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12 04:51
여기저기서 AI가 박사 수준이라고 하는데, 올림피아드 문제 좀 잘 푼다고 해서 "연구"를 잘 할 수 있는건 아니겠죠. 연구를 하려면 말씀하신 것처럼 모델, 가설, 혹은 문제 설정을 하는 것이 중요한데 LLM이 그걸 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니까요. 다만 문제 설정만 연구자가 제대로 해줄수 있으면 나머지는 LLM 딸깍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상 문제 설정 잘 못하는 박사 1인이었습니다. 크크
+ 25/09/12 08:44
초지능이 정말 나오면 사실상 전기밥만 멕여주면 안쉬고 연구하는 초일류 박사님들이 탄생하게 되는 것일까요?
아직은 AI가 비서 내지 분석관 같은 수준의 느낌이라서요
+ 25/09/12 09:00
저는 거의 매일 LLM을 업무 80퍼센트 정도는 쓰는데도, 박사급이라고는 전혀 상상할수 없는데 어떤 상황에 쓰시는건지 흥미롭군요... 저는 100년 동안 여기저기 학과 옮겨가며 1학년만 들은거 같은 학부생 느낌이 듭니다. (어쨌든 대단하긴 함)
LLM 딸깍 연구 생성까지는 현실화될 거라고 예상합니다. 더 큰 문제는 그다음 리뷰가 되겠습니다. 인간 피어 리뷰가 필요없을 정도로 신뢰가 생길 수준까지 갈 수 있을 것이냐? 는 아직은 결론을 내기 어려운 문제 같거든요. 생성이 가능해진다면 필연적으로 생길 수 있는 문제는 쓰레기 논문의 범람, 리뷰어 부족, 탑 저널 생산성 급감... 정도가 떠오르는군요. 소프트웨어 업계가 어느 정도 미리 겪고 있는것 같습니다.
25/09/12 06:08
두배 무거우면 두배의 힘이 필요하다
속도가 변하지 않으면 힘이 안든다 속도가 두배 빨리 변하게 하려면 힘도 두배가 필요하다. 뭔가 더 심오한게 있을수도 있겠지만 전 이 정도에서 만족합니다. f=ma에 대해서는 이정도만 이해하고 있어도 상대론이나 양자장론까지 공부하는데 큰 불편함은 없는것 같습니다.
+ 25/09/12 08:27
본질만 따지면 그게 맞죠. 저는 구체적인 추가 문제로 이게 어떻게 응용되는지를 보여주고 싶었는데...
새벽에 다 쓰기엔 너무 큰 주제였네요
+ 25/09/12 07:32
감각적으로 느끼는 힘, 질량, 가속도가 측정 가능한 물리량으로 그 관계가 정립됨.
관계속에서 물리량의 의미가 파악되고 결정이 됨.
+ 25/09/12 07:41
낙관적으로만 생각하면 AI 가 인간을 흉내내는 정도지 본질을 따라오진 못한다..라고 할수도 있지만, 그냥 연결성의 정도 문제가 아닌가..싶은 두려움, 기대가 더 크긴 하네요
+ 25/09/12 09:09
연결성의 정도...라고 표현하신 걸 제식대로 해석해보자면:
결국 모델이 지금보다 엄청 커지고, 데이터로 때려박으면 어떻게든 이해되지 않을까 인거 같은데요. 그런 데이터는 현실에 당장은 없다고 생각해서 저는 별로 두렵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댓글이 웃긴지, 왜 열받게 하는지 같은 정보는 얻기도 힘들고 텍스트로 표현 자체도 어렵습니다. 다른 예시로,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다들 전제하는 아이디어들도 있습니다. 학습할만한 텍스트 데이터도 많지 않고, 억지로 만들어서 주입한다고 쳐도 전체 세계의 전제조건 중에 극히 일부일 수밖에 없죠.
+ 25/09/12 08:27
마침 역학에 관련된 이야기가 나와서 질문 하나 드립니다.
학생들에게 일정한 속도로 물건을 끌면(가속도가 0이면) 힘도 0이다라는 것을 이해시키는 것이 어렵더라구요 왜 움직였는데 힘을 사용하지 않았냐구요 어떻게 하면 쉽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ㅠㅠ
+ 25/09/12 08:32
일단 현실세계에서는 마찰때문에 일정한 속도로 끌려해도힘을 써야합니다. 그것때문에 학생들이 본인들의 직관과 달라서 그러는듯 싶네요.
+ 25/09/12 08:36
선생님은 구체적인 문제 상황을 여러가지 세팅해주시고 학생 혼자 생각해보고 체크해주시는 게 좋죠.
그리고 설명할 때도 원인과 결과를 섞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가속도가 0이다는 관측 결과고 내가 상자를 끌었다는 인풋이죠. 여기서 끌었다는 표현이 저한테는 힘을 가했다로 읽힙니다. (아마 많은 학생들한테도) 이때 좀더 적절한 설명은 이거죠. 가속도가 0이라는 관측이 되는거보니, 내가 힘을 f 만큼 주더라도 어딘가에서 상쇄되는 힘을 주고 있구나!
+ 25/09/12 09:17
다른 방향의 힘인 마찰[력]이 작용하니까요. 예를 들어 마찰력이 더 작은 빙판길을 이야기하면서 마찰력이 작으면 힘이 덜 드는걸 설명해주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25/09/12 09:08
움직이는 물체는 운동량을 가진다
운동량을 가지는 물체의 운동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외부의 힘이 필요하다 외부의 힘을 받지 않는 물체의 운동 상태는 바뀌지 않는다 질량이 무거운 물체일 수록 물체의 운동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다 물체에 힘을 가하면 물체의 질량과 반비례해서 운동상태의 변화량이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F=ma 그래서 F=ma로 위의 문제들에 접근해볼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a는 뭔데? 나중 속도에서 처음 속도를 뺀 것을 둘 사이 시간차로 나눈 속도의 변화량.... 그래서 속도 문제도 풀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등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