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7/09/18 18:05:20
Name Timeless
Subject [일반] 아픈 사람이 있으면 지나치라..
의사가 되었을 때 아니 의대생이 되었을 때 부터 길거리에서 쓰러지는 환자를 구하는 꿈을 여러번 꾸어왔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절대 하지 말라'는 선배님들의 말씀을 많이 듣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무슨 X 소리냐고 하시겠지만 아래를 계속 읽어주세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는 '착한 사마리아인의 법'이 국회에서 잠자고 있어 아무런 보호를 받지 못한 다는 것입니다.

실제 판례가 두 건이나 있다고 하네요.

1)의사가 식당에서 밥을 먹던 중 식당 내 한 어린 아이 기도가 막히는 상황이 발생하여 하임리히 법을 하여 살려냄, 그 과정에서 어린 아이 갈비뼈가 부러져 입원, 보험공단에서 상해처리 히여 아이를 구해낸 의사에게 구상권 형식으로 청구되어 수십만원을 부담하게 됨.

2)의사가 병원 로비에서 노인의 기도가 막히는 상황에서 하임리히 법을 하여 살려냄, 그 과정에서 노인의 갈비뼈가 부러져 입원, 보험공단에서 상해처리 히여 노인을 구해낸 의사에게 구상권 형식으로 청구되어 수십만원을 부담하게 됨.

하임리히 법도 이러한데 심폐소생술을 했다가 갈비뼈 몇 개 부러지고, 환자가 기흉 발생하는 등의 합병증이 나타났을 경우 그 사람을 살려낸 의사가 부담해야 될 금액은 수백만원이 될 것입니다.

그나마 살려냈을 경우가 이러하고, 환자가 응급처치에 반응하지 않고 사망한 경우 법적인 책임을 피할 수가 없습니다. 피해보상, 의사면허 취소, 입건 등등..

응급처치로 살아나는 경우는 정말 적기 때문에 엄청나게 높은 위험을 감수해야 하고, 어떻게든 살려내도 저런 식의 대우를 받게 된다는 것은 이성적으로나 감성적으로나 납득이 안됩니다.

한 선생님은 외국계 비행기에서 환자를 치료하고 마일리지 한아름, 승객들의 박수, 이후 감사편지 등등을 받아서 뿌듯했다고 하지만 역시 우리나라 비행기에서는 시행하지 말라고 말씀하시네요.

그렇다면 아픈 사람을 보고 참을 수 있는 의사가 있을까요?

결국 지나쳐 가야 그나마 마음이 조금은 가벼워질 것 같습니다.

국회에 '착한 사마리안 법'이 들어는 가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잠자고 있는건지.. 안타깝기만한 현실입니다.

그 외에도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에 대한 한탄을 하자면 너무 많아서 한숨만 나옵니다.

