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11/23 19:53:28
Name wish burn
Subject [일반] 영국 의료제도 오해와 진실(퍼온 자료)
의료민영화에 대한 글을 보다가 우연히 새로운 자료를 보게 되서 퍼와 봤습니다.
식코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던 영국의료체계를 반박했던 분들을 재반박하는 내용인듯합니다.

한번쯤은 읽어보셔도 괜찮을 듯 해서 퍼왔습니다.
pgr능력자분들이 이 글을 토대로 좀더 가르침을 내려주시길 바라며 퍼왔습니다.
이 글 때문에 쌈나는 건 아니겠죠? ^^;;
(퍼온 글을 위한 5줄 채우는게 쉬운 일은 아니군요..-_-;;)

http://idea.borongs.net/1180560628


=====================================================================================================================

새정부가 들어서면서 건강보험에 대한 이슈가 뜨겁다. 이미 이명박 대통령은 당선 전에 건강보험 당연지정제와 관련한 의사협회의 질의에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또한 당선 후에도 보건의료 부분에 있어서는 공공 의료 강화보다는 의료 산업화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건강보험 당연지정제를 폐지한다는 것은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않는 의료기관이 생긴다는 것을 뜻하고 따라서 의무가입으로 유지되는 ‘전국민 건강보험’체계는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개봉한 마이클 무어 감동의 새 다큐멘터리 영화 ‘식코’는 공적 의료보험체계가 없는 미국의 상황을 충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도 전체 인구의 15% 가량은 민간의료보험조차 가입되어 있지 않아 의료서비스의 접근성 자체를 박탈당하고 있다. 이윤의 동기가 강한 민간의료보험회사들은 조그만 서류상의 잘못이나 신고 되지 않은 과거병력을 찾아내어 보험급여를 거부하는 일이 속출한다. 이런 폐해로 매번 대통령 선거 때마다 공공 의료보험은 민주당 후보들의 단골 공약인지 오래지만 지난 클린턴 정부도 강력한 민간보험사들의 로비에 막혀 그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나라 건강보험 역시 부침을 겪고 있다. 전국민 건강보험 30여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직 보장성은 2006년 현재 64.3%로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마저도 노무현 정부 들어 지속적으로 보장성을 확대한 결과이지만 그 반대로 낭비를 줄이기 위한 의료체계 개편은 이루어지지 않아 건강보험 적자역시 불어나고 있다. 특히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행위별 수가 체계는 각종 의료 검사, 시술 하나를 더 할수록 수가를 더 받게 되어 한편으로 과잉 진료에 취약하면서 다른 한편으론 건강보험 당국과 의사간의 개별 시술 행위 하나하나에 대한 시비를 낳게 하고 있다. 또한 민간의료기관의 비중이 80%이상이 되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은 병원 간 선택을 할 수 있는 아무런 객관적 기준을 제공받고 있지 못하다. 환자는 환자대로, 의사는 의사대로 불만은 높아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해결하기 위한 개혁 방향으로 의료 산업화와 민영화가 그 한편에 있다면 다른 쪽 한편엔 무상 공공의료체계가 자리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모델은 영국의 국가건강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 이하 NHS)이다. 하지만 영국의 NHS를 얘기하자면 심지어 의료나 사회정책 전문가조차도 ‘환자들이 순서 기다리다가 죽어간다더라’, ‘의사들이 불만이 많아 모두 외국으로 빠져나간다더라’라는 식의 루머성 근거들을 그대로 믿고 아예 논의 대상에서 배제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에서는 도대체 NHS라는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어떻게 운영되고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취약한 점은 무엇이며 어떻게 보완해 가고 있는지, 현재 신노동당 정부는 어떤 개혁을 어떤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지 간략하게 살펴보면서 우리나라 보건의료 체계의 대안으로서의 함의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NHS의 무상의료서비스, 오해와 진실


2차 세계대전 직후 새로운 사회에 대한 국민적 열망이 ‘요람에서 무덤까지’로 유명한 ‘베버리지 보고서’에 근거한 복지국가 건설에 대한 희망으로 표출되면서 이를 전면적으로 시행하겠다고 선언한 노동당이 이를 거부했던 전쟁영웅 처칠을 누르고 집권하였다. 영국의 현재 전거주민 무상의료서비스 NHS는 1948년, 그렇게 탄생하게 되었다. NHS는 지금도 총 1,300만 명의 인력을 거느린 단연 유럽최대 규모의 독특한 공공중심의 무상의료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 영국에서 통상 6개월 이상 거주하는 사람(resident)이면 의료상의 이유로 따로 돈을 지출할 일이 거의 없다. 몇 가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NHS의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모든 의료서비스는 완전 무상으로 제공된다.



예외적으로 비용을 지출하는 경우는 외래환자의 약제비, 검안, 치과치료 등이지만 일정액으로 제한되어 있다. 외래환자의 약값은 한번 처방당 약 1만 원가량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만성 질환등으로 자주 약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등록하여 연간 약 18만원 정도 수준에서 제한없이 처방약을 구입할 수 있다. 게다가 16세 이하 아동, 18세 이하 재학생, 임산부나 출산 후 12개월 이내인 산모, 특정 만성질환자나 중증 장애인, 공공부조 수급권자 및 저소득층은 이마저 면제를 받는다. 검안의 경우 약 3만 원가량, 치과치료의 경우 경중에 따라 건당 2만원에서 8만원 가량 부담하게 된다.



