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1/03 09:50:24
Name 저퀴
Subject [스타2] 차기 밸런스 테스트 예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치탄다 에루
14/01/03 09:51
수정 아이콘
공성 전차의 공중 피해...? 로 보고 1초동안 내가 뭘 본거지? 하고 눈을 씻고 다시 봤습니다.
다행이군요...
Quelzaram
14/01/03 09:55
수정 아이콘
제 생각은 모선핵의 2가지 너프, 광자과충전 지속시간과 시간왜곡의 지속시간을 (현재의 절반 정도로) 너프 정도가 적절하지 않나 싶습니다.
현재 교전 상황에서 역장으로 이미 원하는 전장을 선택할 수 있는 프로토스가 가진 장점을 극대화하는 멸자뽕의 위력을
극대화하는 주 이유가 바로 시간왜곡 두 방이라고 생각하거든요.
마찬가지로 중반 타이밍 교전에서 테란 병력의 기동성을 말 그대로 강제로 제어해버리는 것도 시간왜곡이라 생각해서...
이 두가지를 해결하면 각 종족별로 괜찮은 밸런스를 맞출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진실은밝혀진다
14/01/03 09:59
수정 아이콘
자날 시절부터 테란의 꿈이었던 토스전 메카닉이 드디어 현실화 되나요...
미움의제국
14/01/03 10:07
수정 아이콘
공성전차는 상향 좀 해야죠
광개토태왕
14/01/03 10:09
수정 아이콘
그렇죠. 어지간해서는 불곰보다도 못하니....
진리는나의빛
14/01/03 10:14
수정 아이콘
테란의 꽃은 전차입니다! 실드 추뎀 주면 좋을 것 같아요.
14/01/03 10:18
수정 아이콘
YAY! 잠복바퀴!
진리는나의빛
14/01/03 10:20
수정 아이콘
아니면 투견에 있던 기계상대 미사일을 전차에게..
14/01/03 10:25
수정 아이콘
그래 광자광충전 !! 그걸 너프해야대 !! 60초는 너무하자나!!
김연우
14/01/03 10:26
수정 아이콘
공성전차는 진짜 체력을 깍아서라도 화력이 올라가야해요. 메카닉 쓸때마다 느끼는건, 기동력이건 체제변환이건 뭐건 단점있는건 다 좋은데, 그나마 장점이라고 하는 '한방 전투력'이 참 떨어진다는 점이었습니다.

대체로 저그/테란전에는 그래도 괜찮은데, 그 이유가 저그/테란 병력은 잘 뭉쳐서 스플래쉬에 취약하고, 토스는 체력이 높아서 스플래쉬 영향력이 적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전차를 그냥 상향했다간 테테전 양상에도 문제가 있고, 저그전에도 OP가 될 수 있으니, 대 중장갑 공격력을 높이는 대신 스플범위를 좁히는 방향이 좋을거 같네요.
해병왕
14/01/03 11:12
수정 아이콘
그것보다는 땅거미 지뢰처럼 ... 실드에 추뎀을 주는게 좋아보입니다.
말씀하신대로만 하면 저그 상대 해탱 맹독충 저지가 전혀 되지 않아 마이오닉 천지가 될 것이고
테테전도 불곰 없이 해병만으로 난장판을 칠거 같네요
14/01/03 11:58
수정 아이콘
애초에 탱크가 멸자에만 약한데 그게 또 추뎀주더라도 멸자 패시브상 적용이 안되니까 좀 그렇네요 음..
14/01/03 12:19
수정 아이콘
불곰은 비교적 스플영향을 많이 받지 않지 않나요? 그리고 쉴드에 추뎀있어봐야.... ㅠㅠ 광전사는 쉴드가 없다시피하고 불멸자는 영향 안받으니 쉴드 추뎀 잉여 데미지는 모두 체력으로 가지 않는다면 별 영향 없어 보일 것 같기도 하구요.
플럼굿
14/01/03 13:29
수정 아이콘
전차는 정말 잘못건드리면.... 자날시절 너프했던 이유가 있었겠죠..
Samothrace
14/01/03 10:33
수정 아이콘
뫼비우스 반응로를 다른 건물로 옮기는 건 정말 조잡해보이네요. 차라리 연구 비용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시키지..
14/01/03 13:16
수정 아이콘
오역입니다. 다시 읽어보니, 뫼비우스 반응로 삭제 및 유령 기본 에너지를 75로 늘린다는 내용입니다.
