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6 13:30:41
Name SAS Tony Parker
Link #1 https://wccftech.com/now-may-be-the-best-time-to-buy-ddr5-and-ddr4-ram/
Subject [일반] 램 3~50% 가격 상승에도 추가 상승 전망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과 SK하이닉스 등 주요 DRAM 생산업체들은 현재 DRAM과 NAND 플래시 칩 생산량을 30%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빠르면 4분기부터 고객 견적에 반영 가능. 더 중요한 것은, '대형 DRAM 고객사'들이 2~3년치 DRAM 생산 라인을 예약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러한 수요는 전적으로 AI 열풍에서 비롯된 것

NVIDIA와 AMD 등에서 HBM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테크 대기업들의 맞춤형 AI 칩 솔루션 또한 급증하고 있기 때문. 따라서 DRAM 수요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음

DDR4 및 DDR5 메모리 모듈 가격 동향과 관련하여 DRAMeXchange는 몇 주 동안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힘 특히 DDR5 16GB 가격은 오늘 5% 상승. 소매 시장 상황도 비슷한데, G.Skill Trident Z5 Neo와 같은 최신 DDR5 RAM 모델은 단 한 달 만에 최대 40%까지 가격이 상승하여 Idealo.de에서 사상 최고가인 189.90유로를 기록. Amazon, Newegg 같은 소매업체들도 DDR5 메모리 가격을 꾸준히 인상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향후 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

현재 RAM 가격은 DRAM 가격 인상이 공급망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아 크게 상승한 것처럼 보이지 않을 수 있음. 하지만 마이크론, 삼성, SK하이닉스와 같은 주요 생산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 시장도 비슷한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큼. 따라서 메모리 업그레이드를 고려중이라면 3분기가 마지막 기회일 수 있음, 추세를 보면 2025년 4분기 이후부터는 소비자용 RAM 가격이 상당히 오를 ‘비싼 시기’가 될 것으로 예상

---
130으로 메인스트림 컴퓨터 맞추던 시기는 다 갔다고 봐야 타당한 해석일듯 싶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코우사카 호노카
25/10/26 13:32
수정 아이콘
광군제때 5080 접수하려고 기다리고 있는데
그냥 60시리즈 존버해야될까보군요 흑흑
SAS Tony Parker
25/10/26 13:34
수정 아이콘
광군제때 사놓고 안 보는게 나을수도 있습니다 크크
25/10/26 13:43
수정 아이콘
미치겠네.. 그래픽카드도 아직 단품으로 구하기 어려워 ssd값 비싸져, 이젠 램도.. 어느순간 메인보드도 H 중저가라인이 8-10만원에서 기본 16만원은 되야 하더만.. 애효
5070ti super 24G는 얼마나 할런지..
SAS Tony Parker
25/10/26 13:46
수정 아이콘
그냥 5080 지르고 지갑 닫으시는걸 추천...
신창섭
25/10/26 13:44
수정 아이콘
소비자 입장에서는 너무 비싸요긴 한데
기업 입장에서는 초초초초슈퍼사이클 시작일지도요
전 하닉 삼전 저번주에 더 샀습니다
디램/낸드가 비싸? 이거로 벌어서 부품 맞추면 된다
SAS Tony Parker
25/10/26 13:45
수정 아이콘
10만전자 45만닉스가 현실로...?
메르데카일일팔
25/10/26 13:53
수정 아이콘
이미 50만닉스..
SAS Tony Parker
25/10/26 14:05
수정 아이콘
51만 덜덜
25/10/26 13:51
수정 아이콘
요즘엔 게이밍용 컴퓨터 새로 맞추느니 그냥 저전력 노트북에서 지포스 나우로 클라우드 게이밍이나 돌릴까 하는 생각을 좀 하고 있긴 합니다.
퀘이샤
25/10/26 13:51
수정 아이콘
하이닉스 영업이익율보고 놀랬는데 더 놀라야하는건가요?
근데 저는 삼전몰빵인데 흑흑
SAS Tony Parker
25/10/26 14:06
수정 아이콘
둘이 대장주 아입니까 크크
메르데카일일팔
25/10/26 13:56
수정 아이콘
18년, 21년에 빅테크에 두번 당해서 이제 증설을 잘 해주질 않는데 HBM이 캐파를 마구 잡아먹고 있죠.
각종 부품가가 승천하다보니 다른데서 제조가 맞추느라 노트북 CPU 1위가 아직도 랩터레이크라더군요. 근데 이마저도 인상...
SAS Tony Parker
25/10/26 14:07
수정 아이콘
랩터 쓴거 겁나 많죠 진짜
닉네임을바꾸다
25/10/26 14:01
수정 아이콘
몇달전에 그냥 9800x3d+5080 64기가 구성을 풀소유로 메인보드도 어마 등해서 나름 비싸게 다 때려박았는데 크크...(500만이상)
SAS Tony Parker
25/10/26 14:08
수정 아이콘
플렉스 덜덜...
Myoi Mina
25/10/26 15:01
수정 아이콘
올 초 시스템 갈아엎은게 신의 한수가 될 줄은(하지만 5090은 웃돈주고 샀....ㅠㅠ)
나무위키
25/10/26 14:20
수정 아이콘
반붐온이죠
...And justice
25/10/26 14:39
수정 아이콘
서브컴에 ddr4 16기가 하나 더 달아줄까 하면서 메모리 가격 알아보고 경악했습니다
대충 4만원쯤 하지 않을까 싶었는데 13만원???
SAS Tony Parker
25/10/26 14:44
수정 아이콘
히히 어림없지