모든 영국 거주민은 자신의 지역의원(General Practitioner, 이하 GP)에 등록하게 되어 건강상 어떠한 문제나 걱정이 있을 때에는 언제나 전화로 간단히 예약하여 의사를 볼 수 있다. 1차 의료기관인 이 GP에서 각종 건강 상담부터 간단한 시술까지 무상으로 제공 받을 수 있으며 만약 보다 전문적 검진이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2차 의료 기관인 병원(hospital)에 의뢰된다. 병원으로 의뢰되면 각종 검진부터 수술까지 가능한 모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며 병원 내 모든 서비스는 약제비, 식사까지 모두 무상으로 제공된다. 의복, TV, 전화 등이 예외인 정도이다.



현재 신노동당 정부의 지속적 투자와 개혁을 통해 그동안 NHS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대기기간(waiting list)의 문제는 상당부분 진전이 되었다. 대부분 GP의 경우는 예약한지 이틀이내에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으며 2007년 8월 현재 GP내에서 치료를 받을 경우 76%가 18주 이내에 완료되고 있다. 병원으로 의뢰되는 경우 의뢰되는 시점부터 치료 완료까지 56%가 18주 이내에 완료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올해 말까지 모든 치료를 18개월 이내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4개월 반 정도에 해당하는 이 기간은 길어 보이지만 최초 진단으로 의뢰 받은 후 세부 검진을 거쳐 수술 일정을 잡고 수술을 완료하기까지의 기간임을 생각해보는 그다지 긴 기간은 아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흔히 발견되는 오해는 죽어가는 환자도 대기기간 때문에 치료를 못 받는다는 식의 ‘루머’이다. 영국에서 누구든 응급한 상황일 경우 응급실을 바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생명을 위협받는 상황이면 대기 없이 바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오히려 대개 영국 언론에 등장하는 1년 가까이 기다렸다든지 하는 극단적인 사례들은 바로 이러한 응급 상황 때문에 특별히 생명에 지장이 없는 환자들의 수술날짜가 취소되거나 연기된 경우들이 많다. 일상적인 경우, GP에서도 아이의 건강 문제 등 긴급한 우려가 고려될 경우에는 예약 당일 의사를 볼 수도 있다.



두 번째로 흔하게 NHS에 대해서 말할 때 듣는 얘기가 ‘의사들이 모두 외국으로 나간다더라’하는 것이지만 이 역시 그 사정을 조금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애초에 영국으로 워낙 많은 수의 외국 의대생들이 유입되고 있다는 배경이다. 매년 영국 의사 수련과정에는 1만여 명의 외국 의대생이 유입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중 반 이상은 수련과정을 마치고 의사가 된 후 4년 이내에 영국을 떠난다. 2007년 전문의 수련과정의 경우 15,5000명 정원에 28,000명이 지원하였으며 그중 45%가 유럽경제구역(EEA) 밖의 외국 의대생이었다. 그 결과 오히려 영국내 의대생 1,300여명이 수련을 받지 못하는 사태에 이르러 최근 영국 국무부(Home Office)에서는 외국인 의료수련 지원에 대한 규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NHS의 구성과 운영


앞서 언급되었듯이 NHS에서는 1차 의료와 2차 의료간 구분과 분업이 분명하다. 주로 GP가 담당하는 1차 의료는 일상적인 건강 상담, 가벼운 질병 진단 및 치료에서부터 예방접종, 금연 지원 등 광범위한 보건정책 수행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물론 보다 전문적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2차 의료기관으로 의뢰하는 것도 이들의 주요 역할이다. GP는 주로 일반의와 간호사 등 의료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민간 진료팀이 소유하고 운영하며 NHS와 계약을 맺고 있다. 하지만 이 1차 의료 체계는 NHS의 근간을 이루어 대체적으로 각기 관할지역과 유사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대개 거주민들은 주소지에서 가장 가까운 GP에 등록을 한다.



2차 의료는 주로 NHS 병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응급 치료(elective care)와 응급치료(emergency care)를 담당한다. 비응급치료는 1차 의료 기관으로부터 의뢰된 의료서비스로 계획에 따라 전문의료 인력에 의해 제공되는 검진, 시술, 수술 등을 말하는 것이며 응급 치료는 사고나 상해 등으로 긴급한 치료가 필요할 경우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를 의미한다. NHS 병원은 주로 공공의료기관으로 병원 운영기구인 NHS 트러스트(Trust)가 NHS와 계약을 맺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NHS 트러스트는 또한 병원 내 의사, 간호사, 물리 치료사 등 의료 전문 인력과, 관리자, IT 전문가 등 비의료 인력 등의 고용주이기도 하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인정받은 NHS 트러스트는 재정과 운영에 있어 보다 많은 자율성을 행사하는 NHS 파운데이션 트러스트(Foundation Trust)의 지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1, 2차 의료기관을 비롯한 해당 지역 의료서비스와 보건정책을 총괄하는 기구가 바로 기초건강보호 트러스트(Primary Care Trust, 이하 PCT)이다. 보통 한 PCT가 평균 인구 170,000의 지역을 포괄하며 GP 등 1차 의료기관과 NHS 트러스트 등 2차 의료 운영기관과의 계약을 맺는 주체이다. 따라서 PCT는 NHS 전체 예산의 80%를 담당할 정도로 NHS의 중추 조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잉글랜드 지역 내에 330여개의 PCT가 있으며 각 PCT는 지역 주민 건강 욕구에 대한 실사, 1, 2차 의료서비스 배치 및 계약을 통한 위임, 지역 사회 전반적 건강 수준 향상, 모든 주민의 보건의료 서비스 접근권 보장, 주민의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의견 청취 및 반영, 지방 정부 및 민간 단체와 지역사회 장기요양 서비스 등에 대한 협력 보장 등에 책임을 지고 있다.



