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1/01 12:22:18
Name 유머게시글
File #1 Screenshot_20251101_100842_Samsung_Internet.jpg (56.9 KB), Download : 751
File #2 AKR20251031177751098_02_i_P4.jpg (58.2 KB), Download : 751
Link #1 https://www.yna.co.kr/view/AKR20251031177751098
Subject [일반] '애국 진보'앞세운 38세에 '네덜란드 트럼프' 제동, '승부수' 안통했다 (수정됨)




['애국 진보' 앞세운 38세 달리기광에 '네덜란드 트럼프' 제동(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51031177751098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5/oct/31/netherlands-election-d66-rob-jetten-politics

【배경】

     2023년 네덜란드의 트럼프라 불리는 자유당(PVV)이 37석을 얻는 돌풍을 일으키며 1위를 하며 연립정부를 구성했습니다

그러나 이민자 문제로 연립한 다른 정당들과 문제가 생겼고 결국 PVV는 연정을 깨고 조기총선을 하는 승부수를 던졌습니다



【결과】

     전문가들은 집권당의 조기총선인 만큼 PVV의 우세를 점쳤으나 결과는 놀랍게도 PVV의 참패(-11)와 9석이였던 중도진보정당인 D66(민주66)의 대성공(+17)


【D66의 변화】

     그 이면에는 D66의 노선변화와 공격적인 SNS 유세에 있었습니다. 진보정당 D66의 38살 당대표 롭 예턴은 2023년 총선패배와 네덜란드트럼프의 돌풍을 지켜보며 이를 교훈삼았습니다.

2023년 총선에서는 9석의 원내 5당으로 추락 한 이후 기존 고학력 지지층이 좋아하는 주요 정책인 환경, 교육문제를 주요 의제 삼기보다는 사회적 이슈인 이민자 문제에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심각한 주택난 해소와 같은 문제를 주요 정책으로 다루기 시작합니다

불과 몇 주 전만 해도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저조했지만, 예턴이 TV 토론에서 여러 차례 훌륭한 활약을 펼치고 선거 11일 전 TV 퀴즈 쇼 결승에도 진출하면서 점차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더불어 SNS를 공격적으로 활용해 공약을 알리고 오바마의 구호인 'YES WE CAN' 이나 '할수있다'같은 낙관주의적 구호를 외쳤습니다

또한 당은 네덜란드 국기를 되찾는 것을 추진했는데 선거유세시 네덜란드 국기를 전면에 내세웠으며 이를 통해 "애국진보"영역으로 확장해 보수와 진보층 모두에게 지지를 받아 총선에서 돌풍을 일으켰다고 합니다

그 결과 보수계층과 진보계층 양쪽에서 지지를 받았으며 조기총선을 선언했던 집권당 PVV는 37석 -> 26석 (-11)의 참패를 당하고 돌풍을 일으킨 애국진보당인 D66은 9석 -> 26석 (+17) 으로 늘어나 1966년수립이래 최다의석을 얻게 됩니다




【이후】

     다른 정당들이 PVV랑 이제 연정안하겠다고 선언한 만큼 정부 구성권은 다른 정당과 협력이 수월할 것으로 보이는 D66가 잡게 될 것으로 분석하는데, 그럴경우 만 38세인 롭 예턴 D66 대표가 차기 총리로 취임할 가능성이 현재로선 높다하네요(물론 PVV를 완전히 무시하고 정부를 구성 할 순 없습니다)



【의의】

물론 이게 트럼프로 대표되는 보수포풀리즘진영의 패배는 아닙니다

여전히 많은 지지를 받고있고 힘은 있습니다

하지만 제턴은 이 결과가 역사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네덜란드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포퓰리즘 운동과 극우 운동을 이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입니다.”