아이지스
14/01/03 10:42
수정 아이콘
광자 과충전은 저 정도면 적절할 것 같네요. 60초는 너무 길었어요
국카스텐
14/01/03 11:03
수정 아이콘
예.. 예언자는 ㅠㅠ
케이틀린
14/01/03 11:15
수정 아이콘
예언자를 너프하라고 이자식들아...
캐리어가모함한다
14/01/03 11:18
수정 아이콘
예언자 너프 안 된게 아쉽긴 하지만, 광자과충전이 너프된 점은 환영합니다.
모선핵 하나 믿고 완전 배째라 멀티 및 운영하는 것도 심심찮게 나오는데, 그거에 대한 철퇴로는 충분하네요.
하후돈
14/01/03 11:49
수정 아이콘
예언자 왜 너프 안하는거냐;;; 제발 다음 패치때는 예언자 속도 다시 원래대로 롤백 해주기를 바랍니다.
그나마 모선핵 광자과충전 시간 너프는 다행이긴 하네요. 아직 이정도 너프로는 택도 없다는 생각이긴 하지만..
그리고 바퀴 잠복 이동 속도 향상도 환영할 일입니다. 원래 2.25로 할려다가 막판에 2로 낮추어서 적용된거였는데 속도2는 뭔가 어중간한 느낌이었죠. 조금이나마 저그의 견제를 활성화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프로토스는 분광기 견제가 있고 테란은 의료선 견제가 있는데..저그는?? ㅠㅠ 그리고 프로토스는 광자과 충전, 테란은 행성요새가 있는데, 저그는? ㅠㅠ)

고려사항에서 언급한 3가지 유닛들을 다 다소 버프해주기를 바랍니다. 특히 탱크는 윗분들도 말씀하신 것처럼 한방 전투력이 참 부족했죠. 그런데 다만 중장갑 피해를 올려버리면 저그의 바퀴 상대로 너무 극상성이 되버리는데다가 테란의 불곰상대로도 큰 힘을 발휘해 테테전에 바이오닉을 사장시킬 우려가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실드 추가 데미지를 올려서 테프전에서만 이득을 볼 수 있게 패치를 해줬으면 합니다.
유령은 뫼비우스 반응로 연구를 옮기는 것보다는 EMP 범위를 0.5 늘린다든지, EMP 효과를 100에서 150~200으로 상향하는게 더 나은 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공중유닛은..제발 많은 팬들의 염원이던 전투순양함과 밤까마귀를 상향하는쪽으로 고려를 해주기를 바랍니다. 폭풍함이 나와도 테란이 컨트롤로 이길수 있는 여지가 있어야 게임이 재미가 있는데 지금 폭풍함 자체가 전순에 비해 워낙 극상성이라..다른건 몰라도 전순은 꼭 좀 버프해주었으면 좋겠네요.
Darth Vader
14/01/03 11:52
수정 아이콘
전술핵은 건드릴생각없나
하후돈
14/01/03 11:57
수정 아이콘
유령에게 스1처럼 락다운을 줘도 괜찮지 않을까요? 크크
거신이나 폭풍함같은 거대 유닛을 일시적으로 못쓰게 만들어서 불리한 상황에서 대역전을 만들어내면 보는 재미는 쏠쏠할 것 같은데..
물론 밸런스상으로는 좀 더 고려해봐야겠지만 말이죠^^;
14/01/03 12:18
수정 아이콘
흐흐 스타1락다운거는 컨트롤 난이도가 너무 높은거에 비해서 스타2는 매우 쉬울걸로 예상이 돼서 생각만해도 테란 햄볶네요.
돼지불고기
14/01/03 21:16
수정 아이콘
부, 불멸자 거신은 정말 꿈도 못 꾸겠군요ㅠㅠ 하지만 거대 면역을 넣는다면...?!
14/01/03 12:23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스타1은 선수들 스톰지지고 전순 야마토 어찌 일일이 클릭해서 해줬는지 신기합니다.
반면에 스타2는 그러한 마이크로의 부담이 줄어서 이엠피쏘면서 산개하고 스팀팩 먹이고 무빙샷 -_-;; 난이도 비슷하겠네요.