부디 길에서 쓰러지지 마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9/18 18:06
수정 아이콘
예과생이지만... 너무 안타깝네요. 저도 그런 생각 꽤 하는데
Spiritual Message
07/09/18 18:09
수정 아이콘
전에 다른곳에서 이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당황스럽긴 하더군요. 환자가 바로 앞에 보여도 의사가 손을 쓰면 안되는 구조라니, 답답할 따름입니다. 길가다 쓰러지면 절대 안되겠다 싶기도 하구요. -_-
Timeless
07/09/18 18:09
수정 아이콘
axon님// 의대생이나 의사라면 누구나 한 번 쯤은 꿈꾸었을 장면이지요. 외과의사 봉달희에서 '혈기흉' 환자를 봉달희가 길거리에서 살려내는데 그 뒷이야기로 그 때 발생한 합병증에 대해 보험공단에서 삭감 후 봉달희에게 청구했다는 숨겨진 내용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외국에서는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겠지요.
07/09/18 18:26
수정 아이콘
이런... 의룡에서처럼 허파에 구멍내려고 -_-;;; 볼펜 분질러서 꽂았다가는.....
07/09/18 18:56
수정 아이콘
의룡 얘기 하려고 했는데 윗분이 하셨네요. 사실 허파에 구멍난 여자가 구멍낸 남자와 연인사이니 별 상관은 없었겠지만.. 그 장면 말고도, 길거리에서 쓰러진 양반 주인공이 살리려고 자동차 전원 가져다 대는 걸 보고 뒤에서 죽기라도 하면 문제가 될까봐 전전긍긍하는 인턴의 모습이 나오죠.
07/09/18 20:00
수정 아이콘
저도 의룡 생각이 문득나면서... 안타깝군요
오름 엠바르
07/09/18 21:23
수정 아이콘
작년인가, 올해인가 조선일보에서 다룬 적이 있는 문제군요.
최근 한국에서도 심장마비 발생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인데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답니다.
제 때 해주면 환자생존률도, 후유증 발생률도 달라진다 하는데
기본적으로 뒷감당이 무서워지는 상황인데다 일반인은 알아도 시행하면 안된다고 하더군요. -_-;;;
서구에서는 오래전부터 학교에서 간단한 심폐소생술을 가르쳐서 위급시 행동할 수 있게 하는데
한국은 교육도 안되고 또 배웠다고 해도 함부로 시행하면 안되는데다 의사라고 해도 뒷감당이 안되는 곳이라고요.
... 그 참 그러네요.
이런 부분이 빨리 빨리 시정이 되어야 할텐데 말예요.
07/09/18 21:52
수정 아이콘
이런 경우는 의사뿐만 아니라 다른 경우에서도 있는데요,
제가 다닌 학교가 외진 곳에 있어 거의 지나가는 차 얻어 타고 가는 경우(이하 히치)가 많은데,
한 번은 어떤 분(알고보니 교수님)이 태워주시면서, 원래 히치 안해주는데 특별히 한다고 하시면서
만약 가다가 사고나면 본인이 다 배상해야 하기에 웬만하면 히치안해주는게 좋다고 하시더군요.
그나마 제가 같은 학교 학생이라 태워주신다면서요. 가면서 전에 있었던 얘기를 해 주시는데
한 번은 학교에서 어떤 아주머니를 태우셔서 나가는 길에 별거 아닌 접촉사고가 났는데 이 아줌마가
그냥 목잡고 드러눕더니만 병원에 가게 되고 배상까지 해 줬다는군요.
호의를 배풀고자 한 일에 정말 큰 사고가 난 것도 아닌데 이런 일 겪으면 정말
누군가를 태워주기 싫어질 것 같더군요.
Timeless
07/09/18 21:56
수정 아이콘
그래도 심폐소생술 배워둬야 합니다. 가족이 쓰러지면 해야지요.

심정지가 길거리에서도 많이 발생하지만 가장 흔한 곳은 가정이거든요.

도시의 가정에서 심정지가 발생했을 경우 왠만한 곳에서는 10분 안에 119 도착해서 제세동 가능한데, 이 전까지 hight quality 심폐소생술이 있으면 생존률은 유의하게 올라갑니다.

문제는 역시 다른 사람이죠. 요즘 사회 전반에 팽배해 있는 '소송' 문제는 결과가 나쁠 시 그 가족들에 의해 '과실치사' 등의 고발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Love.of.Tears.
07/09/18 23:11
수정 아이콘
'착한 사마리아인의 법' 이 자고 있어서 안타까울 따름...
그레이브
07/09/18 23:37
수정 아이콘
닥터 K! 당신이 필요하다....
07/09/18 23:44
수정 아이콘
제 친구가 응급 구조사인데요, 저런 이야기 많이 하더군요. 어린아이의 경우는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면서요. 자기가 살린 여성분한테 뺨도 맞아봤답니다. 저 그 이야기 듣고 엄청 황당 -_-
참소주
07/09/19 00:45
수정 아이콘
갈비뼈 하나 부러지고 살아나면 다행인줄 알 것이지.. 세상에는 웃긴 사람 웃긴 경우가 너무 많아요.
가족을 위해서 배워놔야겠네요.
07/09/19 10:03
수정 아이콘
분명 배울때는 심폐소생술 할 당시 갈비뼈가 부러질 정도로 강하게 압박하라고 배웠는데 말이죠.. 그 이후 법적인 대처에 대해서는 가르쳐 주지 않네요 ;;
sway with me
07/09/19 10:27
수정 아이콘
Timeless님// 봉달희는 소송에 휘말렸을 가능성도 있지요.
씁쓸한 현실이지요.
완전연소
07/09/19 13:10
수정 아이콘
Timeless님// 그런데 하임리히 응급처치법을 했을때 갈비뼈가 부러지는 경우가 보통인가요? 아니면 저 경우는 노인이나 어린아이여서 그런걸까요? 자세한 사실관계를 보고 싶은데 판례번호를 알고 계시면 가르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소리감투
07/09/19 14:22
수정 아이콘
정말 씁슬한 현실이네요...
사람 살려 놓고 배상까지 해야 하다니..
하루빨리 '착한 사마리아인의 법'이 마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sway with me
07/09/19 15:30
수정 아이콘
오름 엠바르님// 심폐소생술은 처음 시작하는 시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의료진이 즉각적으로 개입하기 힘든 경우에는 옆의 사람이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것을 위해서 흉부압박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정도는 알고 계신 것이 좋겠지요.