PCT의 상급 기관으로 10개의 전략건강기구(Strategic Health Authority, 이하 SHA)가 있다. 하지만 NHS의 중추를 PCT가 담당하고 있는 만큼 SHA는 주로 보건부와 NHS 서비스 간의 매개 역할을 맞으며 주로 NHS의 서비스에 대한 전략적 방향과 운영의 책임을 지고 있다. 즉, 지역 내 PCT를 모니터 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거나, 정보 기술 전략 등 지역내 보건의료 서비스 발전을 위한 계획 개발, 의료 인력 확보와 훈련 등 보건의료 서비스 자원 관리, 암이나 심장질환 서비스 개선과 같은 정부 핵심 정책을 NHS를 통해 실현하도록 하는 역할 등을 담당하고 있다.



NHS 조직의 정점에는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가 있다. 보건부 장관은 의원내각제인 영국의 다른 장관과 마찬가지로 국회의원 중 1인이 총리에 의해 임명되며 국민의 건강증진, 질병 예방 등 포괄적 책임을 지고 있다. 따라서 보건부는 전반적인 NHS에 대한 관리감독 뿐 아니라 NHS의 전체적인 전략적 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암, 심장질환, 정신 보건 등 국가 정책상 우선순위 영역을 비롯하여 각 서비스 영역에 국가서비스기준(National Service Framework)과 같은 서비스 질적 향상에 대한 국가적 기준을 설정하며, NHS가 이같은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충분한 예산을 보장하고, 지역 전략 기관인 SHA, 의료기관 규제기구인 보건의료위원회(Healthcare Commission)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담당하고 있다.



NHS의 재원은 일반 조세에서 조달된다. 연간 예산 규모는 120조원에 이른다. 이 예산의 80%는 각 지역별로 PCT에 지역별 인구와 욕구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배분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가중 균등할 공식(weighted capitation formula)이며 이에 따라 각 PCT당 목표 재원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PCT는 계약을 맺는 각 병원과 GP 등과 계약을 맺게 되는 것이다. 이 공식은 자원배분자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 on Resource Allocation)에 의해 정기적으로 재검토 된다. 이 목표 재원에서 초과 지출 하거나 미달하는 PCT에 대해서는 보건부가 사안에 따라 개입하게 된다. PCT와 각 의료기관과의 계약은 보통 일괄 계약(block contract)으로, 포괄적으로 규정된 서비스에 대해 그 총액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 구체적 비용을 추적하기 위해서 환자 중심 정보 및 비용 산출 시스템(patient-level information and costing system)이나 성과 중심의 배분 시스템인 결과에 의한 급여(Payment by Result) 등이 시행되고 있다.




최근 NHS 개혁과 함의


신노동당정부는 1997년 집권이래 NHS를 가장 우선적 정책 중 하나로 설정하고 보건의료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 증진, 서비스의 질적 향상 등을 위한 과감한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중 그 거시적 방향과 관련하여 가장 논란을 빚고 있는 것은 ‘시장화(marketisation)' 개혁이라고 할 수 있다. 공공을 기반으로 한 NHS의 성격 자체의 변화를 주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분명히 해야 할 것은 이것이 ‘민영화(privatisation)'를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즉, 민영화가 아예 서비스의 책임 주체를 민간으로 이양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시장화는 그 책임은 공공이 지고 있으되 그 공급과 운영에 있어 시장적 요소를 도입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의료서비스에 전달방식에 변화가 있을 뿐 NHS가 민간 기업에 팔리거나 대체되진 않는다.



시장화 개혁의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민간 업체를 NHS 서비스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이는 민간 자본이 NHS 병원 건립 등에 참여하는 민간재정계획(Private Finance Initiative, 이하 PFI)에서부터 직접 NHS 서비스의 공급자로 참여하는 민간치료센터(Independent Sector Treatment Centre, ISTC) 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두 번째는 공공 NHS 기관에 독립적 책임 운영, 상호 경쟁과 선택 등 시장적 요소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는 최근 재정 절감 대책으로 강력하게 추진되었던 NHS 트러스트별 독립 채산제, 파운데이션 트러스트 확대, 환자의 선택권 확대 등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시장화 개혁이 반드시 NHS의 효율성을 증가시켰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PFI의 경우 민간 자본을 동원하여 대규모 병원 건립이 다수 이루어졌지만 공공 예산에 의해 건립하는 것에 비하여 오히려 각종 컨설팅, 재정 운용 비용(finance cost), 자본 비용(capital cost) 등 민간 자본 동원으로 인한 추가 비용이 경우에 따라 건립비용의 약 40%에 이른 경우도 있었다. 또한 개별 NHS 트러스트가 목표 재정에만 제한하여 예산을 운용하게 한 독립 채산제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NHS 재정이 부족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트러스트별로 재정 절감을 위해 응급실을 없애는 등 서비스가 악화되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보건의료위원회와 같은 중앙 규제기관을 통하여 각 의료기관별로 엄밀한 평가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상호간 경쟁을 촉진시킴으로써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이루어내고, 환자의 선택권을 실질적으로 확대함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에 있어 환자의 발언권을 높이는 등의 성과 역시 부정하기 어렵다. 이미 NHS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대기기간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획기적인 개선을 이루어 낸 데에는 병원별 평가와 공개와 같은 강력한 수단이 큰 영향을 끼쳤다. 최근에는 NHS 선택 웹사이트(http://www.nhs.uk/)와 지역 도서관을 통하여 각 병원별로 대기기간, 병원 내 감염, 서비스 만족도 등을 포함한 종합 평점이 별점으로 공개되고 있으며 각 전공 분야, 질병별로 대기기간, 입원기간, 치료환자 수, 재입원 비율 등을 열람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환자들은 예전에는 GP에서 상급 병원으로 의뢰 될 경우 해당 지역병원만을 이용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이같이 투명하게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 내 3~4개의 NHS 병원과 전국 파운데이션 트러스트 병원 및 NHS과 계약된 민간 병원 중 치료 희망 병원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개혁 역시 그 효과성을 둘러싸고 논란이 있으며, 한편에서는 이러한 흐름이 민영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영국 정부의 개혁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공공의료가 반드시 관료적이고 독점적인 구조일 필요는 없으며, 또한 아이러니하게도 실질적인 ‘시장’의 효율성은 오히려 공공의료에서 더 보장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시장은 보통 효율적인 기제로 이해되고 있지만 의료서비스 같이 특히 소비자가 합리적 정보를 얻기가 거의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왜곡될 가능성이 도리어 크다. 하지만 현재 영국의 개혁과 같이 권위 있고 객관적인 정보를 정부가 알기 쉽고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이와 같은 왜곡을 최소화 시키고 합리적 선택을 촉진함으로써 실질적인 의료서비스의 질적 경쟁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만들 수 있다.



