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8 02:03:37
Name 신정상화
Subject [일반] 자고 일어나니 재벌그룹이 해체됨
헌법 공부를 하며 알게된 사건을 검색 도움을 받아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 *

1985년 초 국제그룹은 21개에 달하는 계열사를 거느리며 재계 서열 7위에 올라 있었다. 1947년 양정모 회장이 부산에서 시작한 '왕자표 고무신' 사업은 반세기도 지나지 않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브랜드 '프로스펙스'를 탄생시킨 국민 기업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1985년 2월 21일 주거래 은행인 제일은행은 국제그룹 전체를 해체한다는 충격적인 발표를 내놓았다. 훗날 양정모 회장은 "자고 일어나니 기업이 해체되어 있었다"고 표현할 정도였다.

명목은 부실기업 해체였지만 의아한 점들이 있었다. 국제그룹의 부채비율이 900% 비율로 높다지만 예금 금리만 10%인 초고호황 시절에, 다른 기업들도 500~600%는 된다는 점. 집권 여당의 부산 지역 총선 패배 이후 제2금융권 등이 일제히 국제그룹의 돈줄을 묶었다는 점. 해체를 선언한 제일은행조차 전날 그 결정을 받았다는 점 등이었다. 해당 시기 전후로는 정권의 미움을 받았음을 꼽는다. 양정모 회장은 청와대가 주도한 일해재단 성금으로 다른 재벌보다 적은 5억 원을 어음으로 내려다 재단 이사장에게 "야박하다"는 면박을 당했다. 국제그룹은 이미 영부인과 대통령 동생이 운영하던 재단에 성금 3억 원만 기부하여 전두환의 눈 밖에 난 상태였다. 전두환이은부산에서 선거 협조를 부탁했으나, 양정모 회장이 다음 날 아들의 49재를 챙기기 위해 부산을 떠나자 전두환은 이에 크게 분노했다는 일화가 가장 유명하다.

민주화 이후 양정모 회장은 그룹을 되찾기 위한 긴 법적 투쟁에 나섰다. 일전일퇴 끝에 1993년 7월 헌법재판소는 국제그룹 해체 조치가 사유재산권을 침해한 명백한 위헌 행위라고 판결했다. 이 결정은 대통령의 통치행위 역시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천명한 판결로 회자된다. 하지만 이 결과가 실질적인 구제로 이어지지 못했다. 대법원은 정부의 강압 행위가 위헌이라 할지라도 그 결과로 체결된 인수 기업과의 사적인 계약까지 무효로 볼 수는 없다고 판단하여 1996년 양 회장 측에 최종 패소 판결을 내렸다.

돌이켜보면 권력 핵심이 재단과 단체를 세우면서 기업 돈을 뜯는다는 말 부터가 기이하다. 결국 독재는 시장경제와 거리가 멀다. 독재가 불러오는 수많은 권력 횡포는 우리가 받아들이기 어렵다. 이런 정리를 굳이 처음부터 다시 쌓아올릴 필요는 없는 것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계층방정
25/10/28 05:11
수정 아이콘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인들에겐 이렇게 삥 좀 뜯기고 가끔은 기업이 삭제될지언정 독재정권이 노사관계에서 기업 일방적으로 편들어주고 기업비리 눈감아주고 기업에 호의적인 금융정책 펴는 게 훨씬 더 만족스러웠던 것 같습니다.
임전즉퇴
25/10/28 05: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비하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가축화 개념이 딱 들어맞네요. 그런데 일반 가축은 아니고 조금 애매하지만 말?
다람쥐룰루
25/10/28 07:39
수정 아이콘
기업들은 딱 그정도지만 그 밑의 노동자들은 노예개미 취급이니까요 정말 딱 밥만 먹여주면 노예처럼 일했는데 그래도 덕분에 먹고살 수 있다며 고마워했다죠
강문계
25/10/28 08:59
수정 아이콘
뜯기는 것을 넘어서 친인척 관계를 맺고 자식이고 돈이고 적극적으로 가져다 바치면 더 만족스러웠던 경우도 많죠.
25/10/28 20:17
수정 아이콘
한국 기업사, 재벌사 자체가 초인들이 자수성가했다고만 보긴 어려운 여러 정치적 배경이 있는 경우가 많죠. 대신 박정희든 전두환이든 기업 쪽에 돈이든 뭐든 계속 요구한 역사도 사실이고. 말씀하신 대로 노사 문제 발생하면 공권력 동원해서 노동자 측 밟아버리는 건 지금도 존재하지만 예전엔 훨씬 노골적이기도 했고요.
에이치블루
25/10/28 07:04
수정 아이콘
지금의 용산 LS타워가 옛날 국제그룹 빌딩이었죠. 여러 각도에서 볼때마다 다르게 보이는 빌딩...수십년 지나도 멋진 디자인입니다.
25/10/28 08:53
수정 아이콘
헐.. LS타워가 국제그룹 빌딩이었군요...
카케티르
25/10/28 08:24
수정 아이콘
유명한 사건이죠..
25/10/28 08:32
수정 아이콘
정의론으로 보면 피해자가 당연히 국제그룹쪽이지만,

