 한국어로는 [중장]이라는 계급이 탄생한 거죠.

한편 [소장]의 경우 현대 영어로 Major General인데 사실 이유는 소령의 어원이 메이져 캡틴과 똑같은 이유에서
나온 말입니다. 단지 General들의 고참이라서 쓴 말이 아니라 여단장들의 고참이라서 Major General이 된거 뿐이죠.

마지막으로 [준장]은 유일하게 장성인데 General이 안붙습니다. 그건 단순한 이유인데 가장 먼저 나온 연대 위의
새로운 편재 여단이 해당 명칭이 나오기 전에 나와서 그렇습니다. 여단(Brigade)의 장이기에 걍 Brigadier가 되고
이게 여단장이 준장이기에 이게 굳어 진거죠.

해군의 경우는 쓰고 싶은데 너무 이쪽은 어려워서 생략할까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3/10/01 23:20
수정 아이콘
우와... 좋네요
봉건사회라불리던 중세에대해 몰라도많이몰라서 그나마 이글로 알게된듯하네요 흐흐 군대의명칭이 그에 기인햇다니

해군은 언젠가 천천히라두...
ComeAgain
13/10/01 23:35
수정 아이콘
군대에서 제식 교범을 보면서, 뒤에 부록으로 나오는 받들어 총의 기원이 생각나네요;
몽크 대령의 Coldstream 연대인가 어쩌구의 충성 서약으로 무기를 위로 높이 들어 찰스 2세에게 바치는 모습을 했다...

뭐 이런 거였죠;; 쓸데없는 것만 기억에 많이 남네요;;
치토스
13/10/02 00:16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눈물이뚝뚝T^T
13/10/02 01:03
수정 아이콘
전에 호레이쇼 넬슨 제독의 전집을 보면서 해군 계급에 대해 대충 본적이 있는데, 엄청 어렵더군요
실제로 미 해군에서 쓰는 계급 명칭도 육군과 꽤 차이가 있더라구요
삼먁삼보리
13/10/02 01:54
수정 아이콘
추천드립니다.
한국군에서 쓰는 장,령,위,관의 유래도 궁금하네요.
지금뭐하고있니
13/10/02 01:57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올라갈팀은올라간다
13/10/02 02:12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재밌어요^^
Legend0fProToss
13/10/02 04:06
수정 아이콘
오오 이런 오랜역사가있었군요 신기합니다 크크
준장도 Brigadier General 이라고 쓰지않나요?
13/10/02 07:41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병사 계급도 유럐가 궁급했는데 없네요~!
swordfish
13/10/02 08:13
수정 아이콘
병사는 계급 분화 시기에 원래 Corporal 밖에 없습니다. 병사들의 우두머리를 이렇게 불렀는데
원래 어원은 capo corporale(몸의 머리)란 이탈리아어가 영어화 하면서 이 단어가 생긴 거죠.
이게 번역어로 상병입니다.

영국 같은 나라는 병 계급은 상병과 아닌 자로 나뉘는데 원형을 잘 간직한 용법입니다.

한편 Private은 간단한 이유인데 당시 군대는 개인이 모집했기 때문에 Private soldier
즉 사병이었습니다. 그게 축약되어서 Private이 되고 이게 계급화 되어서 일병이 된거죠.
꽃보다할배
13/10/02 08:16
수정 아이콘
미군이 현재 이 계급체계에 가장 근접해 있습니다 별도 여단장이라고 준장도 존재하지만 병과 지벽집단군의 책임자가 대령이지요 대령이 군의 여단장을 겸임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별 다는게 어렵다고하나 미군은 대령입니다
wish buRn
13/10/02 10:25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추천누르고 갑니다
lupin188
13/10/02 10:58
수정 아이콘
잘 배우고 갑니다.
케이아치
13/10/02 11:37
수정 아이콘
미군 계급 처음 봤을때 뭐이리 Lieutenant 가 많나 했는데, 이런 이유였었군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8] jjohny=쿠마 25/03/16 19803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2810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7205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0076 4
10420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8)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完) [2] 계층방정609 25/05/21 609 2
104206 [일반] 그 날, 2편 회피와 기피 [3] 똥진국2222 25/05/20 2222 6
104205 [일반] SPC삼립 크보빵 생산공장 사망사고 [62] Croove7394 25/05/20 7394 6
104204 [일반] 친구의 병문안을 다녀왔습니다. [12] Enigma4159 25/05/20 4159 9
104203 [일반] [노스포] 미션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후기 - 오타쿠는 오마쥬랑 수미상관에 약하다구 [24] 헤세드3648 25/05/20 3648 2
104202 [일반] 중국인 흉기난동 사건: 말해도, 말하지 않아도 혐오는 커진다 [73] 계층방정9482 25/05/20 9482 23
104201 [일반] 어떤 일본 축구선수의 만화와도 같은 생애 [35] 無欲則剛7313 25/05/20 7313 23
104200 [일반] SKT 해킹사태 2차 조사결과 IMEI 유출 가능성 발견 [79] 윈터11231 25/05/19 11231 7
104199 [일반] 책 후기 - <1973년의 핀볼> [7] aDayInTheLife4875 25/05/18 4875 5
104198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7)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6) [3] 계층방정4071 25/05/18 4071 3
104197 [일반] 태양광 산업 기사회생? [110] 如是我聞13525 25/05/18 13525 7
104195 [일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스트 액션 히어로. (노스포) [93] aDayInTheLife10365 25/05/17 10365 7
104194 [일반] 미신에 대한 생각 [24] 여기7450 25/05/17 7450 13
104193 [일반] AI 음악 딸깍! 도전해보기 [11] 여행의기술6481 25/05/16 6481 8
104192 [일반] 닭비디아 주가 [43] 퀀텀리프11843 25/05/15 11843 0
104191 [일반] <해벅> -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보인다는 것. (노스포) [7] aDayInTheLife6089 25/05/16 6089 1
104190 [일반] 북한은 과연 김주애가 권력을 승계받는게 가능할까요? [68] 독서상품권12141 25/05/15 12141 1
104189 [일반] 어쩌면 PGR의 미래? [45] bifrost8638 25/05/15 8638 4
104188 [일반] 중동외교의 대전환을 꾀하는 듯한 트럼프 [30] 크레토스7582 25/05/15 758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