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29 22:15:24
Name 일월마가
Subject [일반] 천마신교에서 마광수까지.
안녕하세요! 예전부터 오래걷기를 종종 해서 .. 광안리 바닷가를 후딱 걷고 왔는데 날씨가 참 덥습니다.

그나마 .. 다른 지역에 비하면 바닷가라 바람이 불면 좀 더 시원한 느낌이 들어서 좋네요. 후후...

오랫만의 글 치곤 제목이 좀 뜬금없긴 한데.. 글을 적은 걸 한번 보시다보면 왜 저렇게 제목을 선정했는지 .. 이해가 되실 겁니다.

원래는 다른 주제로 글을 적을 생각이었는데 명확한 답이 나올 것 같지도 않고...

마광수 교수의 책을 읽으면서 자게에 글을 적어보고 싶다는 필이 오더라구요.

POE를 달리고 싶다는 생각까지 억누를 정도로 말이죠. 한번 시작해 보겠습니다.

--------------------------------------------------------------------------------------------------------------------------- >>>

어릴 때부터 무채색 같은 삶을 살았다 보니 .. 제 자신이 참 매력이 없었습니다. 공부도 운동도 못하고.. 성격도 내성적이었지요.

전화기는 항상 조용하고..  저에게 먼저 만나자는 사람이 없고 제가 먼저 연락해야 약속을 잡고 만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어렸을 때는 타인의 인정이 절실하여 문제로 생각하지 않았지만.. 20대 후반부터 뭔가 잘못되었다는 마음이 확 들었습니다.

곰곰 생각해보면 내가 무엇을 욕망하고 추구하는지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었습니다. 나 자신의 색을 선명하게 한 적이 없었지요.

가족 포함 타인의 눈치만 잔뜩 보고 살다보니 .. 어디에 가도 있는든 없는듯 한 존재였죠.

그래서 문제를 인지한 후 .. 나의 색깔을 선명하게 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먼저 내가 무엇을 욕망하고 추구하는지 진지하게 들여다보고 타인에게 피해가지 않는 선에서 실천하는 게 답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 욕망을 인지한 계기는 무협지에서 시작되었고, 현재의 정착지는 故 마광수 교수입니다.  

--------------------------------------------------------------------------------------------------------------------------- >>>

저는 무협지를 구무협이 아닌 신무협으로 접했습니다. 그래서 여러 작품을 읽으면서 가장 뇌리에 남은 작품이...

<마도전생기>와 <천마를 삼켰다> 입니다.

두 작품 다 절대자의 위용을 제대로 보여줍니다. 다만 방식이 좀 다른게...

<천마를 삼켰다>의 천마 독고천은 무공을 통해 극의에 다다른 느낌이면 <마도전생기>의 주인공의 스승 천마 이천상은 ..

마(魔)로 도(道)의 극의에 다다른 절대자의 느낌을 풍깁니다.

이 두 존재를 통해 저는 무협에서 천마신교의 매력에 흠뻑 빠졌죠. 만약 현 시대에 천마신교가 존재한다면 .. 저는 이미 교인일 겁니다.

또한 역천(逆天)을 추구한다는 점이 좋습니다. 예전에 제 인생기를 PGR에 적었었는데 .. 어린 나이에 고통스럽게 지내다 보니...

세상이 원망스럽고 불태워 버리고 싶다는 마음이 가득했지요...

물론 지금은 좋은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고 마음이 더 크지만 .. 어렸을 때의 상처는 아직 마음 한켠에 남아있습니다.

그래서 하늘의 뜻을 거스르고 순리를 부정하는 逆天 이란 단어에 더 꽃히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 >>>

근데 왜 제목이 저런 식으로 정해졌냐 설명드리면 ... 최근에 마광수의 책을 봤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판매하는 책은 없고 부산에 있는 도서관 중에서도 일부 지점만 있더라구요.

그래서 3권 정도 찾아서 봤는데 ... 이분도 자신만의 逆天 을 추구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떤 분 말대로 시대가 받아들이지 못해 자신의 뜻을 펼치기 전에 꺾였다는 느낌이 들지만, 만약 지금 활동을 하셨더라도...

아시아 사람들의 관점으로 받아들기기 쉽지 않은 견해가 많습니다. ( 서양 사람들도 나라에 따라서는 쉽지 않을 듯 하네요. )

그럼에도 세상을 보는 관점에 대해선 일리있는 말들이 많았습니다.

일단 마 교수님의 책을 일부만 봤고 내용을 선명하게 기억하는 게 아니라서 ..

마 교수님의 어록 중에서 가장 정제된 말들을 조금만 적어보겠습니다. ( 어록이 너무 많네요 덜덜... )

--------------------------------------------------------------------------------------------------------------------------- >>>

1.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좋은 방법은 그때그때 즉흥적으로 사는 것이다.

