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03/01 22:43:00
Name 김삼관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sz05HYVvq-8
Subject 내일은 G2 vs T1 발로란트 팀 창단 최초 국제대회 결승전 진출 (수정됨)
절벽에서 올라가는 팀, T1이 리그에서도 절벽을 기어 올라가고
마스터즈 방콕 국제무대에서도 결승까지 패자조의 벼랑 끝에서 기어올라갔습니다.

진출 8팀중에 예상경기력 8등으로 예측된 팀인 T1이.
결승, 우승 TOP TIER로 뽑히던 두 팀인 VIT, EDG를 하위라운드에서 순서대로 만나 격파하며 결승전에 G2를 만나러 올라갑니다.

G2는 T1이 이긴 두 팀을 상대로 2:0으로 이기고 미리 결승무대에 올라가있는 상대입니다.

EDG에서 지게를 짊어지던, 이번 마스터즈 무대의 가장 절대적인 군주로 군림하던 치추 선수도 멋진 장면을 뽑아내긴 했지만
절호조의 T1을 상대로는 활약하지 못했습니다.

이제까지 퍼시픽 팀은 샷이 부족하다, 특히 이번 T1으로 이적해서 활약하고 있는 DRX 소속의 STAX 선수와 BUZZ 선수는 매번 국제대회에서
좋은 택틱의 전술과 팀합으로 국제무대의 상위권으로 올라갈 수 있기는 하지만 [결국엔 총게임이야. 샷빨이 부족하면 안돼]라는 평을 씻어내리듯
좋은 샷 실력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나 버즈 선수의 오퍼레이터 명중 실력은 눈에띄게 개선되었습니다.

제가 발로란트 대회를 보면서, 서양팀에 비해 확실히 한국리그, 퍼시픽 리그(PRX제외)의 팀이 결승 무대 등에서 샷이 부족하고
매 시즌 절대적인 절대자로 군림하는 선수보다 샷이 부족한 점을 체감하는 경기를 많이 봐왔습니다만

지금 T1은 다릅니다
진짜 T1은 대권에 도전할 수 있는 팀이고, 모든 부분에 있어서 '어떤게 부족해요' 라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단단한 팀이 되어있습니다.

이악물고 절벽을 올라가며 악력을 키운만큼, 내일 우승컵을 두 손에 꽉 쥐어 붙잡기를 간절히 바라고
응원하겠습니다.

발로란트 모르시는 분들도 그냥 '와 총 잘쏜다' 만 느끼셔도 괜찮습니다. 저도 그렇게 대회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사실 그게 답니다. 내일 결승 무대를 같이 즐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서린언니
25/03/01 22:45
수정 아이콘
대단한 경기였습니다
스택스와 버즈 첫 결승진출 축하하고 대량출혈 위기에서 칼같이 지혈해주던 메테오
그리고 신들린 오퍼의 이주까지...
티원 축하합니다
'뒤에 안보나!'
김삼관
25/03/01 23:20
수정 아이콘
푹 쉬고 내일 풀 컨디션으로 잘해주면 좋겠습니다.
0126양력반대
25/03/01 22:54
수정 아이콘
메테오 미쳤습니다
김삼관
25/03/01 23:21
수정 아이콘
선수 하나씩 하나씩 잘하는 부분 다 칭찬해도 부족할 거 같네요 크크
그 닉네임
25/03/01 22:55
수정 아이콘
다들 선수들 칭찬할때 저는 어텀 감독 칭찬하고 싶습니다.
모두가 음해할때 피스톨 고쳐온다면 고쳐오는 남자 신 으 뜸
김삼관
25/03/01 23:21
수정 아이콘
키야.. 손잡고 하는 t1
하이퍼나이프
25/03/01 22:57
수정 아이콘
2경기 역전하는게 대단하더라고요!
며칠전 아쉬운 패배를 배로 되갚아주고 결승 진출합니다. 우승까지 화이팅입니다.
김삼관
25/03/01 23:21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끈덕진 부분이 대단한 것 같습니다.
g2 상대로도 그런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면 결과를 기대해도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5/03/01 23:12
수정 아이콘
결승전은 정~~~말 힘들거 같기는 한데
올라온 과정이 전부 역배라서 또 봐야 크크
김삼관
25/03/01 23:23
수정 아이콘
G2 팀이 조그모 선수라던가 이름값 있는 선수들이긴 하지만 누구 하나의 슈퍼플레이에 기대는 팀이 아닌 느낌이어서
T1이 상대하기에는 더 어려울 거 같기도 합니다. 전략적인 플레이보다는 샷을 믿고 과감한 플레이를 통해서 극복 가능할 거 같은 기분이 듭니다.
데몬헌터
25/03/02 00:01
수정 아이콘
결승!
미드나잇블루
25/03/02 01:07
수정 아이콘
IGL 대결에서 티원이 아직 G2를 이기기엔 부족해 보여서