어쩌면 우연치 않게도 좋은 대조를 보여주는 민간 중심 의료모델을 가진 미국과 공공 중심 의료모델을 지닌 영국의 사례는 무엇이 우리가 국민의 건강과 효율성을 위해서 추구해야할 방향인가에 대한 상징적 답을 미리 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공적 보험체계조차 갖추지 못한 미국은 1인당 총 의료비 지출은 영국의 두 배가 넘든 데다가 정부 예산 중 보건의료 지출 비중도 16.1%인 영국보다 더 높은 19.2%에 이른다. 하지만 기대 수명, 영아 사망률, 출산 사망률 등 주요 보건의료 지표는 모두 영국과 비슷하거나 뒤쳐진다. 단순히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적자를 눈앞에서 치워보자는 식의 해법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면 국민 건강의 증진을 위해서나 사회 전체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위해서나 공공의료로의 개혁 방향을 매우 진지하게 고민해야할 시점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부엉이
09/11/23 20:03
수정 아이콘
의료 민영화이야기는2000년대 초반부터나온거 같은데....계속 그이야기가 나오는데 뭔가 배경이 잇나요-_-?
힐러리 클린턴이 한국으로 귀화라도 하나요?
각설하고, 시스템의 속한 당사자들의 필요에 의한변화가 아닌, 정치적인 이유로의 무조건적인 변화는 반대합니다.
09/11/23 20:16
수정 아이콘
영국에서 살았던 입장에서 적어보자면 일단 우리 나라에서는 절대 불가일겁니다.

일단 저런 체계를 갖추려면 현재 상황에서 세금을 훨~씬 더 거둬야되는데 국민들이 그걸 원하지 않죠 -_-..

[4대강 사업 들어갈 돈이면 가능할수도 있겠군요...]

이게 겪어보면 세금을 많이 거둬도 혜택이 느껴지면 세금을 많이 내도 상관이 없을텐데 대다수의 국민들이 여기에 대한 인식이 없습니다. 일단 뭐 겪어봤어야 세금을 많이 거둘때의 장점을 알죠. 아 하긴 현정부가 세금을 많이 거둔다고 제대로 쓸것 같지는 않긴 하네요 ^^ [...]

양 쪽 나라 다 살면서 영국이 훨씬 나았다고 생각한건 돈 한푼 없이도 초등학교를 다닐 수 있다는 점[우리 나라처럼 말만 의무교육이고 재료비, 교재비 등등은 다 따로 사야되는것과는 달리 이런 재료가 다 학교에서 공급이 됩니다.], 도서관 시설, 그리고 의료제도 정도가 있었네요. 물론 그만큼 세금으로 때는 금액이 크긴 합니다.
09/11/23 20:27
수정 아이콘
부엉이님// 간단하게 말하면 건보 적자때문입니다.
지금은 못해도 1조원에 달하지 않을까 싶네요.
shadowtaki
09/11/23 20:36
수정 아이콘
힐러리 클린턴은 빌 클린턴 대통령이던 시절 공영 건강보험을 추진하다가 실패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알고 있나요??
09/11/23 21:21
수정 아이콘
부엉이님// shadowtaki님// 그러게요.... 제가 혹시 잘못 알고 있는 것 인가요?(2)
논트루마
09/11/23 21:47
수정 아이콘
참고로 반값등록금 공약 실현에 필요한 금액이 "고작" 2조라네요.
몽키매직
09/11/23 21:53
수정 아이콘
소개하는 글이니 만큼 장점들을 죽 나열하셨지만 그에 못지 않은 단점도 가지고 있는 시스템입니다. 공산주의의 모형과 많이 닮아 있죠. 장단점도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의료문제가 해결이 안되는 가장 큰 이유는 분명합니다. '돈'이죠.
건보재정은 적자에 적자를 거듭하고 있고, 그렇다고 해서 병원이 돈을 버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거든요.
여기서 정부가 선택한 것은 국민적 동의를 얻어 건보재정을 확보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고 끝없는 저수가 정책을 고집하다가 마지막 카드로 민영화를 하려고 합니다. 기가 막히죠.
09/11/23 21:55
수정 아이콘
영국은 건강 보험료로 소득의 15프로 가까이를 낸다고 합니다. 우리 나라는 3~5 프로 정도 수준일 겁니다. 그 한마디로 끝.
09/11/23 21:58
수정 아이콘
몽키매직님// 어떤 사람도 의료 보험료가 내일 당장 5배~6배로 오른다고 하면 동의하지 않을 것입니다. 애초에 박통이 밀어붙여 의료 보험 시작할 때, 첫 단추를 잘못 달았죠.

