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15 11:45:39
Name 문재인대통령
Subject [정치] 앞으로의 자산 시장
다들 돈 잘 벌고 계신가요?
전 운좋게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텐배거가 되면서
애기 과자값 조금 벌었습니다.

최근에 국내 주식시장이 좋았는데
앞으로 한국 부동산 주식 비트코인 미국주식
이 어떻게 흘러갈지 예상해보고자 합니다.

한국 부동산
지금 문재인 시즌2로 보일 만큼
대출 억제 정책으로 서울 부동산 폭등을 막고는 있죠.
그리고 최근 노란봉투법이니 머니 노조에 힘을 주는 정책과 노조를 자리에 앉히면서 노선을 확실히 보여줬는데요.
이번에 건설사 샷다 내리면서 사실상 앞으로 몇년간 공급은 아작나는게 확실해 보입니다.
또 정책기조가 민생 챙긴다고 돈뿌리는 정부다 보니 부동산 가격 오르는 이 속도는 더 빨라 질것 같아요.
지금 저는 구성남쪽 보고 있는데 서울에 가까운 정도로 부동산 값이 크게 오르지 않을까 합니다.
피지알 분들도 서울이나 서울 인근 부동산 좋은거 하나 나오면 사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 주식
윤석열 탄핵 이후 코스피 쭉 빼다가 쭉 올랐습니다
진짜 코로나시기처럼 아무거나 사도 거의 다 먹는 시장 이었어요. 근데 최근에 배당세금이나 소득세문제로 주춤하는데 사실 법만드는 민주당쪽 언니 오빠들이 이런걸 용납하는 분위기가 아니라 주춤하고 있죠.

제 생각엔 앞으로 다이나믹하게 오르는건 힘들거 같고 조선 방산 금융 이런애들도 많이 올라서 걍 3천 기준으로 횡보하지 않을까 싶어요. 이재명 지지율 더 떨어지면 더 드라이브 못할거고 잘못 매매하면 또 물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 일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하나만 들고 있고 나머지는 다 정리하고 현금 들고있습니다

비트코인
저는 코인은 잘 모르는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만 매마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최근에 좋았는데 흠.
매매만 하고 비트코인은 한달에 100만원정도만 매수중입니다. 요즘엔 어느정도 미국 차트랑 같이가는 느낌이라 포모올까봐 걍 빗코 홀딩만 합니다. 근데 시간지나면 제일 잘 나가있지 않을까 싶어요

미국주식
전 ISA로도 미국 투자 하는데 ace 미국 빅테크 탑7 이거 너무 좋아보입니다. 현재 8천 들어가있어요. 1억이 한도라 2천 더 넣어서 더 살 거고 개별주는 반도체 장비주식 그리고 GE베르노바 들고있습니다. 이거 계속 갈거 같아요. 진짜 무섭게 잘가네요!