바스테트
14/01/03 15:04
수정 아이콘
사실 개인화면 잠깐 보여줄때 배틀쌈하는거 보면
뭉탱이로 3~4마리씩 찍어서 야마토포 썻죠..흐흐
14/01/03 12:32
수정 아이콘
탱크는 화력 버프만 되면 충분히 사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자리 잘 잡고 기갑병이 탱킹 잘해주면 지금도 불멸자하고 200교전에서 간혹이기기도 하거든요. 문제는 질럿에 붙어있는 화기병이 탱크 스플레쉬에 다 죽는게 문제입니다. ㅠㅠ

광자 과충전 너프 되면서 초반 파수기가 어느 정도 강제되는 면이 있고 이제 의료선 두개 타이밍에 거신 두마리 라던가 스톰업은 불가능해 질듯 보입니다.
테란은 여전히 공격적인 운영이 필요할 것 같구요.
azurespace
14/01/03 13:28
수정 아이콘
탱크 위주의 조합은 프로토스의 대공을 상대할 것이 없기 때문에... 불멸자가 문제가 아니죠
14/01/03 13:38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대공은 바이킹과 밤까면 충분한것 같던데 이건 뭐 아무래도 제가 다이아 레벨이다보니 쉽게 생각할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한때 메카닉 주력으로 썼었는데 50대50은 나오긴 하더군요. 래더가 다 그렇지만 크크
김연우
14/01/03 13:44
수정 아이콘
메카닉할때 토스의 공중유닛 상대하는 것도 문제지만... 토스가 지상군만으로 200싸움을 해도 탱크가 그다지 강하지 않다는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애벌레의꿈
14/01/03 13:06
수정 아이콘
스원때는 테테전은 수면제에 무작정 엎어지는 테란이 사기라고들 했었는데...이젠 제발 테란도 좀 진중하게 탱크 깔아놓고 운영하는걸 보고 싶네요. 공성전차는 진짜 브루드워 탱크 수준까진 아니더라도 좀 워프되면 좋을것 같긴 합니다.테란은 조합도 안 좋은데 방어도 마땅찮아서요. 토스는 너프 시킬거라고 생각은 했는데 모선핵보다 예언자가 더 시급할줄 알았는데...끄응
14/01/03 13:21
수정 아이콘
워프되면 OP일듯 크크
14/01/03 18:19
수정 아이콘
인구수 2 되는순간...
14/01/05 02:42
수정 아이콘
저도 테란 특유의 수면제 플레이 끝에 나오는 묵직함이 그립네요 흐흐
14/01/03 13:41
수정 아이콘
과충전 시간 줄이는건 적절해 보이네요. 저거 하나면 11/11급 극단적 빌드를 제외한 초반 올인이 다 막혀서...
미카즈키요조라
14/01/03 13:42
수정 아이콘
저 고려사항중에 뫼비우스 반응로만 기본으로 달아줘도 테프전 테란이 많이 좋아질 겁니다, 진짜로 테란 상향 절실해요...
가루맨
14/01/03 15:5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희망하는 앞으로의 패치 방향에 관해서 적어보자면,

프로토스는 모선핵, 예언자, 폭풍함, 우주모함, 모선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모선핵의 경우 광자과충전의 하향은 당연한 거라고 보고, 시간왜곡의 범위도 좀 줄여 줬으면 합니다. 시간왜곡 때문에 프로토스의 초중반 찌르기나 올인이 지나치게 강력한 감이 있거든요.
예언자는 롤백보다는 펄서광선의 경장갑 추가데미지를 하향시키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이속과 가속은 현재의 상태가 보는 맛이 좋더라구요.
폭풍함은 기본 데미지를 좀 더 올리는 한이 있더라도 거대 공중 유닛을 상대로 한 추가데미지를 줄여야 합니다. 이게 이뤄지지 않으면 전투순양함과 우주모함의 활용은 요원하다고 봅니다.
우주모함은 생산 시간만 좀 단축시켜 줘도 될 것 같습니다. 거의 사용되지 않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일단 모이기만 하면 엄청나게 강력하다는 말이 많아서 다른 스펙을 건드릴 필요는 없다고 봐요.
모선은 다른 건 바라지도 않고 소용돌이를 한 방이라도 쓸 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지금은 모선핵만도 못하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니. ㅠㅠ

저그는 대군주의 드랍 관련 업그레이드와 감염충의 감염된 테란 정도만 버프해 줘도 좋을 것 같습니다.
테란의 메카닉 버프에 따라 대군주의 드랍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현재의 상황으로만 보면 대군주의 드랍이 너무 안 쓰이고 있고, 감염된 테란은 지나치게 약화된지라 적어도 방어력 업그레이드 정도는 적용을 받게 하는 게 좋아 보입니다.