그 EDG도 G2 상대할때 머리 터져 나가는게 눈에 보였죠

오늘 EDG가 상대적으로 안좋아 보였던건 G2 상대 할때 망가진게 크다고 봅니다 바이탈도 마찬가지구요

승부에 절대는 없다지만 티원은 여기까지 기어올라온것만 해도 성공이라고 봅니다
팬케익
25/03/02 14:24
수정 아이콘
발로란트를 모르지만 볼 때마다 박진감 넘쳐서 재밌더라고
재미있는 결승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145 [LOL] 2025 시즌 쵸비 상대로 무패를 달리는 미드 [36] 비오는풍경11639 25/04/24 11639 2
81144 [발로란트] 왕조의 몰락 LOUD, 리빌딩 움직임 시작. [5] 일렉트5159 25/04/24 5159 0
81143 [마비노기 모비일] 점검 + 3캐릭 키운 시점에 써보는 마비노기모바일 뒷담화 [18] 겨울삼각형5174 25/04/24 5174 0
81142 [발로란트] 퍼시픽 리그 한국팀 DRX, Flashback 선수 샌드다운 결정. [4] 일렉트4628 25/04/23 4628 1
81141 [LOL] (LoL esports X) 역대 최고의 다전제는? [79] 라면8026 25/04/23 8026 0
81140 [발로란트] 끝없이 추락한 FURIA, 리빌딩을 위한 움직임 보인다. [2] 일렉트3510 25/04/23 3510 0
81139 [LOL] 데프트가 평가한 BFX 바텀 [32] 반니스텔루이9104 25/04/23 9104 3
81138 [스타1] ASL 시즌 19 8강 대진표.JPG [16] insane6351 25/04/22 6351 0
81137 [발로란트] 한국 챌린저스팀 T1 Academy, Pkm 선수 합류 [4] 일렉트3371 25/04/22 3371 0
81136 [오버워치] OWCS 챔피언스 클래시 리뷰 - 크레이지 라쿤 우승 [2] Riina2497 25/04/22 2497 0
81135 [LOL] 유명 프로게이머 코치 결국 입영 [188] 카루오스16630 25/04/22 16630 1
81134 [발로란트] 지각 변동이 일어난 VCT 아메리카스 리그 [9] 일렉트3213 25/04/21 3213 0
81133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5주 3일차 경기 요약. [2] 일렉트2819 25/04/21 2819 0
81132 [LOL] 주6일제는 해야하지 않을까? [93] grrrill9143 25/04/21 9143 10
81131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5주 2일차 경기 요약. [2] 일렉트4323 25/04/21 4323 0
81130 [LOL] 씨맥 징동과 계약 해지 [55] 미드나잇블루11918 25/04/20 11918 1
81129 [스타1] 스타3(SC3 Evolution) 출시 및 대회 참가자 모집 [3] HLSJ4582 25/04/20 4582 7
81128 [발로란트] VCT 중국 리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오다. [10] 일렉트4040 25/04/20 4040 0
81127 [LOL] 2024년 T1 영업손실 -88억 원 [132] 하이퍼나이프12784 25/04/20 12784 14
81126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5주 1일차 경기 요약. [2] 일렉트2954 25/04/19 2954 0
81125 [발로란트] 흔들리는 티원, 2연패로 아쉽게 끝난 정규리그 마무리 [6] 김삼관3601 25/04/19 3601 0
81124 [LOL] 4월 19일 토요일 경기 간단평(젠지vs브리온, 농심vs한화) [11] 하이퍼나이프4362 25/04/19 4362 6
81123 [오버워치] NTMR, 크레이지 라쿤 상대로 승리 [7] Riina2924 25/04/19 29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