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04 11:25:22
Name 김아무개
File #1 OIG3.jpeg (324.4 KB), Download : 3365
File #2 1746325112675.jpg (177.4 KB), Download : 3363
Subject [일반] 이미 지피티 이미지는 상업적으로 널리 쓰이네요




뭐 실사용 되는건 이미 많이들 알고 계시리라 봅니다.

그런데 다른 ai이미지 제네레이터 대비 지피티가 유독 파급이 큽니다.

왜 그럴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로 제가 첨부한 두 이미지는
[벽오동 깊은뜻은 장농짓고 궤짝 짜니 봉황은 갈곳을 잃었다] 를 주제로 생성한 이미지입니다.

다른 제네레이터들은 한국적인걸에 대한 학습이 안된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물론 요즘 대세인 연예계쪽 정보는 빠삭한데 그외 문화적 학습이 전혀 안되어 있기에 아무리 한국적인걸 요구해도 중국 혹은 일본 스타일과 문화가 나옵니다.

그러나 지피티는 한국적인것에 대한 학습이 매우 잘되어 있어서 문화에 대한 이해도도 매우 높습니다.

샘플로 올린 이미지만 해도 너무나 확실하죠.

이미 개인 사진 프사정도를 떠나 각종 방송 문화 예술계는 곳곳에 지피티 이미지가 마구 쓰이고 있습니다.
간단한 삽화는 더이상 인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있어요.

사실 일러스트 제네레이터는 이미 꽤 전부터 나외 있었으나 서브컬처만 활용되어 왔었고 범용적 활용은 그다지 되지 않았습니다만...

지피티가 만든 이미지의 활용은 가히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 이슈로 부터도 자유롭고
프롬프트 학습으로 부터도 자유롭습니다.
대회 과정에서 정서적인것도 이해를 하기 때문에 좀더 원하는 이미지 생성에 수월합니다.

심지어 기본틀은 유지한체 부분편집요구도 지원 하고 있어서 기본 어플내에서 이미지의 부분편집 명령도 훨 직관적입니다.

심지어 이 모든걸 무료로 (수량제한 존재) (20불정도 요금제면 거의 문제없이 생성가능) 상업이용 상관없이 풀어버리고 있으며 이미지내 테그나 ai 생성 관련 꼬리표나 흔적도 안남겨놨습니다.

정말 파격적이에요.

제가 놀면서 대화한 내역의 링크를 만들어 남겨둘게요.
아마 계정 있으신 분들은 해당 대화 내역 보실수 있을거에요



대화의 일부만 외부에 알릴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 지원하면 좋겠습니다.