... ㅠㅠ
25/10/26 15:11
수정 아이콘
와 16마넌?? 돌았맨
25/10/26 17:38
수정 아이콘
제가 딱 2년전에 16기가 4만원 정도 주고 샀었던거 같은데 정말 후덜덜하네요
스터너
25/10/26 18: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와 이글 보면서 저도 똑같은 생각했는데 13만원?? 뭐지??
25/10/26 14:45
수정 아이콘
뭔 DDR5-5600 16G가 가격이 두배로;;;
SAS Tony Parker
25/10/26 14:48
수정 아이콘
램 곱버스 있으면 사고 싶어요 크크크
25/10/26 22:47
수정 아이콘
흐흐 곱버스는 인버스x2라는 뜻이라서 맥락상 레버리지라고 해야 맞는 표현입니다 크크크

실제로 존재하는 지 모르겠지만 램 선물이란게 있다면 진작샀으면 돈 벌었겠네요 크크크크
SAS Tony Parker
25/10/26 23:04
수정 아이콘
악 감사합니다 주식판 떠난지 2년이 넘어서 크크
50만원만 넣었어도 얼마일까..
25/10/26 18:18
수정 아이콘
두 달 전이랑 비교하는데 갑자기 두배로 뛰었네요
앵글로색슨족
25/10/26 15:17
수정 아이콘
지금이 저점? 미리 사놔야하나..
SAS Tony Parker
25/10/26 15:19
수정 아이콘
내년 1년은 그냥 우상향이지 싶습니다
25/10/26 15:18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까 3월에 알리 할인 행사에서 ddr5 32기가를 13만원에 샀네요.
그런데 지금은 20만원이 올랐네 띠용....
대신 같이 산 5070ti도 그때보다 20만원 내렸군요
감전주의
25/10/26 15:24
수정 아이콘
올해 초에 컴터 사면서 램64기가로 샀는데 역시 컴퓨터는 필요할 때 사는 걸로
25/10/26 15:24
수정 아이콘
130이면 글카 들어가는 엔트리급 겨우 맞추는 시대
SAS Tony Parker
25/10/26 15:25
수정 아이콘
5070TI가 120이라니
25/10/26 15:32
수정 아이콘
3080이 백만 언더였는데