또 반대로 옛성현 말씀대로 지나치게 뻣뻣하면 부러진단 인간관계의 맥락으러 보면 국제그룹이 원인을 제공한게 맞죠.

경영인은 시대에 맞게 살아야죠. 

저 시대는 폭력의 시대인데 말입니다. 

독재정권만 문제라 생각했는데 글을 읽어보니 시대 흐름을 못읽은 경영자의 과실도 일부 보이네요. 
강문계
25/10/28 09:00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알아서 기면서 독재와 민주주의 후퇴에 돈으로 이바지 했어야 했는데 말이죠.
그러고 보니 일본제국주의 시대에도 비슷한 일이 많이 있었을텐데, 참 역사에서 배울 줄 모르는 사람이었네요.
사상최악
25/10/28 15:55
수정 아이콘
시대의 흐름을 아직도 못 읽은 댓글로 선정되었습니다.
사업드래군
25/10/28 09:06
수정 아이콘
근데 당연히 독재자가 잘못한 건 맞는데, 저 정도 기업을 운영하는 회장이면 산전수전 다 겪고 눈치가 엄청났을 텐데 전두환이 어떤 사람인지 몰랐을 리도 없고 나는 새도 떨어뜨릴 만한 권력이 있었는데 왜 그렇게 뻣뻣하게 굴었을까요?
마음만 먹으면 기업하나쯤 날리는 건 일도 아니라는 걸 잘 알고 있었을 텐데요.
신정상화
25/10/28 12: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건 정말 모를 일입니다. 3선 까지는 국민의 선택을 받은(한번은 부정선거로 역전했다는 의혹이 굉장히 짙지만) 박정희에 비하면 전두환 처럼 급도 안되는 사람에게 돈 뜯기는 게 아니꼬왔을 수도 있고, 부산이면 성향이 YS에 가까웠을 수도 있고... 검색해도 잘 안나오더군요
시린비
25/10/28 09:08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죽어나간다는걸 알아도 항쟁한 사람들도 있었으니 뭐... 굽히지 않는게 그렇게까지 이상한가 하면 그정도는 아닐지도요
Liberalist
25/10/28 09:20
수정 아이콘
굽혔으면 당연히 지금도 멀쩡하게 살아 있었겠습니다만, 안 굽혔다고 뭐라 하고 싶지는 않네요.
노둣돌
25/10/28 09:30
수정 아이콘
5공 청문회에서 양정모 회장 특유의 발음이 생각납니다.
'브라자 호텔'
25/10/28 09:46
수정 아이콘
양대 재벌이었던 현대와 삼성도 신군부 때 현대양행(현 두산에너빌리티)과 TBC(현 KBS2)를 뺏기다시피 내놨던 것을 봤을텐데
양 회장은 어떤 생각이었는지 모르겠네요.
25/10/28 09:47
수정 아이콘
이건희 회장이 훗날 전두환, 노태우 재판에 나가서 했던 말이 있습니다.
“3공 때는 청와대에서 전화를 해서 돈을 달라고 했어요. 5공 때는 영수증을 주더라구요. 6공 때는 이심전심이예요.”
신정상화
25/10/28 12: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누구도 신세계 그룹이 해체될 거라고는 생각 안하니 달라진 건 있죠. 국민을 위한 정규직 일자리를 털어내는 것과 친인척과 측근이 촘촘하게 박힌 재단 기부금 털어내는 건 다르니
25/10/28 09:49
수정 아이콘
제5공화국에서 1편인가 2편 다뤘을겁니다.