해당 시화 제작한 세션 링크
https://chatgpt.com/share/6816cda0-1158-8011-b208-467634aacdfd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전기쥐
25/05/04 11:31
수정 아이콘
방송국에서 GPT 생성 이미지를 쓰면 저작권료 등을 아낄 수 있겠네요.
Quantumwk
25/05/04 11:49
수정 아이콘
이미 언론이던 회사던 엄청 씁니다.
시드라
25/05/04 20:37
수정 아이콘
뉴스에서도 일러스트 대신에 깨진 ai 이미지까지 활용해서 잘 쓰더군요
cruithne
25/05/04 11:51
수정 아이콘
에듀윌인가 거기 광고도 전부 AI로 모델 뽑던데 이미 널리 퍼졌죠
25/05/04 11:57
수정 아이콘
이미 유명한 유튜브에서도 뭐 설명하는 것들, 과학적 정치적 이야기 할 때 자료화면으로 많이들 쓰던데요 2~3년 전부터..
김아무개
25/05/04 12:03
수정 아이콘
쓰는건 알았는데 좀 그들만의 리그였던게..
완전 퍼진데다 숨길생각도 없더라구요
마일스데이비스
25/05/04 20:03
수정 아이콘
숨길 이유도 딱히 없으니까요
25/05/04 12:01
수정 아이콘
집앞 음식점에서 유리창에 지브리풍 ai그림으로 래핑해놓은거 보고 정말 실생활에 푹 들어왔구나 싶었습니다
croissant
25/05/04 12:01
수정 아이콘
gpt 이전에도 다 사용했는데, 일반인들에게는 이제야 알려지는 거죠. 지피티는 이미지 생성용 ai 가 아니니까요. 디자이너들은 원래 다른 ai 사용해왔습니다.
Quantumwk
25/05/04 14:48
수정 아이콘
디자이너 뿐만 아니라 그림 그릴 줄 모르는 사람들이 그냥 자기들이 알아서 GPT한테 생성해달라고 하고 그거 쓰게 된게 차이죠. 아직도 퀄리티 있는 건 어느정도 디자이너들이 AI 도움 받아서 하는 것 같구요.
평온한 냐옹이
25/05/05 16:48
수정 아이콘
처음엔 그랬을수 있는데 이미지 생성용 AI인 Dally.E 영상제작용 AI인 sora 같은 AI가 chat GTP내부에 존재합니다. 사용자가 많이 모일수록 학습된 사진과 영상들이 다양하기에 장기적으론 chatGTP가 유리하다고 봐요.
타카이
25/05/04 12:39
수정 아이콘
예전엔 기사 쓸 때 아카이브 이미지, 게티이미지 긁어오더니 이젠 걍 지피티 돌려서 출처 지피티로 올리죠 크크크
25/05/04 14:50
수정 아이콘
올리브영 다이소 화장품 코너에 있는 모델들 AI 극실사풍 모델 쓴지 오래됐습니다
리얼포스
25/05/04 15:32
수정 아이콘
지피티 생성 이미지 특유의 저 누런톤은 대체 왜 나오는걸까요
짭뇨띠
25/05/04 15:33
수정 아이콘
아이디어 구상할 때도 좋은 듯합니다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줘요
25/05/04 15:55
수정 아이콘
이미지가 필요한 곳이라면 안보이는 곳이 없죠.
이미 일상화가 되었고, 휴대폰이나 컴퓨터처럼 필수죠.
제약이 생긴다거나 없어지면 난리날겁니다.
25/05/04 16:46
수정 아이콘
상업적 이미지 쓰면 안 되서 무료 이미지 열심히 찾아야 하던 건 다 옛날이 되버렸죠 크크
닭강정
25/05/04 17:15
수정 아이콘
태그 막 붙여야 하던 이미지 생성 ai보다 내가 설명 방식으로 해서 뽑아주는 gpt가 참 좋더라구요. 이미지 말고도 다른 용도로도 쓰니 3만원 가까이 지를 보람이 있어요 뭔가.
25/05/04 18:38
수정 아이콘
괴담재연 프로그램인 심야괴담회에서도
몇몇 에피들은 ai를 활용해 생성한 걸로 보이는 이미지를 쓰더라구요
25/05/04 21:07
수정 아이콘
뉴스기사에서도 gpt느낌나는 일러스트가 많이 보이기 시작했죠.
gpt가 진짜 혁명이긴 했습니다.
Lina Inverse
25/05/04 23:03
수정 아이콘
ai시대에서 기본소득이 왜 필요한가 의문이 있었는데 이미지생성 gpt를 보니 학습에 일조한 모든 작가나 화가 혹은 인터넷에 그림을 올린 사람들에게 일정의 저작료를 나눠줘야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더군요..
Quantumwk
25/05/05 09: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도의 차이이지 이미 AI가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그림 그려주는 수준 언저리에 와있습니다. 비정형적인 육체노동 비중이 큰 분야 제외하고는요. (건설업계 노가다, 배관공, 외과의사, 치과의사 등등) 그림그리는 사람 뿐만이 아니라 그 누구든 곧 현재 그림업계가 처한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 놓이게 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당장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
엘브로
25/05/05 23:29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IT업계에서 일하는데, AI기술이 너무 빨리 발전해서 대체인력이 꽤 생길거 같은 위협을 느끼고 있습니다...
Quantumwk
25/05/05 23:35
수정 아이콘
AI 기술의 주인공인 IT업계가 가장 빨리 영향 받는다는게 아이러니로 보입니다.
샤르미에티미
25/05/05 11:03
수정 아이콘
서브 컬쳐 다루는 사람들은 이미 AI 이미지 생성 갖고 노는데 도가 튼 사람들이 많죠. 게임은 거의 안 하면서 AI 때문에 하이엔드 그래픽카드 구입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 외에는 더 많을 거고 챗GPT 이미지 생성은 쳐주지도 않는 사람들도 많아서, 또 반면에 챗GTP 이미지 생성 정도나 해본 사람들, 그것조차도 안 해보거나 못 하는 사람들로 숙련 차이가 심해서 나름의 시장은 또 생기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거기에 이미지 생성해서 수정까지 가능한 사람들은 희귀해서 일러스트레이터면서 AI 이미지 생성도 잘 다루는 사람들은 또 장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25/05/06 01:49
수정 아이콘
항상 어떤 분야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가 AI도 써본사람 만질 줄 아는 사람이 돈 벌 수 있다라는 이야기를 하는데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말이 거의 자취를 감춘 지금을 보면 전 이것도 아닌것 같습니다.

당대의 전문가수준에서 AI+후터치로 만들 수 있는 퀄리티를 100이라고 본다면, (퀄리티의 만점은 항상 우상향하겠지만 상대적으로 100이라고 두겠습니다) 이미지 생성 AI 나온 초창기에 전문가와 일반인의 갭이 80이라고 하면 지금은 갭이 20-30(아마추어 딸깍이 70-80점이라는 의미) 수준입니다. 현재기준 탑티어 회사가 아닌 이상 구색용으로 이미지가 필요한 경우나, 어디 기사나 블로그, 프리젠테이션 수준에 필요한 이미지는 지금 70-80점 수준으 이미지로 충분히 활용가능하고 퀄리티가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게 나온지 한 2년 됐으니 2년 후에는 90점을 돌파할 수도 있겠죠.