채굴과 AI의 시대가 게이머를...
라라 안티포바
25/10/26 16:09
수정 아이콘
한가위 세일때 특가로 사둔게 32gb인데...메모리 미리 더 사두는게 나을려나요 ㅜㅜ
SAS Tony Parker
25/10/26 16:41
수정 아이콘
저라면 그냥 미리 사고 안 봅니다
탑클라우드
25/10/26 16:10
수정 아이콘
아... 연말에 노트북 바꿀 생각인데 영향이 있으려나...
25/10/26 16:33
수정 아이콘
광군제 때 서브컴 맞추려 했는데…
허저비
25/10/26 16:36
수정 아이콘
추석 전에 갑자기 (필요하지도 않은데) 램 업글에 꽃혀서 5600 32기가짜리 2개 구입했습니다.
이게 올해 한 가장 이득인 현물투자였을줄이야
SAS Tony Parker
25/10/26 16:41
수정 아이콘
크크크
25/10/26 16:43
수정 아이콘
윈도우 11때문에 업그레이드 할려고 했는데 포기 해야 겠네요 사실 11문제도 있지만 하드웨어 사양 요구가 높아서 업글 안되는 경향 강한데
내일로가는문
25/10/26 17:07
수정 아이콘
얼마전 본 추천견적에서 ddr5 5600 16x2 맞추는데 12만원 이었는데.. 지금은 30만원쯤 하더군요.
SAS Tony Parker
25/10/26 17:37
수정 아이콘
주식말고 램을 사야 크크크
25/10/26 17: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약 2년전에 990pro 4Tb를 38만원인가 주고 샀었는데 지금 보니까 오히려 더 비싸졌네요.
물론 그 당시에 메모리 자체도 정말 싼 가격에 나온거였긴 했지만 당시 커세어 밴전스 DDR5 5600 CL40 32G*2 를 직구로 18만원인가 주고 샀었는데 그 당시에 메모리 자체도 정말 싼 가격에 나온거였긴 했지만 성능 자체는 좀 낮은 축에 속하긴 하나 그래도 용량 생각하면 인플레가 어마무시 하네요.
SAS Tony Parker
25/10/26 17:37
수정 아이콘
잘 사신겁니다..
25/10/26 18:02
수정 아이콘
옛날엔 분명히 그때그떄 등락은 있어도 1년 지나면 가격 떨어지고 2년 지나면 가격 더 떨어지는게 정배였는데 요즘 PC시장은 그렇지 않네요.
메르데카일일팔
25/10/26 18:12
수정 아이콘
2년 전이면 가격도 저점인데 평소 같으면 서버용으로 갔을 꽤 좋은 녀석도 소비자 시장으로 흘러갔을 확률이 높습니다 크크
하아아아암
25/10/26 22:07
수정 아이콘
990Pro가 Gen4 끝판이라 Gen5 굳이 갈거 아님 여전히 현역이죠
다시마두장
25/10/26 18:05
수정 아이콘
얼마 전 컴퓨터 잘 모르는 사람이 인터넷 검색해서 170만원짜리 PC를 구입, 당연히 그래픽카드 포함된 PC인줄 알았으나 그게 아니었다...
라는 내용의 만화를 봤는데, 가격이 저러니 당연히 그렇게 생각할 수 있었겠구나 싶었습니다.
이제는 100만원 내외로 본체 견적을 맞추는 시절이 지나버린...
카바라스
25/10/26 18:32
수정 아이콘
삼전과 하이닉스를 매수하라
밥과글
25/10/26 18:34
수정 아이콘
메모리 반도체에서 분명히 삼전 하이닉스 투탑인데

아직도 하이닉스 주식 가격이 미국 마이크론 가격보다 싸다더군요..50만원인데도..

쫌 더 가려나??
덴드로븀
25/10/26 19:46
수정 아이콘
다음주에 이슈가 워낙 많긴 한데 일단 더 올라가도 이상하진 않을겁니다. 흐흐
노다메
25/10/26 18:56
수정 아이콘
삼성 사야되나요
호머심슨
25/10/26 19: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가격 상승 압박을 몇달간 알고도 밍기적거린 결과
더 후진것을 더 비싸게 사게 됐습니다
(떨이고 가격인상분도 있지만 그나마 폭등가는 아닌)
ai 수요 압박때문이라는데 ai 돌풍은 시작된지
오래 됐잖아요? btob 시장은 다른거 아니었어?눈물
25/10/26 19:42
수정 아이콘
8월에 이사갈 때 새컴을 살려고 했는데 왠지 이사가다가 떨어트리거나 박살나지 않을까 하고 컴터사는 걸 더 뒤로 미루었더니...
미친듯이 가격이 올라가길레 좀만 참아보자 하고 참으니까 더 오르더군요...
14tb하드가 27만원이었는데 지금 50만원 넘어가서 멘붕이 오더군요.... 진짜 나는 컴퓨터 살 때가 맨날 최고점에 사고 내가 사고나니까 귀신같이 가격이 쭉 빠지는걸 보와서 급하지 않아서 이번엔 더 버티어봤더니 도무지 안되겠더군요...
SAS Tony Parker
25/10/26 21:02
수정 아이콘
제가 그래서 8,8,12 3개 재작년 풀매수를...
25/10/26 22:19
수정 아이콘
2018년에도 비트코인 최고가에 컴퓨터 풀매수....
이번에도 똑같은 상황이니 기가차더군요... 8월도 비싸다고 생각했고 달러가 그 때 1300원이라 달러값 내려가면 사야지 했는데...
달러가 1400원이 고정이 되어버리니 이야... 이제라도 그냥 비싸도 사야되나...
SAS Tony Parker
25/10/26 23:04
수정 아이콘
엌..
그말싫
25/10/26 21:44
수정 아이콘
답은 콘솔이다
25/10/26 22:01
수정 아이콘
피시방은 점점 운영이 힘들겠어요
SAS Tony Parker
25/10/26 22:18
수정 아이콘
게임단 프차 PC방인 농심이나 T1, 수도권 지방 극소수 하이엔드 시설 피방 빼면 다 힘든 판국이라...
강원도
25/10/26 22:07
수정 아이콘
아싸 코덱스 레버리지 들어갔는데 주가 더 오르겠네요(?)
성야무인
25/10/26 23:44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은

