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11 12:01:22
Name vasdesd
Subject [일반] 전설의 박승동 복행렬 사건의 진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인강계의 전설적인 사건 중 하나로 꼽히는 박승동 복행렬 사건을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먼저 ‘전설의 복행렬 사건’부터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박승동 강의를 듣던 한 학생의 질문에서 시작됩니다. 질문 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https://mlbpark.donga.com/mlbpark/b.php?b=bullpen2&id=1956747)

 
—------------------------------------------------------------------------------------------------------------------

전문: 



수험생 : 일단 AB가 단위행렬 이라면 BA도 단위행렬 이라는 것을 성립함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식은 AB=BA=E 라는 식이 성립함이지요 그런데 이런 명제가 하나 있습니다. (A+B)(C+D)=E 에서 C+D의 역행렬은 A+B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명제는 거짓입니다. 같은 행렬 곱하기 행렬이고 그 괄호 안에 덧셈이라는 연산만 더 해줄뿐인데 위에 식은 맞고 아래식은 틀립니다. 일단 여기서 (C+D)(A+B)=E 라는 것은 성립하지 않기 떄문에 역행렬이 아니라는데요 제가 듣기론 행렬 A+B=a C+D=b 라고 치환해서 계산할수 없을 뿐더러, 복행렬 때문이라고도 하는데요 복행렬이 도대체 뭔가요? 그리고 저 두 식의 차이점이 뭔가요? 정말 궁금합니다 ~! 



박승동 : 안녕하세요. 수리영역 박승동 입니다. 죄송합니다. 저의 강의 수강내용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임의로 아무 학생의 것을 다 답변드리지 못함을 용서 하세요, 죄송합니다. 아닙니다. 어디서 이상한 것을 배운 것으로 보입니다. 복행렬이 무엇인지요? 그런 것은 처음 듣습니다. 바르게 학습 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다시 수험생 : 선생님의 수강학생이 아니라서 답변을 못 달아주셔도 됩니다. 다만 제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저번에 제가 물어봤던 그 명제 A(A+B)=E 일때 (A+B)의 역행렬은 A이다. 이건 거짓입니다. 근데 선생님은 당연히 참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때 물어볼 때 복행렬도 모르시더군요. A(A+B)=E 일때 A는 단행렬 이라고 하고 A+B는 복행렬 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A(A+B)=E 일때 A+B의 역행렬은 A 이다. 이거 거짓입니다. A(A+B)= A^2+AB=E 라고 해봅시다 (A+B)A= A^2+BA 인데요 AB=BA가 같다는 조건도 없는데 저거의 교환법칙이 성립한다고 보십니까? 반례 하나 세워드리고 싶습니다만 좀 쉽지가 않습니다. 찾으면 다음에 꼭 보여드리겠습니다;; 전 이상한것을 배워온것이 아닙니다. 아마 바르게 다시 행렬을 학습하셔야 할 분은 선생님인거 같습니다. 참고로 제 수학스승님은 서울대 경영학과 89학번 박기원 수학선생님 이시고요. 선생님이 고등학생떄 수학공부 하실때 책 이름이 수학의 왕도였나? 동경대 수학교수가 쓴 책에서 저것을 봤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강력히 주장하시는 겁니다. 참고로 제 선생님이 서울대 수학과 교수님 한테 확실히 알기 위해 작년에 물어본겁니다. 


다시 박승동: 안녕하세요. 수리영역 박승동 입니다. 참 이상한 학생입니다. 바르게 공부하세요, 어디서 이상한 것을 배웠는지는 모르겠지만 수학을 전공한 시람과 비전공자의 확인도 안된 이상한 정보를 믿는지요? 더 이상의 답변의 가치가 없어 보입니다. 학생이 잘 모르고 있는 것은 E 라고 하는 단위행렬의 정의 그리고 역행렬의 정의 입니다. 복행렬이라고 하는 것은 있지도 않습니다. 어디서 그런 것을 배웠는지 좀 이상 합니다. 경영학을 전공한 사람이 수학을 전공한 사람과 비교가 되는지요? 정신차리고 공부하세요. 나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학과 79학번이고 수석 졸업생 입니다. 경영학교 졸업생의 그 이상한 것을 믿는 학생이 안타깝습니다. 어떻게 그런 이상한 말도 안되는 것을 믿는지요? 그분이 눈이 3개인 사람이 정상이다라고 하면 믿을 학생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사건의 요약은 이렇습니다.
행렬을 공부하던 학생이 다소 황당한 질문을 합니다.