당연히 탑티어의 최상급 이미지를 원하는 고객들에게는 전문가의 수요는 인류가 멸망할때까지 남겠지만 그런 수요가 얼마나 될 것이며 그런 수요로 먹고 살 수 있는 전문가는 몇명이나 될까요?

이미지 뿐이 아니라 코딩/프로그래밍이나 다른 지식생산 분야도 지피티가 멍청하던 시절부터 쭉 봤는데 지금은 실무 아는 사람이 놓고 쓰기엔 엄청나게 훌륭합니다. 실무 아는 사람이 쓸거 버릴거 골라서 자기 업무에 갖다 쓰는 게 디자이너들이 생각하는 프롬프팅/후보정 같은 느낌일텐데요. 이것도 2년후 5년후면 그런 중간인력도 많이 대체되고 결정권자 레벨만 있으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인력도 많이 대체되겠죠. 거기서 비용 아끼고 잘 써먹는 기업이 살아남고 치고나갈테고요.
샤르미에티미
25/05/06 09:17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이십니다. 어차피 AI는 계속 발전할 거고 지금은 대충 해도 70점은 나오지만 80점 만드는 난이도가 어렵지도 않죠. 그런데 조금 더 지나면 80점이 기본인 세상이 올 거고요. 리터치 가능한 능력자들이 있더라도 그 돈 주고 쓰느니 85점은 만들어오는 사람 쓰자 할 수도 있고요. 저는 능력이 좀 더 있으면 큰 돈을 벌 수 있다기보다는 그래서 시장에서 수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AI 관련 할 줄 아는 거 있냐? GPT 쓸 줄 압니다. 이거보다는 파이썬 기반 프로그램으로 AI 다룰 줄 압니다 하면 취업이라도 되겠죠. 관광지에서 사진 찍어주는 아저씨들이 스마트폰으로 일자리 잃은 것처럼은 안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김꼬마곰돌고양
25/05/05 11:44
수정 아이콘
돈 내고 사야 하는 이미지만 아니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157 [일반] 2025년 올해의 백상 대상작품 소개 (스포) [24] 바람돌돌이2834 25/05/06 2834 1
104156 [일반] 카페인을 끊기위한 노력 [35] reefer madness3966 25/05/06 3966 8
104155 [일반] 그 날, 1편 예의바른 아저씨가 된 그 날 [12] 똥진국4076 25/05/05 4076 8
104154 [일반] 겉으로 밝아보이는 사람이 가장 슬픈 이유 [10] 식별6512 25/05/05 6512 46
10415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5)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4 [3] 계층방정3152 25/05/05 3152 5
104152 [일반] 방송인 백종원은 정말 끝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115] 럭키비키잖앙17428 25/05/04 17428 16
104151 [일반] 이미 지피티 이미지는 상업적으로 널리 쓰이네요 [28] 김아무개10748 25/05/04 10748 1
104150 [일반] 트럼프 내년 예산안에 과학계 '발칵'..."멸종 수준의 사건" [98] 전기쥐10865 25/05/04 10865 8
104149 [일반] 만독불침은 정말 있었다! [16] 如是我聞6457 25/05/04 6457 1
104148 [일반] 분식의 추억 [2] 밥과글4959 25/05/03 4959 5
104147 [일반] 사법고시 최연소+김앤장 -> 통역사 [32] 흰둥10561 25/05/03 10561 7
104146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4)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3 [5] 계층방정3315 25/05/03 3315 5
104145 [일반] 생각보다 심각한 미국의 마약 문화와 그것을 매우 경계해야 하는 이유 [51] 독서상품권10632 25/05/02 10632 22
104144 [일반] 환율 근황. [32] This-Plus10979 25/05/02 10979 0
104143 [일반] 아우라와 로봇 [19] 번개맞은씨앗4840 25/05/02 4840 1
104142 [일반] 도덕에 대하여 [12] 번개맞은씨앗7235 25/05/01 7235 6
104141 [일반] <우리가 빛이라 상상하는 모든 것> - 착각, 믿음, 이해. 모든 것을 담은. (약스포) [2] aDayInTheLife4931 25/05/01 4931 4
104140 [일반] 거룩한 밤&썬더볼츠.. 관객의 기대를 배반하는.. (스포유) [18] ph5868 25/05/01 5868 1
104139 [일반] K2 북벽 난이도 체감 해보기 [23] Croove8142 25/05/01 8142 5
104138 [일반] 이제 '강의'도 필요 없어지는 걸까요? [20] Quantumwk8647 25/05/01 8647 3
104137 [일반] <썬더볼츠*> - 부연설명 없이도 괜찮은. (노스포) [39] aDayInTheLife5152 25/04/30 5152 7
104136 [일반] 못생길수록 게임 더 많이 한다?…英·中 공동연구 결과 [75] 如是我聞7758 25/04/30 7758 4
104135 [일반] 루리웹에서 '아동 성학대 이미지' 예시가 공개되었습니다. [70] 리부트정상화10716 25/04/30 10716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