다들 앞으로 자산시장 어찌보십니까
고견 부탁드립니다

나중에 피지알도 수익금이나 수익률 배틀하면 재밌늘거 같아요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na Inverse
25/08/15 12:00
수정 아이콘
운좋게 스톡옵션좀 받아서 세금도 성실히 내고 안팔았더니 하락장때 처맞고 아직도 회복을 못하고있네요 크크
그거 텐버거 노리면서 존버중입니다.
문재인대통령
25/08/15 12:06
수정 아이콘
전 회사에서 주식 받은고 세금 내는게 너무 아까워서 아예 매도 안하고 있습니다. 아니 사는것도 세금내는데 파는것도 세금내고 이게 이중과세 아닙니까? 죽을때까지 안팔고 버텨보려고요 ㅠ
기다리다
25/08/15 12:03
수정 아이콘
이번달에 찬찬히 주식 채권 그냥 다 정리했고 팔란티어 풋옵션만 가지고 있습니다
문재인대통령
25/08/15 12:07
수정 아이콘
전 현물만 하는디 고점이라 보시는군요
키작은나무
25/08/15 12: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부동산은 규제이전에 서울 매수를 했고, 주식은 얼마전에 한국장에 삼년넘게 물렸던거 최종 10퍼 정도 수익보고 털었습니다. 코스피 구조대가 다른분들도 많이 건져내주길 기대합니다.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안할 수 없는데, 집값이 오르는거에 대해 정부가 걱정하고 규제를 하는거는 이해가 됩니다. 저는 집이 어려워 정말 부모님에게 한푼 안받고 돈을 모았거든요. 취업하고도 십년은 월 삼십만원으로 식대와 용돈을 썼었어요. 힘들게 모아서 15년만에 집을 샀네요. 그 기간동안 집값 오르는거보며 별 생각을 다했었어요.
그런데 정부 정책이 너무 오락가락 합니다. 정권따라 달라질 수는 있다 생각하고 추구하는 바가 다른것도 충분히 이해하는데 부동산 정책이나 세금 정책 같이 서민들 삶과 인생의 계획에 큰 영향을 미치는것들은 정권과 상관없는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한다봅니다.
여 야 모두 이런 부분에 대해 국민을 대변해서 협의를 해야한다 보는데 서로 흠만 찾으려 바쁘니 나라차원의 거버넌스 정책이 없어도 너무 없단 생각이 드네요.
문재인대통령
25/08/15 12:28
수정 아이콘
진즉에 그런게 어느정도 합의 되었으면 좋을텐데...
그래서 정치가 어렵나봐요
슬래쉬
25/08/15 15:43
수정 아이콘
대단하십니다, 저는 사는건 잘하는데 파는걸 못해서 항상 최고점대비 엄청 낮은 수익률로 항상 판매 ㅠㅠ
25/08/15 12:31
수정 아이콘
작년에 계엄할 때 코스피에 조선 방산 뷰티에 몰빵해서 올 6월 말까지 전체 자산 대비 70% 수익을 냈습니다.
7월들어 섹터 순환매가 이어지면서 방산과 뷰티는 모두 현금화했고 조선은 여전히 들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의 1호 부동산 정책이 어떤 게 나오는지 보고 부동산에 대한 뷰를 정할 생각이고,
미국장과 코인은 숏, 국장은 약간의 우하향이라는 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트럼프가 아무리 유가를 찍어 눌러도 결국엔 인플레이션이 올 거라고 생각하고,
인플레이션이 지표로 확인되면 위험자산 선호도가 극도로 높은 현재의 시장에 발작이 올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때를 위해 현금을 담아둘 생각입니다.
호호할머니국밥
25/08/15 12:40
수정 아이콘
저는 몇가지 기준을 가지고 국장을 투자하고 있는데 작년 이맘때부터 비만치료제를 투자하고있습니다. 코스닥화이팅 힘내자!!
로하스
25/08/15 12: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코인만 하는데 미주쪽에서 팔란티어 얘기를 많이 들었어요. 좀 찾아보니 굉장한 회사라고 느껴져서 미주한다면 팔란티어 적립식 매수 생각 있구요.
그리고,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인 서클이 나스닥 상장후 대폭등하면서 코인쪽에서도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프로젝트들이 주목받고 있어서 저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프로젝트 유심히 지켜보고 있네요.
모링가
25/08/15 12:55
수정 아이콘
이더가 이번에 고점 찍고 비트도 전고점 수준인데 이걸 한번 털고 내려가면 사야될지 계속 들고 있어야 할지 참 초짜는 고민입니다
덴드로븀
25/08/15 13:20
수정 아이콘
30% 만 파는것도 방법입니다.
슬래쉬
25/08/15 14:48
수정 아이콘
팔면 다시 사지 말고, 살거면 팔지 말아야 합니다.
그게 현실적으로 가장 수익률 높은 방법입니다.
올라갔을때 팔고 내려올때 사면 되는거 아니냐? 하겠지만
미래를 모르는데 그걸 어떻게 맞추나요 흐흐흐
덴드로븀
25/08/15 13:22
수정 아이콘
역사적 고점 = 역사적 하락 가능성↑

이런저런 이유들로 미장의 폭락가능성이 1년내내 있었지만 결과는 파멸적 상승중이긴 하죠.

[무릎에 사서 어깨에 판다]

라는 말을 담아둘 필요가 있는 시기입니다.
25/08/15 13:49
수정 아이콘
어깨에 샀는데 키가 커서 허리에 팔아도 될뜻 싶습니다
사랑하는 오늘
25/08/15 13:45
수정 아이콘
두나무, 빗썸 주식과 함께 비트, 이더 가지고 있습니다.
연금계좌는 미국ai섹터 etf와 금etf 은etf 한국 배당액티브etf있구요.

기본적으로 미국이 돈풀려고 작정하고 있고, 암호화폐에 베팅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투자하고 있습니다.
Quantumwk
25/08/15 1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주식 장기예측은 안하는 스타일인데, 중단기적으로는 오를 여력이 크지는 않다 봅니다.
Tiny Kitten
25/08/15 14:03
수정 아이콘
저는 살짝 뽀록이긴 한데 K-POP을 EPL과 비교한 게시물을 보고 K-POP 포커스 ETF에 투자했는데 괜찮은 수익률을 보고 있네요.
시기에 맞게 케데헌이 터지면서 상승세를 이어가는 것 같은데 결말이 궁금합니다.