(A+B)(C+D) = E일 때, (A+B)의 역행렬이 (C+D)가 아니라는 것

학생은 스스로도 이 질문이 단순치 않다는 것을 아는 듯, A+B=a, C+D=b로 치환하면 문제가 쉽게 풀린다고 언급합니다. 하지만 곧바로 “그렇게 풀면 안 된다, 이유는 복행렬 때문”이라며 복행렬이 무엇인지 묻습니다. 박승동은 이 질문을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학생은 계속 집요하게 파고들며 오히려 “복행렬도 모르냐”는 식으로 시비(?)를 겁니다. 결국 박승동은 “대답할 가치가 없다”며 답변을 마칩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학생이 수학적으로 엉터리 주장을 한 것은 분명하지만, ‘복행렬’이라는 정체불명의 용어는 어디서 나온 것일까요? 학생이 단순히 지어낸 것 같지는 않고, 어딘가에서 들은 것을 확신에 차서 말한 듯합니다. 학생의 말에 따르면, 서울대 경영학과 89학번 박기원 선생님에게 배웠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박기원 선생님이 잘못 가르친 것일까요? 아니면 학생이 오해한 것일까요? 이 사건 이후 많은 사람들이 ‘복행렬’ 논쟁의 미스터리를 풀려고 했지만, 아직 명확한 결론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저는 이번에 이 의문을 풀어보려 합니다.


—--------------------------------------------------------------------------------------------------------------


먼저, 학생이 주장한 내용 중 “A(A+B)=E이면 AB=BA가 항상 성립하지 않는다”는 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이 주장은 틀렸습니다.

실제로 A(A+B)=E이면, A^{-1}=A+B 이고, B=A^{-1}−A 입니다. 따라서  AB = A(A^{-1} - A) = E - A^2, BA = (A^{-1} - A)A = E - A^2, 이므로 AB=BA가 항상 성립합니다.
즉, 학생의 주장은 수학적으로 완전히 틀렸고, 박승동이 맞습니다.


—--------------------------------------------------------------------------------------------------------------


이제 본격적으로 ‘복행렬’의 정체를 추적해 보겠습니다.

‘복행렬’은 한자로 ‘複行列’이며, 일본어에서 bimatrix를 뜻하는 표현입니다.
수학에서 ‘bimatrix’라는 용어는 크게 두 가지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Bimatrix game – 게임이론에서 사용

Sylvester bimatrix equation – 행렬 방정식의 한 종류

정황상 이 사건에서 말한 복행렬은 ‘bimatrix game’이 아니라 ‘Sylvester bimatrix equation’일 가능성이 큽니다.

일반적으로 Sylvester equation은 다음과 같습니다.

AX+XB=C

여기서 A,B,C는 n×n 행렬입니다.
A와 −B의 고유값이 겹치지 않으면 해 X가 유일하게 존재하지만, 고유값이 겹치면 해가 없거나 무수히 많아집니다.

이 식은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습니다.

(I⊗A+B^T⊗I) vec(X)=vec(C)

여기서 ⊗는 크로네커 곱, vec()는 행렬을 1차원 벡터로 펴는 연산입니다.

아마 학생은 이 방정식의 표기법(⊗,vec)을 무시하고,

(A+B)X=C

꼴로 단순화해서 생각했을 수 있습니다. 특히 C=I인 경우

(A+B)X=I

가 되는데, 이를 “(A+B)의 역행렬이 항상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식으로 잘못 이해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학생은 기초 선형대수학 지식 없이,

“AX=I는 X=A^{-1}로 풀리지만, (A+B)X=I는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A+B)가 복행렬이기 때문이다.”
라고 오해한 것으로 보입니다.

좀 더 개연성 있는 추측을 해 보자면, 학생의 스승이 “AX+XB=I 같은 형태는 유일한 해가 항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설명하려다, 학생이 이를 ‘(A+B)의 역행렬이 없다’는 식으로 곡해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Sylvester equation은 학부 선형대수학에서 다루지 않고, 대학원 수준의 행렬해석학(matrix analysis)이나 제어이론(control theory)에서 등장하는 주제여서 대부분의 전공자들도 처음 들어보는 개념일 것입니다. 학생의 스승이 경영학과 출신이라고 했는데, 만약 계량경영학(operations research)이나 제어이론을 공부했다면 Sylvester equation을 접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를 제자에게 설명하는 과정에서 ‘복행렬’이라는 단어가 전해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추측을 해 봅니다.

—----------------------------------------------------------------------------------------------