최근에는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인공호흡 없이 심장마사지만 하는 것이 더 낫다는 보고도 나오고 있으니,
일단은 흉부압박법 정도는 알고 계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다지 어렵지 않거든요.

하임리히 법 같은 것도 어렵지 않으니, 일반인들도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만한 수기입니다.
희망고문
07/09/19 20:55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하임리히 ,, 진짜 세게하면 먹었던음식 다토하죠 ..??
꿈꾸는사나이
07/09/20 01:05
수정 아이콘
하임리히 법이 어떤 건가요?
07/09/21 20:54
수정 아이콘
환자의 양팔을 올리고 그 뒤로 깍지를 끼게 하는 자세...음...WWE의 크리스매스터스의 매스터락을 연상하시면 될겁니다-_-);;

그 자세에서...어디더라 여튼 등뒤 어느부위를 강하게 압박하여 기도를 막은 이물질을 토해내게 하는 방법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66 [일반] About 한우. [235] S_Kun7215 08/06/11 7215 0
6634 [일반] 내일 있을 촛불시위에 대해 + 의료봉사단 관련 [2] grayrain3091 08/06/09 3091 0
5829 [일반] 오늘자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나왔던 내용입니다. [55] 호라호라6720 08/05/09 6720 2
5698 [일반] [안까칠한곰주씨] 적은 내부에 있는가? 왜 PGR의 진정한 전문가는 입다물고 있는가? [23] 잠자는숲속의3925 08/05/05 3925 2
5439 [일반] [펌]광우병 임상실험 센타로 전락할 운명에 처한 KOREA [44] wook984066 08/04/23 4066 1
5331 [일반] 의료보험 민영화 반대보다는 대안을........ [58] 스타만 없었어5551 08/04/17 5551 0
5278 [일반] 그것이 알고 싶다. 보셨나요? 해외고려장편. [17] -_-???5799 08/04/13 5799 0
4297 [일반] [세상읽기]2008_0201 [20] [NC]...TesTER4368 08/02/01 4368 0
4257 [일반] PGR21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천재인게 아닐까요? [44] 러브포보아5541 08/01/30 5541 3
4157 [일반] [펌]예쁘게 "미쳤던" 한 싸이코 소녀를 그리며. [11] 잠잘까5076 08/01/24 5076 0
3539 [일반] 언젠가 학원 선생님이 해주신 말씀 [45] scv역러쉬..5574 07/12/09 5574 1
3475 [일반] 연세대학교 수시 문제오류 + 수능 문제오류.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4] Yakama3844 07/12/04 3844 0
3238 [일반] 수능 전날, 당일에 관련한 모든 질문에 대하여 [14] 3795 07/11/12 3795 0
3085 [일반] “제약사 리베이트, 소비자에 연2조 피해” [10] 푸른달빛2853 07/11/02 2853 0
2883 [일반] 제 학교가 요즘 개판입니다. [16] 이리6739 07/10/07 6739 0
2726 [일반] 아픈 사람이 있으면 지나치라.. [21] Timeless4878 07/09/18 4878 0
2530 [일반] 생물학도로서 바라본 진화.... (그리고 창조론?) (수정) [50] whermit4621 07/09/01 4621 0
2494 [일반] [세상읽기]2007_0829 [17] [NC]...TesTER3175 07/08/29 3175 0
2480 [일반] 요즘은 9급공무원 합격하면 잔치를 벌인다죠. [33] let8pla10749 07/08/28 10749 0
2475 [일반] 이공계 위기?! [44] 철민28호4409 07/08/28 4409 0
1991 [일반] 무사히 돌아오기를 바란 글에서... [94] 챨스님5406 07/07/21 5406 0
1181 [일반] 제가 쓴 단편 소설입니다. [16] 소년3692 07/05/02 3692 0
684 [일반] 약대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참고하세요 [47] Copy cat14311 07/02/26 1431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