2. 사랑은 너무 모호한 말이다. 조국에 대한 사랑, 애인에 대한 사랑 등의 말이 뒤섞여 쓰이기 때문이다.

3. 남녀간의 사랑을 가리키는 말로 가장 적합한 단어는 '성애'이다.

4. 아무리 정신적 사랑이라고 할지라도 사랑의 시작은 '상대방의 외모' 에 대한 관능적 경탄에서 온다.

5. 참된 사랑은 반드시 '육체의 언어'로만 표현된다. 말로만 하는 사랑은 결코 사랑이 아니다.

7. 연애는 언제나 피 튀기는 '심리전'의 양상을 띠고 있다.

8. 부모에 대한 일체의 원망이나 감사의 마음을 갖지 말아라.

9. 있는 그대로의 나 자신을 받아들여라.

10. 야한 본성에 충실하라. ( 도덕보다 본능, 정신보다 육체, 질서보다 자유, 전체보다 개인, 근검절약보다 사치 등등 )

--------------------------------------------------------------------------------------------------------------------------- >>>

그 외에도 어록이 많은데 매우 외설적인 표현이 많고.. 호불호가 강한 표현들이 넘쳐나서 이것까지 다 옮길려니 말이 장황해 질 것 같아..

이 정도로 할려고 합니다. 마 교수님의 책들을 읽으면서 지나치게 솔직하고 극단적인 표현들이 넘쳐나는 게 아닌가 싶지만...

시대를 깊이 고찰한 말들도 많더라구요. 특히 남녀간의 사랑/세상을 보는 관점은 곱씹어 볼만합니다.

이성보단 근원적인 욕망을 추구하는 지식인이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이런 사람이 나타날 수 있을지 ...

몇 세대가 지나면 모를까 쉽지 않을 것 같네요.

--------------------------------------------------------------------------------------------------------------------------- >>>

참 표현하고 싶은 말들이 많았는데 .. 막상 글을 적자니 다 까먹습니다. 이래서 자게의 무거움이 느껴집니다.

글 적는것도 일기를 통해 꾸준히 연습하곤 있지만.. 제 생각을 빼먹지 않고 다 적는다는 것은 아직 멀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꾸준히 적다 보면 언젠가는 제 생각을 글로 100% 다 표현할 때가 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날씨 더운데 더위먹지 않게, 냉방병 걸리지 않게 조심하시고.. ( 얼마전에 냉방병 걸려서 3일 고생했네요 덜덜... )

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See you again!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25/08/29 22:30
수정 아이콘
한국 문학은 마광수에게 윤동주라는 은혜를 입었고, 야(野)함에 관한 빚을 졌죠.
일월마가
25/08/29 22:44
수정 아이콘
네임드 분께서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영광입니다. 덜덜...
내일은주식왕
25/08/29 22:43
수정 아이콘
저도 마광수씨의 '야함' 개념이 정말 통찰력이 있다 느끼고 있습니다. 제가 추구하는 삶과도 일맥상통해서 호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산은 비가 오지 않나보군요. Poe2 잠컨 실패해서 센치한데 비와서 밖에도 못나가고 약간 우울하던 차에 재밌는 글 잘 읽었습니다. 종종 이야기 들려주세요 흐흐
일월마가
25/08/29 22:45
수정 아이콘
저는 2는 제 취향이 아니라 멀찍이 보기만 하고 1 스탠을 하고 있습니다. 전시즌에서 불순 KB 힘겹게 맞춰서 스탠에서 입맛에 맞게 변경해서 하고 있어요. 흐흐.
내일은주식왕
25/08/29 22:48
수정 아이콘
저도 재미는 1이 낫다 봐요 크크 1-스탠도 해보고 싶은데 시즌초에 반짝 즐기고 나면 손이 안가서 쉽지 않네요.
재밌는 pob생활 되시길.
짭뇨띠
25/08/29 22:57
수정 아이콘
마도전생기 언급이 반갑네요
삼국지에서 사실상 후반부 주인공 같았던 제갈량 죽은 후 시큰둥해져 삼국지 안읽었던 경험처럼
이천상이 초중반의 주인공을 하다 하늘로 돌아가시니 그 뒤 시큰둥해져서 놓았습니다
웹툰이 나쁘지 않아 그 뒷부분은 웹툰으로 느긋하게 기다리며 봐야지 맘 먹었네요

