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13 23:10:41
Name 정대만
Subject [정치] 이재명정부에서 첫 여성 병무청장이 나왔네요 (수정됨)
이 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선…'여성 최초' 병무청장 홍소영

”이재명 대통령이 신임 법제처장으로 조원철 변호사, 신임 병무청장으로 홍소영 대전·충남지방병무청장을 임명하는 등 열두 명의 차관급 인선을 발표했습니다.“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54293

위 내용처럼 첫 여성 병무청장이 탄생했는데요.

물론 법적으로 여성이라고 해서 병무청장을 못 맡을 이유는 없다는 건 알지만, 솔직히 말하면 저는 좀 낯설고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병무청이라는 조직 자체가 군과 밀접한 관계에 있고, 병역 문제는 지금까지 거의 전적으로 남성의 영역이었잖아요.

물론 이게 제가 편견에 젖어 있어서 그런 건 아닌가, 스스로도 고민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병역 제도를 몸소 경험해본 적 없는 사람이 그 시스템을 총괄하는 자리에 있다는 점에서 조금 불안한 마음도 듭니다.

이런 생각 자체가 구시대적인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owasama
25/07/13 23:13
수정 아이콘
원래부터 지방병무청장을 하시던 분이면 큰 문제 없지 않나 싶습니다.
lightstone
25/07/13 23:18
수정 아이콘
병무청은 대표적인 여초 관공서이다. 2021년 기준으로 재직 중인 공무원의 57.1%가 여성이다.
25/07/14 09:43
수정 아이콘
그냥 단순하게 병무청 - 군대 - 남자 이렇게만 생각했었는데, 의외네요.
류지나
25/07/13 23:19
수정 아이콘
윗 댓글에도 있지만, 오히려 병무청은 여초 공직이라... 전혀 어색하지가 않습니다.
정대만
25/07/13 23:24
수정 아이콘
여가부장관 남자가 맡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었는데 병무청 경우는 제가 잘못 이해한 거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네모필라
25/07/14 10:31
수정 아이콘
다만 징병대상 입장에선 여초라 더 화가나는(...) 경우도 있는지라 결국 잘해야된다는 말 밖에...
닉네임을바꾸다
25/07/13 23:27
수정 아이콘
내부 조직에서 승진으로 병무청장이 된게 2번뿐이라더군요 대부분은 군 장성급이 퇴직하고 오는 자리였고...
25/07/13 23:36
수정 아이콘
만약 여성도 병역의 의무를 져야 한다면 그 업무는 주로 사무일 가능성이 높고 그게 바로 병무청이 하는 일이죠.
그냥적어봄
25/07/13 23:40
수정 아이콘
남여 이전에 어떤 소시오패스를 앉히는게 솔직히 제일 좋은 조직일꺼에요. 현역 징병률 백프로를 목표로 가차없이 가야하는데 군대 실상따위를 알아봤자 어떤 도움이 될까요
유료도로당
25/07/13 23:43
수정 아이콘
웬 여성 병무청장인가 했더니 1988년에 병무청 7급으로 입직해서 병무청에서만 37년동안 근무한 찐 병무청 행정관료네요. 저정도 스펙이면 뭐 할만하다 싶습니다. 퇴직 장성 자리 하나 만들어주는 식으로 꽂는것보다 더 나을지도요.
하이퍼나이프
25/07/13 23:56
수정 아이콘
37년이면 웬만큼 병역 제도를 몸소 겪은 분들보다 병무청 업무에 대해서는 훨씬 전문가라고 봐야하지 않나 싶네요
조랑말
25/07/14 00:53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7급이면 바닥부터 다져오신 분이고, 보도에 따르면 평도 대단히 좋으시네요.
+ 25/07/14 11:28
수정 아이콘
이력 확실하네요. 이런 분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안된다면 그게 더 차별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클레멘티아
25/07/13 23: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솔직하자면 굳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내부 조직 승진 자체는 이해가 갑니다만,
다른 분들도 충분히 있을텐데요.

누군가의 지시를 받아 하는 관료의 역할과
누군가에게 지시를 하는 장의 역할은 다르며
특히 그 지시를 받는 대상을 충분히 이해해야 할텐데

군대를 겪지 않은 사람이
군인을 관리하는 병무청장이 되는건..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봐야겠죠.
25/07/13 23:48
수정 아이콘
내부 조직에서 승급한거라 더 의미있다고 봅니다.
방구차야
25/07/14 00:06
수정 아이콘
행적적 기능적 역할만을 본다면 큰 문제될게 없겠으나
남성만 징병되는 군대문제에서 실제 징병절차를 진행하는 기관의 장이 군대를 안간 여성이라는 것에 대한 괴리감은 이해할만 합니다.

