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2/17 03:21:15
Name 세이젤
Subject [도타2] 신영웅에 대한 간략한 소개. (엠버, 어스, 레기온)
최근에나온 불꽃령(앰버). 대지령(어스). 군단 사령관(레기온)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적어보고자 글을 적었습니다.
우선 현재의 평가는.

엠버는 운영이 많이 힘든 캐릭터이고.
어스는 하향했지만 여전히 OP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고. 레기온의 경우 아주 강력하다는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다만 모두 나온지 얼마 안되었기에 캡틴모드에선 선택이 안됩니다. 다만 캡틴모드는 실제로 하는 사람이 지극히 드물다보니...


우선 불꽃령(앰버 스피릿)
우선 사용하는대 엄청난 난이도가 있는 캐릭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잡고 5:5 싸울때 아주 약한 모습을 보여주는게 아주 큰 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스킬은 자신을 기준으로 주변의 발을 묶으면서 대미지. 대미지 자체도 자체지만. 발을 묶는대다가. W와중에 사용시 말도안되는 범위에서 묶기 때문에. 유틸성도 뛰어납니다. 특히 소수전에서 아주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는 스킬.

W스킬은 특정범위에 공격을 하면서 안보이는 상태에서 슉슉 때리는데. 범위안의 영웅에겐 높은 추가대미지를 줍니다.
이 스킬의 가장큰 특징은 범위 안의 모든적에게 "평타"를 때린다는 점인데요. 이 스킬 활용도는 정말 엄청나게 많습니다.
극후반에 주력딜을 뽑는 스킬이기도 하고. 적의 포커싱을 벗어나는 좋은 스킬이기도 합니다. 사용중에 Q를 잘 쓰면. 말도안되는 범위의 속박도 가능하고.
평타를 때린다는 점은 이 스킬은 전장격노. 다이달로스 다 적용된다는 말과 동일합니다.
다만 이걸 선마하는건 아쉽습니다.

E스킬은 스펠실드를 자신에게 씌우면서 주변에 광역대미지를 주는데요. 마법대미지를 흡수한다는점도 말도 안되게 좋은 장점이지만 가장큰 장점은. 주변에 부서지지 않는한 계속해서 대미지를 준다는점.
이 스킬 때문에 소수전에서 아주 강력합니다. 스팰실드가 안깨지는한. 신성의검을 든 효과를 계속해서 보여주는대다가. 소수전에선 스펠실드를 깨부수고자 마법을 불꽃령에게 쏟아 붙는다는것은 지겠다는거니까요. 아주 강력합니다.

R스킬은 분싱르 보내고. 그 분신의 위치로 이동하는 스킬로.
딜링기로도 사용하고 이동기로도 사용하고. 사용범은 아주 다양합니다.

우선 기본적인 전투방법은 국지전에선 E를 두르고 달려들어서 Q로 묶고. 평타를하되. 자신에게 점사되는 기미가 보이면 . W와 R스킬로
순간적인 포커싱을 벗아난다. 이스타일로 싸우면 소수전에서 아주 큰 효과를 받아서. 좋은 아이템을 뽑아서.
아이템으로 극후반에 찍어누르는 형태가 되야 합니다.

현재 이 불꽃령의 경우 극후반에 5:5싸움에서 눈물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데요.
우선 스텟자체가 체력이 많이 오르지 않으며.
주력 스킬인 E스킬이 너무나도 쉽개 깨지게 되서. 주력딜중에 하나를 잘 못 쓰는 형태로 싸우게 됩니다.
따라서 국지전에서 최대한 이득을 보고 그 이득을 통해서 한타에서 딜을 쉽게 넣을수 있는건 W스킬뿐이라.. 히트앤 런형태의 전투밖에 못합니다. 그래서 사용하기가 아주 까다롭습니다.

전장격노에. 다이달 까지 나오면 그냥 W로 한번 훌터주면. 모든 적이 빨피가 되거나 죽어버리는 황당한 사태가 발생하지만.
그 사이의 공백상에서 5:5싸움에서 큰 활약을 못한다는 점은 아주 힘듭니다.
특히 적이 강력한 속박등 한명에게 아주 강력한 CC를 쓸수 있는 조합이라면. 이 불꽃령이 제대로 싸우기도 전에 죽고. 4:5한타를 하는 장면을 쉽게 보게됩니다. 재미는 상당히 있기에 픽율도 높은 편이었습니다. 다만 승율이 바닥중에 바닥이라는 점은 정말 눈물나는 부분이죠.
라인전 또한 3렙이후부터 아주 강력한 편이라. (W선마가 아니라 E선마 일경우).
라인전 부터 찍어누르는것을 좋아하시는 분에게 추천하는 캐릭입니다. 역시 이 영웅또한 많은 연습이 필요하겠지요.
현재 모든 라인을 다 가며. 심지어 서포트로 돌리는 경기도 봤습니다.

불꽃령이 재미를 볼수 있는 상대는.
분신등. 다수를  사용하는 상대로.
미포. 사이렌. 환영창기사에게 강한 모습을 보입니다만.

자체적인 마법 저항 스킬을 가진 대상인
가면무사. 흡혈마에겐 상대적으로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대지령. (어스 스피릿)

현재 한번의 하향이 있었지만. 여전히 강력한 대지령으로.
이캐릭터는 아주 강력한 이니시에이터인대다가 자신의 모든 스킬이 연계가 잘되서 OP라고 아직 취급 받고 있습니다.