테란의 메카닉 버프와 유령 버프는 대체적으로 찬성합니다.
다만 테테전은 현재의 양상이 매우 좋다고 보기 때문에 공성전차의 중장갑 추가데미지보다는 쉴드 추가데미지를 추천합니다.
유령의 경우 유령 자체도 상향이 필요하다고 보지만 무엇보다 타종족전에서 메카닉을 살리기 위해서도 유령의 상향이 절실하다고 보구요.
토르는 이속을 올려야 한다고 생각하고, 전투순양함도 (예컨대 사거리 1 정도) 소폭 상향해 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개인적으로 밤까마귀는 재발견이 안 되어서 그렇지 지금도 나쁘지 않다고 보지만, 잉여 스킬인 자동포탑 정도는 조금 상향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사실은 스킬 교체를 희망하지만, 이건 공허의 유산이 나와야 가능할 테니).
돼지불고기
14/01/03 21:20
수정 아이콘
모선 소용돌이 좀...ㅠㅠ 아니면 베타 공개 시절 모선의 능력 중 하나 아무거나 다시 좀 줄 수 없을까요.
아르타니스 이 놈은 왜 이딴 것들만 타고 다니냐...
주니테란
14/01/04 02:58
수정 아이콘
탕크 인구수가3이었나요? 그럼 2로 궈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162 [공지] 신규 운영진 안내 [18] kimbilly6806 14/01/06 6806 0
53161 [스타2] 2014년 1월 첫째주 WP 랭킹 (2014.1.5 기준) - 윤영서 1위 재탈환 Davi4ever6494 14/01/06 6494 1
53160 [하스스톤] 투기장 12승을 드디어 찍었습니다. [14] 환상9168 14/01/05 9168 0
53159 [기타] [스타1] 테테전 보기 좋은 날! [43] 한니발14206 14/01/05 14206 22
53157 [LOL] KT B의 3번째 도전. 이번에는 이길 수 있을 것인가. [43] Leeka9636 14/01/05 9636 4
53156 [LOL] KT Rolster LOL팀 응원글 [21] 별이지는언덕7713 14/01/05 7713 8
53155 [LOL] 롤챔스 직관기 (부제: 직관 시스템, 이대로 괜찮은가) [64] 노틸러스11145 14/01/05 11145 23
53154 [기타] 내가 끝까지 임요환을 응원하는 이유 [5] Love.of.Tears.9434 14/01/04 9434 6
53153 [LOL] 프리시즌 말미에 다이아1 승급에 성공했습니다 [9] 성시경7079 14/01/04 7079 1
53152 [LOL] 탈락했지만 아직 끝난것은 아니다 (NLB 이야기) [45] 헤나투10230 14/01/04 10230 1
53151 [하스스톤] 입문자를 위한 각 직업군별 투기장 공략법 #2 (도적) [15] sonmal10917 14/01/04 10917 0
53150 [LOL]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네요. [49] Leeka11155 14/01/04 11155 3
53149 [LOL] 매라와 엠비션, 사활을 걸다 [35] becker12872 14/01/04 12872 39
53148 [LOL] 자랑스럽습니다 오존! (+직관 이야기) [62] 극연8386 14/01/03 8386 10
53147 [LOL] 롤챔스의 깨지지 않은 재밌는 징크스들 [11] Leeka7570 14/01/03 7570 0
53146 [LOL] 프로스트의 문제는 무엇일까요? [154] 나이트메어10560 14/01/03 10560 0
53145 [기타] [스타1] PBS 결승 공지 [12] 옆집백수총각5616 14/01/03 5616 4
53144 [LOL] 프로 롤 매니저를 소개합니다. [63] 끵꺙까앙13517 14/01/03 13517 9
53142 [도타2] Best Plays of the Week (12월 2,3주차), 그리고 NSL 시즌2 [6] 염력의세계7071 14/01/03 7071 3
53141 [하스스톤] (잡담) 좌충우돌 랭전 이야기. [15] 은하관제6811 14/01/03 6811 0
53140 [스타2] 차기 밸런스 테스트 예고 [40] 저퀴8222 14/01/03 8222 0
53139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8강 D조 프리뷰 [117] 노틸러스8595 14/01/03 8595 4
53138 [스타2] Vaisravana의 꿈만 같았던 KeSPA 루키리그 원정 [20] 라덱10908 14/01/02 10908 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