심평원이었나 보건복지부였나.. 고위 공무원이 실제로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의료 보험으로 적자가 나는 것은 우리도 잘 알고 있다. 그렇다면 비보험 시술등을 개발하여 그 부분을 충동하면 되는 것 아니냐?"
부엉이
09/11/23 22:05
수정 아이콘
렐랴님// 저도 들어본적있습니다. 물리치료사들 파라메딕쪽으로 나가보라는소리
pgr에서 들은거 같군요.
이적집단초전
09/11/23 22:10
수정 아이콘
5%로 15%에 가까운 효율을 낸다면 그건 정말 대단한 제도가 아닐까요?

한국의 의료보험은 개발독재가 만들어낸 최상의 결과물이 아닐까 하는데요. 오히려 현 제도에서 디테일만 보강하는 쪽으로 나가면 될 것 같습니다. 취약계층의 의료쇼핑방지와 외과쪽의 수가 현실화. 이 둘만 이루어지면 사실 한국 의보만큼 뛰어난 제도도 드물지요.
09/11/23 22:21
수정 아이콘
저도 한국 의료보험은 투자대비 최대의 효과를 내는 제도라 생각하는데요.
과정이야 어쨌든 결과 그 자체에선 불만이 없습니다.
실제 미국에선 보험 없으면 앰블런스 부르지도 못합니다.

친구들끼리 농담으로 아무리 아파도 기어서가지 앰뷸런스는 안 탄다. 그런 말을 할까요.

저 역시 현제도에서 조금이라도 더 디테일하게 가는 쪽이 나아보인다고 생각합니다.
다 뜯어 고치기엔 현제도가 괜찮은 정도고 그렇다고 불만이 없는 것도 아니니
그 불만을 줄이는 쪽으로 가는 게 정답이 아닐까 싶습니다.
09/11/23 22:28
수정 아이콘
이적집단초전박살님// 힘들겁니다. 지금 아주 간당간당 하거든요. 매년 수가 계약을 하는데, 올해도 여지없이 협상이 깨졌습니다. 최근 한 10년 가까이 한번도 수가 계약이 성사된 적이 없었죠. 그럼 정부쪽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합니다. 그리고 의사측에서는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구요. 즉 애초에 말만 계약이지 계약인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죠. 협상하는 척 하다가 일방적으로 '올해는 이렇게 하도록' 결정하면 끝입니다.

의협은 어떻게든 민영화로 몰고갈 기세고 대부분의 의사들도 민영화에 찬성합니다. 민영화가 좋아서 찬성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보다는 낫겠지라는 생각 때문에요. 민영화로 사실 큰돈 만질 의사는 아주 극소수죠. 그걸 모르는 것도 아니구요. 민영화 후에 의사들 입장에서도 현재보다 나빠지면 나빠졌지 좋아질리는 없죠. 하지만 이래 죽나 저래 죽나라는 막장 심리 때문에 민영화라도 하자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요약하면 너죽고 나죽자죠.

네이X 지진희들이 신나게 게시판에서 의사는 무조건 나쁜놈 까고 까고 또 깔때, 의사들만 가는 게시판에서는 더이상 못해먹겠다 그냥 다 같이 죽자라는 말이 오갑니다. 5프로로 15프로의 효율을 낸다는 소리는 다시 말하면, 누군가가 지금 똥줄이 탄다는 것이죠.

그리고 시골 등의 의료 취약계층을 위해 '공보의' 제도가 있는데, 이것도 의전 진행되면서 군대 안간 남자 의사(소위 킴이라고 부르는..)도 줄어들기 때문에 앞으로 공보의를 주축으로 하는 싸구려 의료 취약층에 대한 의료는 뭉개질 수 밖에 없습니다. 공보의 사이에서도 보건 공무원들의 괴롭힘에 '우리는 공노비'라는 말까지 쓰며 스트레스 받는 분들 많습니다. 어쨌든 우리 나라는 답없....
09/11/23 22:29
수정 아이콘
이적집단초전박살님// 5%로 15%에 가까운 효율을 낸다면 그건 정말 대단한 제도이기 이전에 어딘가 망가진 제도가 아닌지 의심을 해봐야 하는게 기본 아닙니까. 그리고, 그 어딘가가 분명히 망가져 있는 제도가 맞구요.

...솔직히 여기까지 끌고 오고 있다는 자체가 신기한 상황이죠.
몽키매직
09/11/23 22:31
수정 아이콘
이적집단초전박살 님//
한국의 의료 제도가 저비용 고효율인 것은 틀림이 없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초저비용 저효율이 맞겠죠. 투자는 눈꼽만큼하는 것에 비해 효율은 나오지만 결과물 자체를 놓고 봤을 때는 훌륭한 수준이 아닌... (정말 정확히 표현해주신 것 같습니다 5%로 15%를...)

현재의 열악한 상황에 비추어 보았을 때 공공재로서 기능도 하고 유지도 어느 정도 가능한 체제임에 맞습니다만, 서비서로서의 의료는 꽝이죠. 대표적인 5분진료... 저수가 정책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수 밖에 없습니다.