아직 가족관계에 대해선 알지못하는데 아들을 군대보낸(보내야할) 어머니의 입장이라면 징병체제를 담당하는 공감대에 대해선 포괄되는 면이 있습니다.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여성징병에 상황에서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컷해야한다고는 볼수없고
상징적일수 있는 보직에 대한 기능적 역할을 넘어 어떤 개인적 요건이 있느냐를 집어볼필요는 있습니다.

아들을 군에 보낸 어머니의 심정이 병무청장의 요건에 부족하다 할수 없고
무조건 기존처럼 장성출신이어야 한다는 것도 구태연연한거죠. 장성은 오히려 사병으로 징병되본적 없는 주체기도 해서...

그마저도 아니라면 좀 실망스런 인사인건 맞습니다. (혹은 아들이 면제라거나..)

결혼하지도 자식을 낳거나 길러보지도 않고 단지 정치만 잘하면 된다는 이유로 뽑았다가 밥상뒤집어진 사례를 몇번 경험하다보니..
대통령이야 하나의 요건뿐 아니라 다층적인 요건을 핑계로 덮고갔는데도 결국 쪽박이 깨졌는데
포커스된 기능적 역할만을 부여하기엔 병무청은 민감한 부처인것도 사실입니다.
강나라
25/07/14 00:08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이 안되는 임명이라고 생각합니다. 병역 의무를 부과하고 병역 대상자를 관리하는 기관의 장이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사람이라뇨. 최소한 여군 출신이라면 모를까요.
망고베리
25/07/14 00:11
수정 아이콘
강나라님꼐서는 문민통제도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하시나봐요
아우구스티너헬
25/07/14 06:09
수정 아이콘
병무청은 군의 전투 전문성이 불필요한 그냥 행정조직입니다. 병역대상을 관리히는데 군인이어야 할 이유가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살려야한다
25/07/14 08:19
수정 아이콘
역시 군 통수권자도 군인 출신이 해야죠
포도씨
25/07/14 08: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애낳아야만 산부인과의사 할수있게 합시다!
운칠기삼
+ 25/07/14 11:22
수정 아이콘
이분 병무청이 무슨 업무하는지 모르시는거 같은데....
한방에발할라
25/07/14 00:09
수정 아이콘
병무청은 커녕 국군통수권자를 미필 여성 미필로 잘만 뽑아놓고 이제 와서 여성이 어쩌고 하는 사람들은 참 투명하다 싶네요. 당장 오늘만 해도 나무위키를 근거로 신나게 떡밥 굴리던 모 사이트가 떠오르네요
기억의파편
25/07/14 00:14
수정 아이콘
누가 뽑히든 쓰레기같은 기준으로 징병하는 현 상황만 타개해준다면 상관없습니다.
조랑말
25/07/14 00:24
수정 아이콘
실무적인 좋은 인사로 보이나, 병역 관련 이슈가 있을 때 더 욕먹을 수 있겠네요(징집률 상승...은 더 할 곳이 없을거고?).

이러니저러니 징병에 있어 이재명정부가 양성평등적 정책을 펴기는 어려울거고, 환자들도 다 끌고가는 과도한 징병문화라도 개선해줬으면 합니다.

위 댓글 중 '남성은 징집되어서 37년 근무 못함' 은 아프네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4 00:33
수정 아이콘
흠 37년이면 아프고 34년이면 안아플까요? 6방이었다면 36년인데 이것도 안아팠을지... 저분이 3년 늦게 들어가서 경력이 34년이었다면 그래도 아팠을지 궁금합니다요
조랑말
25/07/14 00:42
수정 아이콘
근속년수의 한계가 정해져 있어서 아프다고 표현했는데 병무청장이 37년 근속이든 34년 근속이든 상관없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4 00:43
수정 아이콘
그럼 남성 징집 얘기는 사족이죠
조랑말
25/07/14 00:45
수정 아이콘
왜 사족이예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4 00:47
수정 아이콘
근속년수의 한계가 정해진게 왜 아파요?
조랑말
25/07/14 00:52
수정 아이콘
아...그 보시면 제가 '위 댓글 중' 이라는 표현을 썼잖아요. 지금은 삭제되었는지 안 보이는데 '남성은 징집기간 때문에 퇴임까지 근속해도 37년이 안 된다' 는 댓글이 있었습니다. 구조적으로 징집으로 인해 입직시기가 또래여성에 비해 2년 늦어지는데 충분히 아플만한 이유이고, 임금피크제가 아니고서야 최고연봉을 찍을 커리어하이 2년이 날아가니 아프죠.