본문에 언급된 마교수의 말씀중에
4. 아무리 정신적 사랑이라고 할지라도 사랑의 시작은 '상대방의 외모' 에 대한 관능적 경탄에서 온다.
이 말은 여전히 가장 많이 회자되며 어느정도 진리로 자리잡힌게 아닐까 싶습니다.
저 말의 순서를 살짝 뒤바꿔 외모에 대한 관능적 경탄이 있으면 정신적 사랑도 생겨버리는게
우리 인간의 본능적/유전적 사랑 매커니즘 아닌가 싶어요.
일월마가
25/08/29 23:19
수정 아이콘
그 뒤로도 재미있긴 해요 보통 용두사미이지만 저 작품은 반대로 사두용미라 덜덜.. / 뒷말은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아무리 이성보는 눈을 낮춰볼려 해도 각자의 이상형이라는 게 존재하는 이상 최소한의 선이란 게 있으니깐요.
지구돌기
25/08/29 23:26
수정 아이콘
저도 마도전생기 보고 있는 중인데...
아직 본편을 다 못봤지만, 외전이 이천상 과거 이야기라고 해서 기대하고 있습니다.
짭뇨띠
25/08/29 23:43
수정 아이콘
오호 외전 좋은 소식이군요
Ashen One
25/08/29 23:40
수정 아이콘
탐험 리그부터 시작해서 PoE2나오면서 PoE 달리는 걸 드디어 멈췄습니다.
아틀라스 현지인인줄....
+ 25/08/30 00:20
수정 아이콘
혹시 다음 읽을 책을 찾고계신 분이 있다면 마광수의 “카타르시스란 무엇인가”를 강력 추천합니다. 교수님이 쓰는 글이 자기 복제적인 부분이 많아서 다 비슷비슷한데 이 책은 교수님의 생각/사상을 거의 핵심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마광수는 정말 범상치 않은 사람이었어요. 
책도 더 많이 쓰고 문화적인 활동도 더 많이 했어야 했는데 너무 아쉽게 가셨어요.
언젠가 신촌 구석의 술집에서 “마광수 팬클럽”이라는 명목의 자리에서 뵌 적이 있습니다. 소송 걸리고 동료 교수들에게 무시당하고 해서 무척 힘들어하셨던 시기였어요. 
오랜만에 책 꺼내서 다시 봐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2340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1130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4804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9962 4
104876 [일반] 천마신교에서 마광수까지. [11] 일월마가1408 25/08/29 1408 2
104875 [일반] [역사] 세계사 구조론 - 서세동점은 필연이었는가? [45] meson3947 25/08/29 3947 27
104873 [일반] 초간단한 목적론과 존재론 [94] 번개맞은씨앗6210 25/08/29 6210 0
104872 [일반] 검정고무신 2심 판결 "출판사, 이우영 작가 유족에 4000만원 손해배상" [7] 빼사스9562 25/08/28 9562 6
104871 [일반] 유명 데뷔곡들의 추억 [40] Poe5920 25/08/28 5920 5
104869 [일반] 의지란 무엇인가 [23] 번개맞은씨앗6373 25/08/27 6373 1
104868 [일반] "지금 나라 망하라고 고사 지내는 거냐" [203] 이그나티우스16225 25/08/27 16225 31
104866 [일반] 출생아 증가율 역대 최대, 결혼도 15년 만에 최대 늘었다 [76] 하이퍼나이프10297 25/08/27 10297 12
104864 [일반] 경제사색 : 가격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29] 번개맞은씨앗6225 25/08/26 6225 2
104863 [일반] 여름 끄트머리에 올리는 H1KEY '여름이었다' 커버 댄스 영상입니다. 메존일각4214 25/08/26 4214 12
104862 [일반] 표범이 나타났다 — 의미와 대립 [4] 번개맞은씨앗6014 25/08/26 6014 2
104859 [일반] [사용기] light phone 3 [14] 50b5631 25/08/26 5631 4
104857 [일반] 한국에서 로보택시는 운행될 수 있을까요? [39] 깃털달린뱀6149 25/08/26 6149 0
104855 [일반] 담배가격과 흡연구역은 적절한가?? [222] 다크드래곤10293 25/08/25 10293 2
104854 [일반] (댓글에 발표)올해도 하는 나스닥 종합지수 맞추기 이벤트 [138] 기다리다5015 25/08/25 5015 0
104853 [일반] 학교에서 배우지 않는 수학기초 2편 : 행렬핑퐁과 인공지능 [27] 번개맞은씨앗3573 25/08/25 3573 1
104850 [일반] 이따 KBS1 '월드1945 - 그때 지금이 시작되었다' 다큐 마지막 3부가 방송됩니다. [3] 시나브로6508 25/08/24 6508 2
104846 [일반] 철학적 사고를 하는 캐주얼한 방법 [7] 번개맞은씨앗3221 25/08/24 3221 8
104845 [일반] 야구랑 축구 보러 대구 여행 [6] 及時雨1788 25/08/24 1788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