또 하나 말씀 드리자면, 미국 의료 정책은 실패한 대표적인 케이스로 많이 거론이 되지만, 정작 의료 발전에 중요한 연구들은 대부분 미국에서 이루어진다는 것.... 다시 말해서 우리나라 의료는 독립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의료비가 천정부지로 높은 국가에서나 가능한 연구의 결과물을 들여와서 쓰고 있죠. 즉, 세계적으로 볼 때는 이러한 연구비용도 우리나라 의료의 비용에 포함 시켜야 한다는 겁니다.
프링글스
09/11/23 22:32
수정 아이콘
모든 사회 재화, 서비스의 분배는 제로섬 게임입니다.

대한민국의 의료제도는 세계 그 어느나라보다도 저비용 고효율을 자랑하고 있죠.
많은 사람들이 의료보험이 어쩌네 병원이 어쩌네 욕하지만 막상 미국처럼 할래? 영국처럼 할래?
이렇게 물으면 절대 그렇겐 안한다고 합니다.

그럼 과연 누가 그 손해를 감수하고 있는 것일까요?
누가 저비용, 고효율이라는 어찌보면 말이 안되는 구조 속에서 착취를 당하고있는 것일까요?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09/11/23 22:39
수정 아이콘
복지분야의 정책의 성공의 기준을 흑자로만 생각한다면 그건 복지 정책이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얼마나 많은 해택을 누리는가"가 복지 정책의 기조가 되어야 할 듯 합니다.

복지부분에서 "돈 낸만큼 누린다"는 것은 단지 시장경제의 원리이지 복지랑은 전혀 상관없는 다른 이슈 일듯 합니다.
부엉이
09/11/23 22:40
수정 아이콘
이적집단초전박살님// 그렇게 굴려갈거 같습니다. 의사들이 죽는소리하고 있지만...그들도 알거든요. 지금이 낫다는걸-_-.
건보에 목숨걸고 있는 다른직군은 아예힘도 없구요.
프링글스님// 지 피해 사실일반 국민들한테 전가되고 있습니다. 병원가시면 진료5분보기도 힘든현실이지요.
09/11/23 22:43
수정 아이콘
프링글스 // 그럼 의사가 착취당한다는 말씀이신가요?
잘 이해가 안 가네요. 우리 사회에서 대체 어떤 직업이
착취를 안 당하나요?
09/11/23 22:44
수정 아이콘
몽키매직님// ",정작 의료 발전에 중요한 연구들은 대부분 미국에서 이루어진다는 것." 은 의학 만이 아닙니다. 다른 대부분의 모든것이 미국에서 연구 발전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그 논리는 (말은 안되지만.... 유머러스하게 ) 과장된 논리를 펴치자면 "우리나라에서 범죄자의 대부분은 쌀밥을 먹기 때문에 쌀밥이 범죄 욕구를 증가시킨다" 와의 논리랑 다를 것이 없어 보입니다.
몽키매직
09/11/23 22:49
수정 아이콘
5분진료의 피해자는 의사와 환자 둘 다 입니다. 병원에서 5분 진료를 보는 것은 정말로 5분 밖에 시간이 없기 때문입니다. 의사들도 미치죠. 그렇게 진료를 보아도 대형병원 의사 평균 근무시간이 100시간대에서 오락가락합니다. 그래서 병원 돈 버냐고요? 대형병원 대부분 적자 운영입니다. 서울대병원만해도 적자 매우려고 부유층을 타겟으로한 강남 검진 센터를 만들었죠. 그래도 적자입니다.

lovehis님//
이상론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대한민국 의료는 돈 문제부터 해결해야 합니다. 병원을 먹여살리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의료의 붕괴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09/11/23 22:49
수정 아이콘
윗 분들 다 필요 없고.. 원 글에도 써있네요.

"NHS의 재원은 일반 조세에서 조달된다. 연간 예산 규모는 120조원에 이른다."

연간 예산 규모 120조인 영국과 vs 연간 예산 규모 3조인 우리나라.
몽키매직
09/11/23 22:54
수정 아이콘
lovehis님//
제가 말씀드리는 논지하고 크게 다르진 않은 것 같습니다. 미국의 기형적인 시스템에서 창출된 가치를 소비하는 거죠. 사실 이론적인 내용이고 실제적으로 우리에게는 의미가 없어서 쓰지 말까 하다가 넣어놨는데 논지와는 별 상관이 없는 내용인 것 같습니다.
부엉이
09/11/23 22:55
수정 아이콘
사실...국내의료의 붕괴는 의사에서 시작되는게 아니라..타직군에서 시작됩니다. 100%-_-
의사들이 아무리 욕해도 의사계속하고 있고...의대입학점수는 하늘 높은줄 모릅니다. 그리고 의사들은 지금이 낫거든요.
몽키매직
09/11/23 22:57
수정 아이콘
sungsik님//
'의사'라는 전체 집단으로 뭉뚱그려진 개념을 쓰다보면 의견이 엇갈리는 것 같습니다.
대형 병원의 비인기과 봉직의들은 착취당한다는 표현을 써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직업도 착취당한다' 는 논리는 좀 당황스럽습니다.
09/11/23 23:11
수정 아이콘
한 커다란 단체에 소속된 사람들 중에서 착취를 안 당하는 사람이 있나요?

우리나라 기업 CEO들. 우리나라 기업 시스템이나 체제에 대해 말이 많습니다.
중소기업 사장들 기업 환경 어렵다면서 투덜댑니다.
그런데 그런 사람들에게 미국식 유럽식으로 바꾸자하면 바꾸려고 할까요?

안 바꿉니다. 그럼 여기서 누가 손해보고 있는 걸까요.

제가 의료제도 그 자체의 디테일함까진 종사자가 아니라 잘 모르지만,
우린 특별한 희생을 당하고 있다라는 주장은 참 보기가 힘든 건 사실입니다.

