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04 12:01
gpt 이전에도 다 사용했는데, 일반인들에게는 이제야 알려지는 거죠. 지피티는 이미지 생성용 ai 가 아니니까요. 디자이너들은 원래 다른 ai 사용해왔습니다.
25/05/04 14:48
디자이너 뿐만 아니라 그림 그릴 줄 모르는 사람들이 그냥 자기들이 알아서 GPT한테 생성해달라고 하고 그거 쓰게 된게 차이죠. 아직도 퀄리티 있는 건 어느정도 디자이너들이 AI 도움 받아서 하는 것 같구요.
25/05/05 16:48
처음엔 그랬을수 있는데 이미지 생성용 AI인 Dally.E 영상제작용 AI인 sora 같은 AI가 chat GTP내부에 존재합니다. 사용자가 많이 모일수록 학습된 사진과 영상들이 다양하기에 장기적으론 chatGTP가 유리하다고 봐요.
25/05/04 15:55
이미지가 필요한 곳이라면 안보이는 곳이 없죠.
이미 일상화가 되었고, 휴대폰이나 컴퓨터처럼 필수죠. 제약이 생긴다거나 없어지면 난리날겁니다.
25/05/04 17:15
태그 막 붙여야 하던 이미지 생성 ai보다 내가 설명 방식으로 해서 뽑아주는 gpt가 참 좋더라구요. 이미지 말고도 다른 용도로도 쓰니 3만원 가까이 지를 보람이 있어요 뭔가.
25/05/04 23:03
ai시대에서 기본소득이 왜 필요한가 의문이 있었는데 이미지생성 gpt를 보니 학습에 일조한 모든 작가나 화가 혹은 인터넷에 그림을 올린 사람들에게 일정의 저작료를 나눠줘야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더군요..
25/05/05 09:56
(수정됨) 정도의 차이이지 이미 AI가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그림 그려주는 수준 언저리에 와있습니다. 비정형적인 육체노동 비중이 큰 분야 제외하고는요. (건설업계 노가다, 배관공, 외과의사, 치과의사 등등) 그림그리는 사람 뿐만이 아니라 그 누구든 곧 현재 그림업계가 처한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 놓이게 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당장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
25/05/05 11:03
서브 컬쳐 다루는 사람들은 이미 AI 이미지 생성 갖고 노는데 도가 튼 사람들이 많죠. 게임은 거의 안 하면서 AI 때문에 하이엔드 그래픽카드 구입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 외에는 더 많을 거고 챗GPT 이미지 생성은 쳐주지도 않는 사람들도 많아서, 또 반면에 챗GTP 이미지 생성 정도나 해본 사람들, 그것조차도 안 해보거나 못 하는 사람들로 숙련 차이가 심해서 나름의 시장은 또 생기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거기에 이미지 생성해서 수정까지 가능한 사람들은 희귀해서 일러스트레이터면서 AI 이미지 생성도 잘 다루는 사람들은 또 장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25/05/06 01:49
항상 어떤 분야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가 AI도 써본사람 만질 줄 아는 사람이 돈 벌 수 있다라는 이야기를 하는데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말이 거의 자취를 감춘 지금을 보면 전 이것도 아닌것 같습니다.
당대의 전문가수준에서 AI+후터치로 만들 수 있는 퀄리티를 100이라고 본다면, (퀄리티의 만점은 항상 우상향하겠지만 상대적으로 100이라고 두겠습니다) 이미지 생성 AI 나온 초창기에 전문가와 일반인의 갭이 80이라고 하면 지금은 갭이 20-30(아마추어 딸깍이 70-80점이라는 의미) 수준입니다. 현재기준 탑티어 회사가 아닌 이상 구색용으로 이미지가 필요한 경우나, 어디 기사나 블로그, 프리젠테이션 수준에 필요한 이미지는 지금 70-80점 수준으 이미지로 충분히 활용가능하고 퀄리티가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게 나온지 한 2년 됐으니 2년 후에는 90점을 돌파할 수도 있겠죠. 당연히 탑티어의 최상급 이미지를 원하는 고객들에게는 전문가의 수요는 인류가 멸망할때까지 남겠지만 그런 수요가 얼마나 될 것이며 그런 수요로 먹고 살 수 있는 전문가는 몇명이나 될까요? 이미지 뿐이 아니라 코딩/프로그래밍이나 다른 지식생산 분야도 지피티가 멍청하던 시절부터 쭉 봤는데 지금은 실무 아는 사람이 놓고 쓰기엔 엄청나게 훌륭합니다. 실무 아는 사람이 쓸거 버릴거 골라서 자기 업무에 갖다 쓰는 게 디자이너들이 생각하는 프롬프팅/후보정 같은 느낌일텐데요. 이것도 2년후 5년후면 그런 중간인력도 많이 대체되고 결정권자 레벨만 있으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인력도 많이 대체되겠죠. 거기서 비용 아끼고 잘 써먹는 기업이 살아남고 치고나갈테고요.
25/05/06 09:17
맞는 말씀이십니다. 어차피 AI는 계속 발전할 거고 지금은 대충 해도 70점은 나오지만 80점 만드는 난이도가 어렵지도 않죠. 그런데 조금 더 지나면 80점이 기본인 세상이 올 거고요. 리터치 가능한 능력자들이 있더라도 그 돈 주고 쓰느니 85점은 만들어오는 사람 쓰자 할 수도 있고요. 저는 능력이 좀 더 있으면 큰 돈을 벌 수 있다기보다는 그래서 시장에서 수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AI 관련 할 줄 아는 거 있냐? GPT 쓸 줄 압니다. 이거보다는 파이썬 기반 프로그램으로 AI 다룰 줄 압니다 하면 취업이라도 되겠죠. 관광지에서 사진 찍어주는 아저씨들이 스마트폰으로 일자리 잃은 것처럼은 안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