눈치가 없었다 라고 말하기엔 재수가 없었던 지점도 있고, 결국 그 별거 아닌거 전부 모아서 일벌백계를 하는걸 보여주겠다의 본보기가 되었을뿐..


결국 그 결과들로 나온것중에 하나가 정주영 회장의 정치활동과 대선후보 출마가 된거죠...
25/10/28 09:50
수정 아이콘
야사에는 왕회장이 계산기 두들겨보고 '이 돈이면 차라리 대선 나가는 게 훨씬 싸게 먹히겠다'라고 생각해서 출마했다는 썰도 있죠.
로하스
25/10/28 10:17
수정 아이콘
액수가 적은 것도 그렇고 본문에 ' 일해재단 성금으로 다른 재벌보다 적은 5억 원을 어음으로 내려다' 이렇게 나온 것처럼
어음으로 준거에서 제대로 빡쳤다고 하더군요. 어음이라는게 보통 큰 기업이 하청기업 결제해줄때 쓰는 건데
뭔 생각으로 대통령한테 내는 성금을 어음으로 낸건지...너무 나갔어요.
25/10/28 10:20
수정 아이콘
현금도 아니고 어음이었군요.
안군시대
25/10/28 11:33
수정 아이콘
한마디로 요약되더라고요 "괘씸죄"
전두환은 대놓고 조찬에 재벌회장들을 청와대로 불러서 성금 걷던 사람인데, 그걸 불쾌해했으니 본보기를 보여야죠.
마라떡보끼
25/10/28 11:42
수정 아이콘
민주주의를 지키는게 곧 자본주의를 지키는거죠
파인애플빵
+ 25/10/29 01:28
수정 아이콘
그런데 한국은 지금도 그렇게 생각 안하는 재벌들이 매우 많더라구요
Ashen One
25/10/28 11:54
수정 아이콘
당시에도 다들 괘씸죄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정도 기업이 한방에 넘어갈 정도로 문제가 있진 않았고, 당시 한국은 고도 성장기였죠.
저 정도 빚은 몇 년안에 인플레이션으로 사라지는 빚이었죠.
뻐꾸기둘
25/10/28 12:02
수정 아이콘
하지만 한국 재계는 노동자들을 자기 대신 때려잡아준 저시절 권력을 여전히 그리워 한다는거...
25/10/28 12:29
수정 아이콘
저항을 한것도 아니고 안한것도 아니라서.. 뭐라고 평가를 못하겠네요. 경영자 입장에서라면 시류를 읽는 것보다 중요한 건 없긴한데(요새 트럼프를 대하는 ceo들봐도) 시민저항운동?의 시작이라고 보기도 애매하고.. 이렇게까지 되겠어?라는 마인드가 아니었을지..
액티비아
25/10/28 13:44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정도입니다.
그냥 피해자인거고, 정황상 독재의 피해자라고 해서 딱히 다른 판단이 들어갈 여지도 없죠.
국제그룹 얘기는 군사정권의 패악질을 중심으로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사조련가
25/10/28 14:14
수정 아이콘
900프로는 좀 심한거 아니냐 솔직히 크크
사상최악
25/10/28 15:58
수정 아이콘
비상식을 상식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죠.
공감한다는 말 자체가 비상식이에요.
+ 25/10/29 00:09
수정 아이콘
어떻게보면 자기말좀 잘듣게 기강좀 잡고싶었는데 때마침 본보기로 쓸만한 떡밥이 나온거죠. 괘씸죄가 맞긴한데 단순 기분나쁨으로 인한 괘씸죄가 아니라 본보기로 써먹을 희생양이 되었다 보는게 맞죠.
파인애플빵
+ 25/10/29 01: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그냥 본보기라고 생각 합니다. 독재 정권과 혼맥이나 인맥으로 연결 된게 많이 없으니 그냥 때려 잡아도 되겠다 생각 한것 아닐까요
독재 라는건 이성적이거나 합리적인게 필요 없는 폭력적인 세상인거죠 그냥 정상적인 사고 방식에서 판단할수 없는 사회니까요