물론, 의사라는 직업이 사람들에게 비춰지는 잘먹고 잘살 수 있는 직업.이란 부분 때문에
너희가 우는 소리하면 우린 어쩌냐. 라는 것이 없다곤 말 못하겠지만,
적어도 착취라는 단어를 쓰면서 불쌍한 희생자인 것처럼의 표현은 좀 자제해주셨으면 합니다.
내일은
09/11/23 23:56
수정 아이콘
일단 저런 복지시스템을 갖추는 일은 사실 보통 상황에서 거의 불가능합니다.
영국도 국민들에게 "피와 땀과 수고"를 요구해야했던 2차대전을 겪었기에 가능했던 상황이죠.
우리나라에서 4대험제도가 도입된 과정도 북한과의 체제'전쟁'을 하고 있었기에 상대 체제에 대해 우위를 보여주기 위해 도입된 성격이 강합니다.
09/11/24 00:34
수정 아이콘
sungsik님// 미국식이나 유럽식으로 바꾸자고 하면 당연히 바꾸려고 하죠. '한국형' 미국식, '한국형' 유럽식으로 바꾸려고 하니까 문제죠.

의료 '서비스'라고 말은 하면서 정작 '서비스'를 강조하면 돈밝힌다고 욕먹고 징계까지 받는데. 왜 의료 '서비스'라고 합니까? 아예 '서비스'라는 말 자체도 없애버리고 서로 기대도 하지 않으면 돼죠.

의료의 공공재적인 성격을 강조하면서도 '서비스'라는 시장주의적 성격마저 강조하는 이중적인 잣대때문에 계속 말이 나오는 겁니다.
친정간금자씨!
09/11/24 00:59
수정 아이콘
저도 영국에서 유학생활을 해보았는데요 . GP에 대한 영국 의료제도에 대해 몇자 적어봅니다. 영국 가자마자 GP를 등록했습니다.

매번 여러가지 베드버그 ㅠ피부질환 고생ㅠㅠ GP를 찾게 되었는데요 . 약속을 잡지 않고는 바로 진료를 할수없는 시스템이라고

해야되나요.

정말 급하지 않으면 꼭 전화로 약속을 받고 진료를 받으로 가야된다는 단점? 이런것들이 있습니다. 그 밖에 피검사라던지 따로 찾아가야되고요 정말 검사 결과가 오래 걸립니다. 모든 진료가 무료이긴 하여도 저희 나라의 관점으로 볼때 그런 시스템이라면 에휴...

한날은 감기가 심해서 중이염을 앓게 되었는데요.

귀가 찢어 지게 아파서 응급실로 가게되었는데요. 응급실가서 상황을 말씀들렸떠니 ... 당신보다 더 급한사람도 기다리니 잠시만 기다리라는 겁니다. 그게 2시간 이었구요. 물론 진료비는 무료였습니다. 나중에 처방받은건 항생제 하나였습니다. 그거 먹고 괜찮나 싶더니 또 아파서 나중에는 개인 보험 적용이 되지않는 병원가서 100파운드 내고 치료받았습니다. 그 계기로 느낀게 정말 우리나라 응급실과 의료 보험 제도가 참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나름 잘되있던 영국을 보더라도 예산을 그렇게 쓰지만 아직까지 성공적이라고 보기에는 제 3자의 입장에선 보기엔 단점이 많은것 같습니다.
09/11/24 01:49
수정 아이콘
친정간금자씨!님// 영국이나 캐나다의 의료를 경험하신 분들의 그 의료체계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을 달립니다.
그렇게 다른 것은 대개 어떤 질환으로 그 체계를 경험하게 되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대개 일차의료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으로 그 체계를 경험하신 분들은 안 좋은 평가를 하시는 편입니다.
하지만 중증 질환으로 그 체계를 이용하신 분들은 그 체계에 대해서 극찬을 아끼지 않습니다.

미국의 의료를 경험하신 분들의 평가 역시 둘로 갈리는 편입니다.
대개 그것은 high-end 서비스를 위해서 미국의 의료를 이용하신 분들과 그렇지 않고 일상적인 목적으로 미국의 의료를 이용하신 분들의 차이지요.
High-end 서비스를 이용하실 정도의 여유가 있는 분들은 미국의 의료를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하지만 일상적으로 이용하신 분들은 그 청구서에 혀를 차지요.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최근 그래도 조금 완화된 모습을 보이고는 있습니다만,
우리나라의 보험제도는 대개 경증질환자들에게는 이용하기에 괜찮은 제도인 반면, 취약계층 혹은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질환자들에게는 사회적 안전망이 되어주지 못했습니다.