저는 이렇게 생각했는데 남캐님 의견은 어떠시길래 사족이니 뭐니 공격적으로 물어보시는지 궁금합니다. 피드백 부탁드릴게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4 01:05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리플 봤는데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생각해서 그냥 넘어갔는데 그 리플에 호응하는 걸 보니 신기해서 물어본거에요. 이게 말이 되는 소리가 되려면, 1.병무청장승진에 근속 연수가 크게 고려가 되었다. 2.병무청 말고도 이전부터 남녀근속연수에 따른 차별에 대한 성토와 논의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이 두개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전 잘 모르겠어서, 그렇다면 근속 연수가 문제인가 싶어서 군대 패널티가 빠진 34년이나 6방 36년이면 문제가 없냐 싶어서 물어본 겁니다요. 근데 근속 연수가 상관없다면 당연히 징집얘기는 사족인거구여. 전 지워진 그 리플에선 차별 및 피해의식이 느껴졌는데 님은 그냥 단순히 남자가 징집때문에 최대한 많이 오래 근속하고 싶어도 못해서 그게 아프다라는 의미셨으면 저도 그 취지엔 동의하며 제가 오독한겁니당
조랑말
25/07/14 01:25
수정 아이콘
아아 넵 말씀하신 그런 피해의식까진 없습니다. 설명이 되었다니 다행이예요 감사합니다!
사부작
25/07/14 00:31
수정 아이콘
30년 넘게 병무청 일을 한 사람이라는데
저 사람이 여자라는 이유로 진급을 막을 이유가 있나요
지탄다 에루
25/07/14 00:42
수정 아이콘
이명박 군대 명제... 윤석열 군대 면제.....
37년 넘게 해당 직무에서 근무한 분이 더 나을 듯..
아우구스티너헬
25/07/14 06:11
수정 아이콘
박근혜 병역의무 없음
시린비
25/07/14 01:19
수정 아이콘
뭐 군인이 군인관련일을 해서 다 무사태평했던것도 아니고...
군인출신이라는게 군대에서 사건 덮거나 누군가를 항명수괴로 몰거나 하던 사람일수도 있는거고
대통령 군인출신으로 뽑는것도 아닌데 뭐 큰 상관있는 부분인가 싶네요.
Primavera
25/07/14 05:38
수정 아이콘
일 잘할지 못할지는 제가 알수 없는 부분이지만
남자가 잡아 넣을때 보단 여자가 잡아넣는게 더 기분나쁜 모양새이긴 하네요 크크크
아따따뚜르겐
25/07/14 06:46
수정 아이콘
21,22년에 유독 징집률과 현역 판정률 관련한 날조글 많이 올라왔는데 정훈교육 하기위해 또 올라오겠군요 크크
25/07/14 06:47
수정 아이콘
군대안간 국군통수권자들이 수두룩한데 무슨문제있나싶습니다 경력도문제없고
lightstone
25/07/14 06:53
수정 아이콘
댓글들보니...군인을 관리한다고 하지를 않나 징집률 이슈를 언급하지 않나 크크
병무청은 현역을 관리하지 않아요.
신체결격사유 관련한 징집은 병역판정 신체검사 등 검사규칙에 의한 것이라 국방부 소관이에요.
또바기
25/07/14 07:01
수정 아이콘
병무청이 현역 관리하는 건 아니라는 말에 동의하지만,
위 댓글들 전반적으로 하고 있는 말은 상위법령을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결론은 국방부가 주무처는 아니에요. 병역판정관은 병무청 과장입니다.