비트는 저축의 개념으로 모으고 있습니다.
인플레를 이길 수 있는 투자 수단이 너무 적은 것 같습니다.
특히 하루 하루에 집중해야 하는 여유 없는 직장인에겐 말이죠.
모두안녕
25/08/15 14:08
수정 아이콘
관세 인하가 9월에 시행될 것 같은데. 시장에 어떤영향일지 비트 이더 둘다 신고점 상황에서 무한긍정응은 위험해 보이니네요.
25/08/15 14:24
수정 아이콘
혹시 금리 인하를 말씀하시려던 거 아니었을까요.
모두안녕
+ 25/08/15 18:45
수정 아이콘
이 네 금리 인하가 밎습니다. 피월도내려올거같은데 8~9월중으로 근리 인하가 시작 될거같은데. 이것이 3개월 이상 인하가 될수 있는지는 좀 긴가민가 하더라고요
조랑말
25/08/15 14:16
수정 아이콘
서울 부동산은 계엄 직후 바로 갈아타기 매수했고, 부족한 자금을 끌어모으다보니 다른 투자포지션은 들어가 있지 않네요. 주식 상승장에 속이 조금 쓰렸지만 집값이 그거보단 올라줬으니 그러려니...

생애주기상 현금 들어갈 일이 당분간 있을거 같아 투자계획이 없긴한데 다른 고수분들의 고견을 보고 배워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여윳돈이 있어도 현금 들고 있을거 같긴합니다.
25/08/15 14:23
수정 아이콘
다른 부분은 잘 모르겠고, 한국 부동산과 한국 주식에 대한 전망에 상당부분 공감합니다.

한국 부동산은 6.27 정책 내놓을 때만 해도 이번에는 뭔가 좀 다르려나 하는 기대를 조금 가졌는데
그 이후 돌아가는 상황을 보니 문재인 시즌2를 넘어서 그 이상의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이미 시장은 문재인 정부 시기로 부터 규제에 익숙해져 있는데 6.27로 새롭고 강력한 규제를 내서 일시적으로 급격한 상승을 막고 시간을 번거까지는 좋았는데
한번의 규제가 너무 작동을 잘하고 있다고 오판을 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애초에 공급으로 가격을 잡을 생각은 없었던 건지 애매하던 차에
어제인가 그제인가 나온 임대주택만 일변도의 공급대책을 보면서 아 후자였구나 싶더군요. 
저같은 사람이 느낄 정도니 부동산 시장을 선도하는 사람들이 보기에 이미 판은 기울어 졌다고, 아니 사실 대선 전부터 예상하고 있었겠지요.
더구나 요즘 건설사들 때려잡는 걸 보면서 도저히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되더군요. 
차라리 부동산 가격 상승과 양극화를 심화시키기 위한 치밀한 계획이었다면 고개가 끄덕여질 행보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한국 주식도 삼프로 TV등에 나와서 했던 얘기들, 상법 개정 등과 어울려서
드디어 한국 주식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고 날개를 다나 싶었는데 세제 개편안을 보니 하... 조금 과장해서 대한민국은 이대로 무너지는가 싶더군요.

항상 그래도 새 정부가 들어서면 잘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아무리 마음에 들지 않는 정부라도 기대와 응원을 하는데
이번에는 실망이 예상보다 너무 빠릅니다. 
Quantumwk
25/08/15 14:29
수정 아이콘
이재명 자체는 나름 진심이 있다보는데 약점이 많아서 민주당내 세력의 청구서 무시를 못하는것 때문에 자산시장에 대해 오락가락하는 행보가 나타난다 봅니다
25/08/15 15:02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상황을 그렇게까지 모를 사람은 아닌거 같은데... 그런데 그렇다고 한들 중요한 것은 결과니까요. 
어쩌면 진정한 각자도생의 판이 열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Quantumwk
25/08/15 15: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재명 본인자체는 능력이 어느정도 있고 유연하고 합리적인 면이 있어서 잘할가능성은 충분히 보이는데 약점이 많어서 그런지 의외로 민주당내 세력에 흔들리는 느낌이 있습니다.