주식할 거 아니라면

어쩌라구입니다.

제 경우에는 올해 128GB짜리 DDR4램의

AI용 연구용 PC를 올해 조립해서

(44코어 88스레드입니다)

그러려니 합니다.

제 입장에서는 DDR4를 하던지 DDR5를 하던지

연산할 때 뻗어버리지만 않으면 되는데요.

GPU파워가 중요해서

DDR4에서 DDR5로 가도 속도만 조금 느려질뿐

그러려니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603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7029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6949 4
105291 [일반] 9박 11일 폴란드 여행기 Day 1. (data 주의, scroll 주의) [2] 강력세제 희드라1053 25/10/26 1053 6
105290 [일반] 2025년에 가장 많이 들은 일본노래 [5] Pika483484 25/10/26 3484 0
105289 [일반] 램 3~50% 가격 상승에도 추가 상승 전망 [63] SAS Tony Parker 5728 25/10/26 5728 1
105288 [일반] [팝송] 도자 캣 새 앨범 "Vie" [3] 김치찌개3223 25/10/26 3223 2
105286 [일반] 올해 5급 공채시험 수석/최연소 등 면면들 [44] 흰둥7349 25/10/25 7349 5
105285 [일반] 자동차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2029년부터 장착 의무화 [21] 굄성6133 25/10/25 6133 5
105284 [일반] 너무 늦게 쓰는 한달짜리 미국 여행기(스압) [15] 퀘이샤3652 25/10/25 3652 9
105280 [일반] 안녕하세요.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마르코입니다. [22] 마르코5149 25/10/25 5149 44
105277 [일반] 부고니아(지구를 지켜라 리메이크) 감상평 [6] 흰긴수염돌고래3741 25/10/25 3741 5
105276 [일반] 실생활에 체감될 듯한 '다크패턴' 규제정책 [23] 오컬트5677 25/10/25 5677 15
105274 [일반] 한국은 인재 보호가 가능하고 해외 주요 인력을 스카웃할 수 있을까? [105] 성야무인6973 25/10/24 6973 9
105273 [일반] 웹소설에서 생각나는 주인공과 인물들. ( 스포성 글들 주의 ) [12] 일월마가3341 25/10/24 3341 4
105272 [일반] 반도체 천조국 달성! [13] 삭제됨4176 25/10/24 4176 0
105271 [일반] 이제는 아예 언급도 안되는 과거의 코스피 황제주이자 우량주 [52] 이게무슨소리5599 25/10/24 5599 0
105270 [일반] 재미있는 현대차그룹과 LG그룹의 시가총액 3위 경쟁.jpg [28] 시나브로3333 25/10/24 3333 0
105267 [일반] 인본주의와 개고기 [8] likepa2083 25/10/24 2083 15
105265 [일반] 추진중인 3차상법개정, 자사주소각 그리고 우선주 [37] 퀘이샤9003 25/10/23 9003 2
105263 [일반] 전공의도 근로자…대법 "40시간 초과근무 수당줘야" [193] 신정상화12519 25/10/22 12519 2
105262 [일반]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저지대 통합 [2] 계층방정4869 25/10/22 4869 5
105261 [일반] 강의 특성에 따라 4대문명이 달라진 이유 [29] VictoryFood10179 25/10/22 10179 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