* 법제처 긁어왔습니다. 병역법 소관 부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국방부(인력정책과-총괄), 02-748-5137
병무청(규제개혁법무담당관-총괄), 042-481-2641
병무청(병역판정검사과-병역판정검사), 042-481-2967
병무청(현역기획과-현역입영제도), 042-481-2715
병무청(국외자원관리과-국외자원관리), 042-481-2965
병무청(사회복무정책과-사회복무제도), 042-481-3005
병무청(사회복무관리과-사회복무요원 복무관리), 042-481-3010
병무청(산업지원과-전문·산업기능요원), 042-481-2772
lightstone
25/07/14 07: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 댓글에도 적었지만 흔히 이슈가 되는 신체결격사유에 따른 징집은 병역판정 신체검사 등 검사규칙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또바기
25/07/14 07:21
수정 아이콘
아하 제가 모르는 부분이 있군요. 더 공부해보겠습니다. 실무자로서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랑말
25/07/14 07:32
수정 아이콘
'병역판정 신체검사 등 검사규칙' 은 국방부령이고 해당 규칙에 따라 병무청은 수행만 한다, 이런 개념인가요?

일반인(?) 이라 구조를 잘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조랑말
25/07/14 07:15
수정 아이콘
정부조직법 제33조(국방부)

③ 징집·소집 그 밖에 병무행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국방부장관 소속으로 병무청을 둔다.

왜 국방부 소관이라 하신지는 알겠으나 영장, 신검, 입영신청을 모두 병무청에서 하는데 징집률과 무관해보이지 않습니다. 뭐 국방정책 기조에 따라가는건 맞겠지만 그렇게 점프하다보면 '대통령 소관이다' 해도 틀린말이 아니라..
너T야?
25/07/14 06:55
수정 아이콘
군 관련은 적어도 군필일순 없을까 하는 생각은 하죠.
대통령도 포함입니다.
허락해주세요
+ 25/07/14 12:37
수정 아이콘
대통령은 거기에 포함시키면 안됩니다.
또바기
25/07/14 06:57
수정 아이콘
여성 국방부장관이라는 가정은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긴 하네요.
일만 잘하면 된다라는 영역일지, 감정 및 관습의 영역일지.
블랙숄즈
25/07/14 07:35
수정 아이콘
병무청 늘공을 병무청장에 임명한 것보다, 대장동 변호인 출신을 법제처장으로 임명한게 더 이상하네요
DownTeamisDown
25/07/14 07:41
수정 아이콘
장교출신 뽑아도 병무청에는 안맞는 측면이 있다고 봅니다. 당사자성에서는요.
병사출신을 뽑아도 병역 끝난지 한참뒤일거라는것도 문제고...
유념유상
25/07/14 08:27
수정 아이콘
어디 여성단체에서 일하던 낙하산이 아니고 병무청근무자 승진이라 문제 없을것 같습니다.
25/07/14 08:37
수정 아이콘
직접 현장을 뛰어야 되는 사람도 아니고 병역 시스템을 관리하는 팀의 수장인데 내부 경력과 관리 능력이 있으면 충분하지
거기에 왜 성별이 들어가야 되고 징집 여부가 왜 들어가야 되는지 전혀 모르겠군요.
25/07/14 08:55
수정 아이콘
그냥 싫다가 차라리 솔직하죠
FastVulture
25/07/14 09:16
수정 아이콘
222
친친나트
25/07/14 09:46
수정 아이콘
다른게 여혐이 아니라 저런게 진짜 여혐이지 싶네요.
넬리젤리
25/07/14 09:00
수정 아이콘
별걸 다 젠더이슈로 묶어볼려고 너무 속보이시는분들 있으시네요
바람생산잡부
25/07/14 09:03
수정 아이콘
1988년 병무청 7급으로 시작해서
지방병무청장 거치고 정년퇴직 직전에 병무청장까지 찍은거네요.
이 정도면 뭐...
격렬하게쉬고싶다
25/07/14 09:07
수정 아이콘
뭐 병무청에 여자공무원 다 쫓아내야겠군요.
에우도시우스
25/07/14 09:27
수정 아이콘
국방부 장관도 아니고 병무청장이야 할 만 하죠
덴드로븀
25/07/14 09:28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54868?sid=102
[단독 - "떠난 보좌진 일할 곳에 험담" 강선우 이번엔 취업방해 의혹] 2025.07.14. (중앙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03520?sid=102
[이진숙, 논문 표절 의혹 '정면돌파'…"실질적 저자는 나"] 2025.07.13.