청구서들을 적당한 수준에서 컷을 할수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성패가 갈릴듯. 최근의 행보를 보면 솔직히 저도 그리 긍정적인 전망은 아닙니다.
Jedi Woon
25/08/15 14:28
수정 아이콘
장기적인 전망은 모르겠고 올해는 뭔가 오르락 내리락 왔다갔다 할 거 같네요.
저는 독일에서 투자 중인데 미국 지수 etf , 채권, 비트코인 6:2:2 비율 입니다. 그리고 그냥 묻어두는 의미로 양자컴 관련주에 소액 들어갔는데 의외로 잘 오르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 현금도 쟁여두고 있는데 4월 처럼 떨어지는 시기가 오면 절반 정도 매도하고 추가 매수 들어가려고 합니다.
Pelicans
25/08/15 14:47
수정 아이콘
정권교체하자마자 코덱스 담아서 살림 좀 나아졌습니다
마라떡보끼
25/08/15 15:08
수정 아이콘
내년 결혼을 앞두고 있는데 정권 바뀌고 난 이후에 주식으로 돈좀 벌어서 다행입니다 계속 상승하다가 최근에 주춤하고 있긴 한데 조금 더 오를거라고 생각해서 더 기다리려고요
+ 25/08/15 19:35
수정 아이콘
미장만 하는데 더 오르기는 쉽지 않을거라 조정 한 번 살짝 오는거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관세 영향 인플레와 파월의 소극적인 금리인하 시그널 맞물려서 한 번 기회가 오지 않을까 싶어요. 폭락장은 아마 금리인하 시기가 조금 지나고 내년 중간선거 이후 예상해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041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09768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3383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8133 4
104764 [정치] 윤석열 1차구속 당시 휴대폰 반입 [31] Croove3984 25/08/15 3984 0
104763 [정치] 국힘 청년 최고위원 후보 "연해주를 합병하고 군대를 주둔시키겠다" [40] 깃털달린뱀3904 25/08/15 3904 0
104762 [정치] 펀쿨섹좌, 고이즈미 日농림상, 야스쿠니신사 참배. (한국에서 현충원 참배후) [26] 코로나시즌4032 25/08/15 4032 0
104761 [정치] 앞으로의 자산 시장 [30] 문재인대통령4204 25/08/15 4204 0
104758 [정치] 전당대회 중 탄찬 향해 '배신자' 전한길, 제명 거론되었지만 경고. 친윤 후보들은 적극구애 [53] 린버크6242 25/08/15 6242 0
104756 [정치] 이해찬 전 대표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었던 사진. [52] petrus6191 25/08/15 6191 0
104754 [정치] 김건희 "남편과 다시 살수 있을까" [24] 빼사스4378 25/08/15 4378 0
104752 [정치] 특검, 한학자 통일교 총재 금고서 관봉 등 수백억 현금 뭉치 발견 [49] 크레토스8741 25/08/14 8741 0
104751 [정치]  신동욱 "특검, 눈에 뵈는 게 없다…통일교가 반국가단체인가" [74] 기찻길9584 25/08/14 9584 0
104750 [정치] 이 대통령 "위안부 피해자 분들 명예·존엄 회복 위해 총력 다할 것" [178] petrus9309 25/08/14 9309 0
104745 [정치] 미래사회에 중국이 좀 더 유리한 이유 [59] 깐부7312 25/08/13 7312 0
104744 [정치] 이 대통령, 교육부 장관에 최교진·여가부 장관에 원민경 지명 [83] 윤석열8902 25/08/13 8902 0
104742 [정치] 흥미로운 서희건설 가(家)(feat. 김건희) [27] lightstone6308 25/08/13 6308 0
104739 [정치] 김건희 구속 [260] 빼사스16714 25/08/13 16714 0
104737 [정치] 양안 전쟁 시 대만 파병, 국민 60%가 반대하고 20대는 파병찬성여론이 더 높아(여론조사 꽃) [264] 베라히12292 25/08/12 12292 0
104735 [정치] 난항으로 빠져드는 가덕도 신공항 [74] 깃털달린뱀11128 25/08/12 11128 0
104734 [정치] 최근 산재로 말 많았던 포스코이앤씨가 결국 압수수색을 받고 있네요. [79] 사조참치9182 25/08/12 9182 0
104732 [정치] 전당대회 때부터 구도를 보면 이재명 VS 문재인&김어준&정청래 구도 같네요. [189] petrus9323 25/08/12 9323 0
104730 [정치] 서희건설에서 김건희로, 서서히 맞춰지는 조각들 [66] 빼사스8884 25/08/11 88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