외국에선 보수가아닌 다른쪽은 세계화와 올바름논쟁에만 치중되어 자국민과 경제적 불평등에 둔감하단 이미지가 많은데

트럼프와 보수 진영의 대성공을 보며 다른진영도 새롭게 선거전략을 수립하고 성공했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Quantumwk
25/11/01 12:48
수정 아이콘
'애국 진보'의 원조가 한국 민주당인데 한국을 벤치 마킹 한걸수도 있죠 흐흐 이제 서구권도 진보진영이 내셔널리즘을 강조하기 시작하겠네요.
린버크
25/11/01 12:49
수정 아이콘
PVV는 기괴한 정당입니다. 무려 당원이 1명이에요. 그럼에도 정당정치가 오래 전 시작되어 당원 조건이 매우 느슨한 유럽 국가에서는 수많은 극우 인사들이 PVV 당원은 아니지만 PVV 소속으로 출마하고 있죠.
비례제로 운영되는 네덜란드 하원에서 극우 및 강경우파계 정당을 다 합하면 의석은 비슷하지만 반극우 세력이 승리하였다는 데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네덜란드처럼 해수면 상승하면 망하는 국가에서는요.
아케르나르
25/11/01 17:20
수정 아이콘
기사 제목을 이상하게 지었네요. 제목만 보면 잘나가는 애국진보에 네덜란드 트럼프가 제동을 건 것으로 이해됩니다. 조사를 바꿔서 '애국진보(가) 네덜란드 트럼프에 제동' 이렇게 써야 되지 않나요? 요즘 기자들은 가사 제목에 낚시 걸 줄이나 알지 제대로 쓰지도 못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335 [일반] [팝송] 마일리 사이러스 새 앨범 "Something Beautiful" 김치찌개394 25/11/02 394 1
105334 [정치] 통신보안은 잘 됩니까? [67] 사부작4947 25/11/01 4947 0
105333 [일반] 상하이 여행기 [21] 푸끆이2660 25/11/01 2660 4
105332 [일반] 뒤늦게 올려보는 춘마 후기 [7] 스내치마스터2630 25/11/01 2630 4
105331 [일반] 제 경험담으로 말해보는 숏이 할게 못되는 이유 [31] 이게무슨소리3923 25/11/01 3923 11
105330 [정치] 'No Kings' 시위 와중에 신라 금관을 받은 트럼프에 대한 미국 전역의 말말말 [177] 전기쥐8433 25/11/01 8433 0
105329 [일반] '애국 진보'앞세운 38세에 '네덜란드 트럼프' 제동, '승부수' 안통했다 [3] 유머게시글3460 25/11/01 3460 1
105328 [일반] 에센피에 숏을 쳤습니다 [46] 기다리다9168 25/10/31 9168 4
105327 [일반] 엔비디아, 한국에 26만장 GPU 투입 [134] 신정상화10890 25/10/31 10890 3
105326 [일반] 지자체에 민원 넣으라고 종용하는 어플 [9] VictoryFood6349 25/10/31 6349 5
105325 [정치] 대장동 민간업자들 전원 법정구속, 이 대통령 연루 인정 안해 [171] 전기쥐10156 25/10/31 10156 0
105324 [일반] (스포) 체인소맨 레제에 대해서 친구와 나눈 대화 [21] Anti-MAGE3982 25/10/31 3982 0
105323 [일반] 모르는 게 약인 이야기 (도시 내 하천은 거대한 하수도) [46] leiru4810 25/10/31 4810 6
105322 [일반] 저지대 군주에서 스페인 왕의 지배로 [2] 계층방정3972 25/10/30 3972 6
105321 [일반] 핵추진 잠수함의 의미를 알아 보자 [65] 가라한11097 25/10/30 11097 6
105320 [일반] 질병퇴사 쉽지않네요 [22] 여기에텍스트입력8725 25/10/30 8725 6
105319 [일반] 9박 11일 폴란드 여행기 Day 2-2. (data 주의, scroll 주의) [2] 강력세제 희드라3049 25/10/30 3049 4
105318 [정치] 계속된 사상에도 왜 킥보드 업체는 아무런 죄가 없는가? [125] 빼사스10464 25/10/30 10464 0
105317 [정치] 트럼프, 한국 핵잠수함 건조 승인(?!) [296] 다크서클팬더21466 25/10/30 21466 0
105316 [정치] 3분기 GDP 성장률 1.2% '서프라이즈' [90] lightstone10721 25/10/29 10721 0
105315 [일반] 코스피 곱버스 수익률 [105] 신정상화10933 25/10/29 10933 2
105313 [정치] 대미투자 3500억달러 중 현금투자 2000억달러 연 상한 200억달러 [181] 슈터15664 25/10/29 15664 0
105312 [정치] “동명목재 재산헌납은 신군부의 강탈” (2008년 중앙일보 기사) [9] petrus4519 25/10/29 451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