이 두사람을 공격하는게 훨씬 나을텐데 말이죠.
정대만
25/07/14 09:54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진짜 “공격”이 목적이면 그 둘을 썼겠죠. 아니면 대장동변호인 출신이나요. 이미 불타오른 주제라 굳이 콜로세움 열어서 시끄럽게 하고 싶진 않아서 일부러 뺐습니다.
여성병무청장은 군대문제와 연관되고 저도 이게 맞나 싶어 올린 글입니다 지금 여야 어디가 되도 같은 글 올렸을거고요.
이 정도면 의논 힐만한거 아냐 싶어 올린 글인데 댓글보니 너 억까하려 판깔았구나 이런 시선이 좀 많아 보여 의외네요.
친절하게 이해답글 달아주신 분들에겐 감사드립니다
조랑말
25/07/14 10:06
수정 아이콘
충분히 논의할만한 주제인데(저는 언급했듯 실무적으로 좋은 인사로 보여요) 여혐이니 하는건 좀..
철판닭갈비
25/07/14 09:40
수정 아이콘
여성이라고 못할 이유가 뭐죠? 심지어 병무청에서 37년 일한 베테랑인데;
여성징병은 쌍수 들고 환영하면서 병무청은 군역 안 지낸 여성은 좀...하는건 무슨 마인드인지 모르겠습니다
앙몬드
25/07/14 09:50
수정 아이콘
군 장성 임명도 아니고 병무청장은 그냥 행정기관인데 이게 군대갔다와야되는거랑 무슨 상관이 있는지..
1970~80년대에 군대갔다온 사람이 병무청장이라고 앉아있으면 병무청 행정처리가 뭐가 달라지나요?
cruithne
25/07/14 09:54
수정 아이콘
당장 본문에 대장동 변호사가 더 이상한데 정작 여성 병무청장에 꽂히는게 신기하네요
정대만
25/07/14 09:57
수정 아이콘
윗댓글에도 썼지만 콜롯세움 여는게 목적이 아니리서요. 본분에서 썼듯이 제가 개인적으로 불편했는데 이게 맞나 다른 분 생각은 어떤가 싶어 올린 글입니다
cruithne
25/07/14 10:00
수정 아이콘
남자들은 x같은 병무청놈들이 다 잡아가는데 여자들은 군대도 안가네. 근데 병무청장이 여자야?
라는 관점에서 불편할 순 있겠습니다만 그건 여성징병에 관현 별개의 문제죠. 병무청장이 여성징병이든 징집률이든 뭘 결정할 권한이 있는 자리도 아니니까요.
정대만
25/07/14 10:02
수정 아이콘
초반 댓글에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고 댓글 이미 딜았습니다만…
이부키
25/07/14 09:57
수정 아이콘
문민통제가 뭔지 모르시는 분들도 계시는듯
OvertheTop
25/07/14 10:12
수정 아이콘
전 별 문제는 없다고 느끼지만
한국의 징병제가 오래되다 보니 뼛속까지...학습된 감정이 있을 수 있겠구나 정도는 이해합니다.
대한통운
25/07/14 10:12
수정 아이콘
별걸다..진짜
사랑해조제
25/07/14 10:13
수정 아이콘
병무청장은 병무행정을 잘 하면 되지 성별은 무슨 상관일까요.
25/07/14 10:14
수정 아이콘
남자던 여자던 현재 반장애인급도 대려가는것 그리고 밀려서 입대도 제대로 해결못하는것이나 해결해줬으면 하네요.
25/07/14 10:18
수정 아이콘
그동안 병무청장이 남자였다고 제대로 돌아갔던것도 아니라서 뭐
아야나미레이
25/07/14 10:25
수정 아이콘
군대 혁신에 누구보다도 앞서는 시민단체인 군인권센터도 양심적 병역거부자 인거보면 차라리 비군대 인사들이 더 잘할거같긴합니다.
군대출신 사람들은 다뭔가뭔가...
+ 25/07/14 12:01
수정 아이콘
크크 동감합니다 군인권센터가 일을 상당히 열심히 해주는데, 그거 가지고 또 '군대 안갔다 온 놈이 뭘 안다고'하면서 뭐라 하는 사람도 많더군요. 아니 우리를 위해서 일해주면 좋은거지...
강문계
+ 25/07/14 10:45
수정 아이콘
일만 잘하면 아무 상관 없습니다.
차은우
+ 25/07/14 11:11
수정 아이콘
사지만 달려있으면 다 집어넣는거만 개선해주면 누가되도 관계없음
통합규정
+ 25/07/14 11:29
수정 아이콘
누가 청장을 하던 답이 없는 곳이라

