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20 23:51
(수정됨) 현대사와 나, 내 가족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실감할 때마다 기분이 참 묘해지곤 하죠. 저희집 같은경우는 뭐 자랑은 아니지만 제가 한 게 아니니 부끄러울 것도 딱히 없다고 생각하는(가족은 가족이고 나는 나니까), 할아버지가 왜경이었던 집안입니다. 무려 김일성 일문의 고향인 평남 대동에서 경찰하다가, 해방되고 쏘오련군이 들어오면 뼈도 못 추릴테니까, 다 내팽개치고 마누라와 자식들만 이고지고 남으로 도망왔죠. 그래서, 족보도 없고, 할아버지가 이북에 있을때 본 기억으로만 조상을 기억하는. 김일성이 본관이니 족보니 하는거 다 봉건잔재라고 박살을 냈다니까, 통일후 먼 고향에 찾아가도 확인할 길은 없겠십니다. 월남후 자연스레 조병옥 산하의 경찰로 승계되셨고, 여순사건 진압에 참가했다가, 그 참상을 보고 이짓하단 오래 못살겠다고 생각하셔서 그만두고 나왔죠. 한국전쟁때는 또 잡혔다간 또 뼈도 못 추리니, 또 한번 뒤도 안 돌아보고 부산으로 도망갔고, 전쟁이 끝나고도 또 전쟁나면 또 도망와야하니 한동안 부산살다가, 몇년 지나 서울로 돌아와서 지금으로 이어지고 있네요. 그러다보니 님 가족이 겪은거 같은 고초는 겪을 일이 없었긴 하고, 경찰 나오면서 무려 남대문시장의 점포를 하나 받아 나온지라, 그걸 종잣돈 삼아 지금까지도 유복하게 살고 있긴 하네요. 할아버지가 중간에 많이 날린지라, 기댓값보단 못하긴 하지만. 역시 독립운동가는 3대가 굶고 민족반역자는 3대가 떵떵거리는건지. 그런 점에서 보면 저의 안온한 생활도 나라 팔아먹은 부분에 기댄게 있으니, 당당할 것도 없지 싶기도 하고. 그 할아버지는 생전에 애국을 참 강조하셨었죠. 할아버지의 애국은 어떤 의미였을지 궁금하긴 합니다. 이젠 물어볼 길 없지만.
혼자 산책할 때가 많은데, 그럴 때마다 이 생각이 종종 떠오르고, 그저께도 꽤 길게 산책할 때도 이 생각을 떠올리고 그랬는데, 이 글을 보니 풀어놔보고 싶어졌네요 후후. 서로 다른, 엇갈린 세월을 보내왔지만, 무상하기는 마찬가진거 같습니다. 그냥 어르신들 기일에 산소나 열심히 다니는 것 말고는 헛헛함 달랠길이 있나 싶긴 해요. 저는 결혼도 안했고 애도 없으니, 저 죽으면 이젠 이 이야기는 제 대에서 갈 길을 잃기도 할테구요. 조카들이 있는데, 조카들이 이런 이야기를 재밌어 할 지는 모르겠습니다. 이러니 저러니 혀두 저러한 이야기들은 대한민국 초기사가 워낙 질곡이 심했으니 있었던 일 들이고, 이러니 저러니 해도 이제는 군사반란도 망치질 세번에 일단락나는 세상이 되었으니 우리 다음 세대들에게 저런 이야기는 고대의 신화처럼? 여겨질지도 모르겠지 싶긴 합니다. 마, 기억해주면 좋고 아닌들 어차피 나 죽으면 끝인데 뭔 상관이랴 싶긴 합니다만서두.
25/04/21 23:43
이번 반란사건은 당연히 중대하고 엄청난 일이긴 하죠. 다만, 마르크스가 역사는 반복된다 한번은 비극으로, 한번은 희극으로 라는 말을 남겼듯이, 극히 무도한 일일지언정 일단 사람이 죽지 않고 끝났다는 것만으로도, 그만큼 세상이 발전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고, 믿을 수 있지 않겠는가, 하는 취지에서 드린 말씀입니다. 결국 인간이 인간 자신을 믿지 못하면,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을테고, 이런 신호들을 통해 믿음을 확인할 수 있지 않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25/04/22 09:08
예, 그렇습니다. 50년대 정치깡패 유죄판결한 판사들이 가장 먼저 한 일은 배석판사 장모 집으로 도망가서 숨은거라더군요. 12.12.때 사람들은 지금보다 비겁해서 가만히 있었던게 아니었고.
이러네저러네해도, 옛날보다 많은 걸음을 나아온거죠. 그래서 동의의 뜻으로 드린 말씀이었습니다.
25/04/21 17:19
여기 피지알에건 어디건 기록으로 꼭 남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저희 집안은 여순사건 피해자 집안입니다. 여시아문님과 비슷하게 당연히 연좌제로 아버지를 포함한 집안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었죠. 다행히 그 화가 저한테까지 오진 않았지만 풍비박살났던 집안에서 아버지 없이 살아 오신 아버지를 떠올리면 가슴이 참 아픕니다. 제가 들은 내용들을 기록으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은 계속 가지고 있고, 여기에도 한번 썼었네요. 비극의 현대사이지만 그만큼 기록할 수 있는 매체가 많으니 흐릿해지기 전에 우리는 꼭 그것을 기록으로 남겨야 합니다.
25/04/21 23:41
아, 사실 이 이야기를 공개적으로 하기 꺼렸던 이유중 하나가, 결국 제 할아버지는 가해측(물론 여순사건을 일으킨 쪽도 책임이 있긴 합니다만)이고 피해를 본 분이 있을 것이 저어되었는데, 이렇게 이야기가 닿긴 하군요... 제 할아버지를 위한 변명을 하자면, 제 할아버지는 제압된 이후 후방에서 상황정리만 하셔서 누굴 해치진 않았을 거란 정도긴 합니다만, 그런 세세한 부분은 본질이 아닐테지요. 이런 작은 기록들이 많이 남는게, 우리 사회의 반성과 사과 화해와 용서에 도움이 많이 될 거 같습니다. 글 써주신 분도, 답해주신 님도 참 고마운 분들이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