한순간에 독재자 마음에 따라서 수천명이 죽기도 하고 수만명이 죽기도 하는거죠
기업 하나 날리는게 굳이 이유까지나 있을까요 독재자의 기분에 달린거지
그냥 만만한놈 줘 패면 기업들한테 더 돈이 잘 걷힐것 같으니 그랬을것 같다는데 저도 동의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631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70500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7217 4
105307 [일반] 중고차 판매 및 구매 후기 (헤이딜러제로, 론데렌터카중고) 웅즈22 25/10/29 22 0
105306 [일반] 9박 11일 폴란드 여행기 Day 2-1. (data 주의, scroll 주의) [1] 강력세제 희드라613 25/10/28 613 1
105304 [일반] 아재가 본 체인소맨과 귀멸의 칼날 (약 스포) [34] theo3272 25/10/28 3272 2
105302 [일반] 런던베이글뮤지엄 직원 과로사 사건 [174] 롤격발매완료10550 25/10/28 10550 12
105301 [일반] 자고 일어나니 재벌그룹이 해체됨 [34] 신정상화9448 25/10/28 9448 19
105296 [일반] [주식] 콩고기의 난 [52] 깃털달린뱀7203 25/10/27 7203 5
105295 [일반] 유동성의 파티 끝에는 뭐가 있을까요 [83] Hydra이야기8197 25/10/27 8197 3
105291 [일반] 9박 11일 폴란드 여행기 Day 1. (data 주의, scroll 주의) [6] 강력세제 희드라2925 25/10/26 2925 11
105290 [일반] 2025년에 가장 많이 들은 일본노래 [6] Pika484870 25/10/26 4870 0
105289 [일반] 램 3~50% 가격 상승에도 추가 상승 전망 [69] SAS Tony Parker 8553 25/10/26 8553 1
105288 [일반] [팝송] 도자 캣 새 앨범 "Vie" [3] 김치찌개4036 25/10/26 4036 2
105286 [일반] 올해 5급 공채시험 수석/최연소 등 면면들 [46] 흰둥8262 25/10/25 8262 5
105285 [일반] 자동차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2029년부터 장착 의무화 [22] 굄성6845 25/10/25 6845 5
105284 [일반] 너무 늦게 쓰는 한달짜리 미국 여행기(스압) [15] 퀘이샤4180 25/10/25 4180 11
105280 [일반] 안녕하세요.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마르코입니다. [26] 마르코5712 25/10/25 5712 50
105277 [일반] 부고니아(지구를 지켜라 리메이크) 감상평 [6] 흰긴수염돌고래4216 25/10/25 4216 5
105276 [일반] 실생활에 체감될 듯한 '다크패턴' 규제정책 [23] 오컬트6164 25/10/25 6164 15
105274 [일반] 한국은 인재 보호가 가능하고 해외 주요 인력을 스카웃할 수 있을까? [105] 성야무인7392 25/10/24 7392 9
105273 [일반] 웹소설에서 생각나는 주인공과 인물들. ( 스포성 글들 주의 ) [12] 일월마가3709 25/10/24 3709 4
105272 [일반] 반도체 천조국 달성! [13] 삭제됨4557 25/10/24 45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