기관명을 징용청으로 바꿔야죠.
덴드로븀
+ 25/07/14 11:48
수정 아이콘
<역대 병무청장>
박근혜 정부
박창명(朴昌明) : 10년 중장 전역 -> 교수 -> 병무청장
문재인 정부
기찬수(奇讚守) : 09년 소장 전역 -> 대명GEC 부회장 등 -> 병무청
모종화(牟鐘和) : 14년 중장 전역 -> 한국방위산업진흥회 부회장 -> 병무청장
정석환(鄭錫煥) : 20년 소장 전역 -> 국방정책실장 -> 병무청장
윤석열 정부
이기식(李基植) : 17년 중장 전역 -> 교수 -> 병무청장
김종철(金鍾哲) : 21년 소장 전역 -> 대통령경호청차장 -> 병무청장
이재명 정부
홍소영(洪昭映) : 88년 병무청 7급 공무원 시작 -> 계속 병무청 근무 -> 병무청장
사조참치
+ 25/07/14 11:54
수정 아이콘
바로 위 덴드로븀님 댓글 보면 '여성'보다는 최초로 '군 장성'이 아닌 관련 공무원 출신 인사라는 게 더 눈길이 가네요.
자칭법조인사당군
+ 25/07/14 12:12
수정 아이콘
장군님들 퇴직하고 월급챙겨주는 자리 느낌입니다
시린비
+ 25/07/14 12:16
수정 아이콘
군 장성이 하는게 더 불안하지 않아요? 닫힌 사회에서 자기가 왕인줄 아는 사람들도 제법있다는 인상인데
사건사고가 없는 직업군도 아니고 기회가 되면 학교 인맥으로 한자리 하려는 사람들도 있던거같고
왕립해군
+ 25/07/14 12:39
수정 아이콘
쿠데타를 겪은 나라임에도 북한 특수성 때문에 문민통제에 대한 개념이 희박해서 이렇게 된 거 뿐이죠.. 병무청은 더군다나 더 상관없는 이야기지만..어쨋거나 맥락상 그렇게 되니 그런 인식이 나오기도한거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6948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7379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98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4872 4
104527 [정치] 박원순 성폭력 변론 영화가 못나온다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48] 카레맛똥4203 25/07/14 4203 0
104526 [정치] 이재명정부에서 첫 여성 병무청장이 나왔네요 [85] 정대만8762 25/07/13 8762 0
104524 [정치] 법원의 야당 탄합 해프닝이라던가 [13] Janzisuka6053 25/07/13 6053 0
104523 [정치] 중국의 권력이상은 없다 [47] 如是我聞8618 25/07/13 8618 0
104520 [정치] 의대생들 "국회·정부 믿고 전원 학교에 돌아갈 것" [113] Davi4ever13422 25/07/12 13422 0
104514 [정치] 심심해서 혼자 만든 영화의 마지막 장면 [7] lux5836 25/07/11 5836 0
104513 [정치] 국힘, 특검 '임종득 압수수색'에 "정치 보복·야당 탄압" 반발(종합) [71] Crochen10496 25/07/11 10496 0
104509 [정치] 이재명 대통령 간담회 실언 해프닝 [367] 짭뇨띠15535 25/07/11 15535 0
104505 [정치] 내년 최저임금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17년만 합의로 결정 [38] 철판닭갈비6628 25/07/11 6628 0
104504 [정치] 민주노총 용공 논란은 민주노총이 자초한 측면도 있다고 봅니다. [34] petrus5850 25/07/11 5850 0
104503 [정치] 내란옹호 세력을 싹쓸이하려면 차별금지법이 필요합니다 [88] 코로나시즌7467 25/07/10 7467 0
104502 [정치] 국힘, 尹 재구속 날 ‘계엄·탄핵’ 사죄문 발표…사실상 ‘완전결별’ 선언 [108] 카린11108 25/07/10 11108 0
104501 [정치] 대선 이후 이대남 관련 글 중에서 읽어볼 만 하다고 생각했던 페북 글. [305] petrus12857 25/07/10 12857 0
104500 [정치] 정치적 소신과 의견의 교환 [261] 烏鳳11209 25/07/10 11209 0
104498 [정치] 조은희 "내란특별법은 정치 보복…국힘도 계엄 피해자" [116] 전기쥐10531 25/07/10 10531 0
104496 [정치] 정부, '전시작전권 환수' 협상 카드로 검토 [137] 시린비8519 25/07/10 8519 0
104493 [정치] 윤 어게인 [20] 백면서생7081 25/07/10 7081 0
104492 [정치] 윤석열 재구속 [66] 만우9547 25/07/10 9547 0
104490 [정치] 2030 남성 유권자 지형과 세대 방패 [258] 딕시11449 25/07/09 1144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