내가 감기환자라면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제도는 비교적 효율적입니다.
내가 혹은 내 가족이 암환자라면요?
지금은 그래도 사정이 많이 완화되었지만, 그래도 지금 역시 암환자들은 애초에 금액문제로 치료를 포기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혹은 치료를 통해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한 단계 이상 하락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건강보험이라는 것이 왜 존재하는가, 사회보장이라는 것이 왜 존재하는가...
그에 대한 올바른 답을 내기 전에는 어떤 체제가 우월하다고 쉽게 결론을 내릴 수 없습니다.
그러나 사회보장제도라는 것이 근본적으로 실업수당에서 시작했고 건강보험은 사회보장의 한 갈래로 발전했다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건강보험의 기본은 '예상하기 힘든, 그러나 매우 파국적인' 상황에 대한 대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이 사회적 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은 정설에 가까운 이야기입니다.
황세진
09/11/24 02:42
수정 아이콘
경질환에는 좋은 보험이지만, 중환자에게는 재앙같은 일이죠.
경질환은 본인부담금 30%, 암환자는 본인부담금 10% ...와 암환자한테 돈 더 대주네..가 아니라.
두 질환에 들어가는 치료비용이 애초에 비교가 안됩니다..
만원에 70% 대줘서 30%인 3천원 내는거랑...5천만원에 90% 대줘서 10%인 500만원 내는게 똑같은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는..실제로 의료보험료는 활발히 내야하는 계층..20-50대정도의 직장인들에게는 나는 쓸일도 없는데 월급에서 차압해나가는 세금이라는 느낌이고, 그 의료보험의 수혜자는 아이들과, 은퇴후 노인들이라는 점이죠;;;;
우리도 영국식 캐나다식으로 충분히 할수 있습니다...지금보다 보험료 5배만 올리면요.
의사들에게도 충분한 수가가 가고, 의료팀의 다른 직군들, 간호사,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영양사, 약사 같은 사람들도. 할수야 있겠죠;

15%씩 떼간다는 영국같은 유럽식 나라들도 의료보험재정이 간당간당해서 예방의학 위주로 가고
self care를 장려해서 경질환은 약국에서 약사랑 otc로 쇼부보라고 말하고 있는 실정인데..
우리나라가 그게 될까요? -_-;
보험료 올린다 그러면 당장 폭동 일어날텐데요??
지금의 내 감기진료에 7천원 대주는거 없어지는건 생각나도, 내가 은퇴후 늙어서 암걸렸을때 보장받을 몇천만원은 보이지도 않는
하루하루 힘든 이 시절에?
켈로그김
09/11/24 11:39
수정 아이콘
[ 감기는 약먹으면 하루 이틀만에 나아야 하고, 그러지 못하는 의사나 약사는 돌팔이다 ]

이런 인식을 갖고 있는데 뭘 어떻게 하겠습니까..
OTC로 쇼부보려고 해도 [ 뭔 감기약이 만원이나~ 세상에 바가지도 바가지도.. ] 이러는데,

정말, 연령대를 불문하고 [ 감기 ] 환자를 보면 가슴이 답답해지고 숨이 턱 막힙니다 ㅡ.ㅡ;;
(감기... 참 웃긴 단어에요. 정말로.. 신기한 단어이기도 하고요. 어쩌면 대한민국에만 있는 단어일지도..)

장기간 약물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 환자는 참으로 반갑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229 [일반] [버림받은 자들의 포럼], 입금 마감 3시간 남았습니다. (도적풀, 30/45) [29] OrBef25594 09/12/12 5594 0
18155 [일반] [버림받은 자들의 포럼], 입금 받습니다 (14일 자정까지). (도적풀, 20/45) [45] OrBef25817 09/12/09 5817 0
17973 [일반] <버림받은 자들의 포럼> 방 배정끝나갑니다!! 확인하세요~ [118] OrBef27160 09/12/01 7160 0
17776 [일반] <버림받은 자들의 비전과 미래에 대한 포럼>, 일정/장소 결정 됐습니다 [175] OrBef210234 09/11/24 10234 2
17769 [일반] 영국 의료제도 오해와 진실(퍼온 자료) [32] wish burn4952 09/11/23 4952 1
17456 [일반] 16. 나만의 향기라는게 있을까? -이럴 때일수록- [2] 늘푸른솔3064 09/11/12 3064 0
17366 [일반] 우린 제법 잘 어울려요 - 캐치볼 모임 후기 [53] Lixhia4535 09/11/09 4535 0
17270 [일반] '헌혈의 진실'에 대한 대한적십자사의 공식입장이 나왔네요 [21] 마음을 잃다7129 09/11/05 7129 1
17030 [일반] 저는 물리치료를 하고 있는 물리치료사입니다. [196] kiss the tears19620 09/10/28 19620 0
16070 [일반] 잠시 둥지를 떠납니다. [4] Joker_3616 09/09/18 3616 0
15576 [일반] 수의학, 그리고 수의사. (3) 여러분이 좋아하시는 종은 무엇인가요? [32] 휘리노이에스5067 09/08/29 5067 0
14576 [일반] 부천 영화제 다녀왔습니다. [10] Who am I?3071 09/07/20 3071 0
14397 [일반] WOW는 접는게 아니라 잠시 쉬는거죠 [72] 은안7121 09/07/13 7121 0
14181 [일반] 내 생애 첫 면접 [28] Timeless5273 09/07/02 5273 0
14043 [일반] 내 사랑에 떳떳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 [8] 레몬막걸리2994 09/06/28 2994 0
12577 [일반] 이 두 남녀의 문제...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2] Anti-MAGE5501 09/05/13 5501 0
12149 [일반] [링크포함] 손선생을 아시나요? [14] Tabloid3104 09/04/22 3104 0
12122 [일반] 사람이 살려면 꼭 이래야만 하는 것인가요... [32] 특별출연3825 09/04/22 3825 0
12076 [일반] 다들,자신의 관심사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69] Best[AJo]3150 09/04/20 3150 0
10123 [일반] goodbye -[darc]- [3] 로랑보두앵2918 09/01/02 2918 0
9982 [일반] [단편소설] 이별 [1] Just3639 08/12/26 3639 0
9485 [일반] 저장혈액에서 감소하는 것 [11] Arsene3834 08/11/26 3834 0
9212 [일반] ㅇㅇ/의 독백(26) - 'Sex and the City'와 '아내가 결혼했다'와 정이현 [18] ㅇㅇ/3659 08/11/09 365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