결국 복행렬, 정확히 말하면 bimatrix는 라는 개념은 존재했습니다. 다만, 그 모습은 학생이 주장한 것처럼 (A+B)같은 금단의 역행렬이 아니라, Sylvester equation이라는 행렬방정식 속에 조용히 숨어 있던 개념이었죠. 즉, 학생이 들고 나온 ‘복행렬’은 원본과는 판이하게 왜곡된 형태였지만, 그 뿌리는 실제 수학 속에 존재했던 셈입니다. 다만 학생의 오해로 인해, 원래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정체불명의 개념으로 재탄생 해버렸던 것이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ewDIctionary
25/08/11 12:08
수정 아이콘
박승동 선생님.. 잘 계시려나요 지피지기 듣고 덕분에 수능 잘봤었는데
매번같은
25/08/11 12:32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TV-mt3in
유튜브에서 꾸준히 활동하시고 계시네요. 꺼무위키에 따르면 개념상상학원이라는 곳에 출강하시고 있으시다고.
25/08/11 13:17
수정 아이콘
유튜브 보시면 아직도 수리논술문제 해설하고 있습니다 크크크크
25/08/11 15:09
수정 아이콘
전 EBS로 박승동 선생님 강의 들으면서 공부했어요!
어제만난슈팅스타
25/08/11 12:32
수정 아이콘
아... 완벽히 이해했어!
아니에스
25/08/11 13:12
수정 아이콘
저도 완벽히 이해했어요!
모링가
25/08/11 12:42
수정 아이콘
박승동과 복행렬씨가 맞짱뜬줄 알았네요 사람 이름인 줄 
자가타이칸
25/08/11 14:11
수정 아이콘
(2)
25/08/11 13:05
수정 아이콘
논문을 좀 찾아보니 sylvester bimatrix equation 등에서 말하는 bimatrix는 행렬 A랑 B가 있으면 {A, B}x = Ax +B*x*가 나오는 mapping을 bimatrix {A, B}로 정의하는 것 같습니다. Sylvester eqaution 자체는 bimatrix랑 아무 상관이 없고 다만 해당 방정식의 bimatrix 버전이 있을 뿐입니다. 저 학생이 주장하는 bimatrix는 어디서 튀어나온 건지 알기 어렵네요.
25/08/11 13:35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bimatrix form의 개념이 2017년 논문[1]에서 처음나온 내용이라서 학생이 주장한 bimatrix는 아닌것 같고 단순하게 행렬이 2개(A,B)인 방정식이라서 bimatrix equation이라고 칭한것 같습니다. 정확한 유래는 저도 알수가 없지만요.

[1] https://arxiv.org/pdf/1708.05120
스트롱제로
25/08/11 14:35
수정 아이콘
전 이거 보니 김기훈 추가보어 사건이 생각나네요

도대체 언제적...크크
윤석열
25/08/11 15:41
수정 아이콘
꼬마산적
25/08/11 16:12
수정 아이콘
뭐라는거야??!!!
25/08/11 22:02
수정 아이콘
박승동 수업듣고 수리 1등급 맞은 1인

언제나 감사합니다. 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996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0941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307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7691 4
104731 [일반] 트럼프 "워싱턴DC 경찰 직접 통제…주방위군도 투입" [9] 유머1526 25/08/12 1526 0
104728 [일반] 국전? 홍대? 아니 씹덕은 원래 용산이었다....(사진다량 스압주의) [26] 웃어른공격4271 25/08/11 4271 10
104727 [일반] 전설의 박승동 복행렬 사건의 진실 [14] vasdesd5923 25/08/11 5923 0
104726 [일반] 사회면으로 확산되는 일본 고교야구 폭행 사건 [31] 간옹손건미축7038 25/08/11 7038 2
104725 [일반] [리뷰] 좀비딸(2025) – 치매에 걸린 딸을 바라보는 아빠의 시선 (스포있음) [38] Eternity5548 25/08/10 5548 7
104723 [일반] "WTO 종식" 선언 - USTR 제이미슨 그리어의 NYT 기고 [28] 스폰지뚱6705 25/08/10 6705 5
104722 [일반] 여름을 그리는 밴드 요루시카 ('전생' 후기 및 추천곡들) [13] 대장햄토리2990 25/08/10 2990 3
104721 [일반] [서평]성숙의 보류, 해리·회피 애착으로 보는 《새의 선물》 [3] 계층방정3165 25/08/10 3165 5
104720 [일반] 가난했던 합스부르크는 어떻게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되었나 [2] 식별3669 25/08/10 3669 9
104718 [일반] <발레리나> - 살짝의 변주, 호불호도 한스푼. (노스포) [12] aDayInTheLife4567 25/08/09 4567 1
104717 [일반] 조스의 등지느러미 출현 : 스티븐 미란이 연준 이사에 지명 [17] 스폰지뚱7031 25/08/09 7031 4
104716 [일반] [강스포] '발레리나' 후기 [9] 가위바위보6874 25/08/08 6874 3
104714 [일반] [방산] 호주 호위함 사업은 일본이 가져갑니다. AUKUS & KGGB [26] 어강됴리7860 25/08/08 7860 3
104710 [일반] AI 활용에 대하여 : 분석, 평론, 질문, 이해, 연결 [7] 번개맞은씨앗1750 25/08/08 1750 4
104708 [일반] 미국 데이트 정보 앱 TEA 해킹 인것 같은 사건. [9] 카미트리아3703 25/08/08 3703 2
104706 [일반] 일본 결정사에 한국남성 급증.. 8000명이상.. [61] 타바스코8803 25/08/07 8803 1
104704 [일반] LLM을 통해 여러 인격의 통합으로서의 의식 생성에 대한 작은 실험 [5] 일반상대성이론3652 25/08/07 3652 3
104703 [일반] 연준은 9월에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까?(feat. 스테그플레이션의 딜레마) [32] Eternity4603 25/08/07 4603 2
104702 [일반] 화웨이의 소름돋는 정체: 기술 기업을 넘어선 '군산 복합체'의 실체 [9] 스폰지뚱5413 25/08/07 5413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