스킬에대해서 소개하자면.
D스킬은 비석을 소환하는 스킬로. 자신의 스킬들과 연계를 할 수 있는 스킬입니다.
최대 6개 까지 가지고 있을수 잇으며. 채워지는 속도가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가장 답답한 상황인.
비석이 없다!.. 라는 상황이 안나오도록 주의 해야 합니다.

Q스킬은. 특정한 대상을 뻥차는 스킬로.
대미지를 주며. 스킬렙에 따른 범위만큼 날라가게 되는데요. 적 영웅은 물론이고. 아군 영웅. 미니언. 그리고 비석 까지 모두 찰수 있으며.
찬 대상은 물론이고 찬 대상에게 맞는 모든 적은 대미지를 입게 됩니다. (아군을 찰경우 아군에겐 대미지가 x)
또한 날라가는 와중에 혹은 날라가는 비석을 맞을경우 5초간 침묵 상태로 빠지게됩니다.

이스킬의 활용은 W를 통해서 적 등뒤로 들어간뒤에. 적을 앞으로 뻥차주는.
롤에서 소위말하는 리신킥(인섹킥)을 할 수 있으며. 비석을 참으로써 5초간의 침묵을 유도하여. 적의 강력한 마법을 막는등.
여러가지방법으로 쓰이는 스킬입니다.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이 영웅을 리신령이라고 장난삼아 말합니다.

W스킬은 자신이 돌같은걸로 바뀌면서 굴러가게 되며.
지형무시하고 이동하며. 지나가는 모든 적에게 대미지. 단 적 영웅에게 박을경우. 적 영웅에게 슬로우 효과를 주게되며. 추가적으로 적뒤에 대지령이 서개되어. 다른 스킬들과 연계하기 좋게 만듭니다.
또한 굴러가는 와중에. 비석을 지나칠경우 날라가는 범위가 아주 크게 길어지고. 속도도 빨라집니다.

E스킬은 아군영웅이나 미니언  혹은 비석을 당기고. 당기는 거리에 있는 모든 대상에게 스턴을 거는 스킬로.
사정거리가 너무 길기 때문에. D와 연계시 말도 안되는 범위에서 이니시를 걸기 좋은 스킬.
개인적으로 이 스킬은 언재 칼질 될지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말 너무너무 좋기 때문이죠.


궁극기는 자신바로옆의 영웅에게 도트댐을 거는대. 6초 지속입니다. 이것 자체만으로는 대미지가 낮으나.
주변에 비석이 있을경우. 비석의 주변의 모든 영웅에게 전염 + 시간초기화.

중후반에 대지령이 악마같다고 표현되는 가장 궁극적인 요소로. 이 스킬이 제대로 들어갈경우 초중반 한타는 그냥 박살났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E스킬과 W스킬을 연속해서 사용해서 쓰는 지라. 스턴상태에서 궁극기에 맞게되고.
스턴상태에서 궁극기를 맞은 상대방중 하나가 이격되던. 적에게 달려가던 되서. 하나가 줄어든 상태에서 한타를 하는대. 아군 모두에겐 강력한 도트대미지가 들어간다?
사용할때마다 느끼지만 이 스킬은 완전히 사악함의 그 자체 라고 생각됩니다.

스킬에 대한 이해가 안되면. 그냥 쓰레기에 가까운지라.
매우 어려운 캐릭터입니다만. 익숙해지는순간. 이영웅은 아주 강력한 승율 셔틀에. 미드를 서던. 서폿을 서던.
아주 강력한지라. 자신에게 맞는다면 현재 연습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하는 영웅입니다.
(여담입니다만. 현재 저의 대지령의 승율은 90프로를 넘습니다.)

이녀석은 아이템이 없어도 자신의 모든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팀파이트에 도움이 메칸즘, 파이트 등을 가도 되고.
한타시 적의 한가둔대로 뛰어들게 되서 시바의 은총을 자주 가는 영웅입기도 합니다.
특히나 힘영웅인지라 단단한대. 마법도 아주 강력해서. 초중반에 거의 악마와 같다고 생각되는 영웅입니다.
다만 극 후반에 완전 힘이 빠져서 여러가지로 아쉬울때가 존재합니다만. 극후반 가기전까지 너무나도 강력한 영웅이라.
상대적으로 약하게 보이는거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솔직히 극 후반에도 사용해먹을 곳은 무궁무진하니까요.
(광역스턴에. 광역침묵에다가 적의 서폿류는 순식간에 지워버리는 궁극기까지!)

기본적인 전투법은.
적의 뒤에 D로 비석을 깔고. E로 당깁니다. 그러면 적은 스턴상태에 빠지게 되는데요.
당기면서 바로 W를 적영웅쪽으로 하게되면. 당겨지는 비석을 지나가기때문에 아주 빠른 속도의 돌덩이가 적의 영웅에게 쿵 박게 됩니다.
그럼 적은 스턴상태에서 이미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상태이고. 대지령은 적의 뒤에 있습니다.

이제 궁극기가 있으면 궁극기쓰고. 시바있으면 시바도 쓰고.
상황을 봐서 Q로 적의 영웅을 차주면. 완벽히 롤의 리신이 될수도 있고.
비석을 다시 깔아서 차주는걸로 강력한 광역 침묵을 걸수도 있습니다.
그러면서 비석을 깔아서 궁초기화만 시켜주면 한타가 아주 깔끔하게 됩니다. 일단 이거까지만 연습이되면. 아주 강력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킬은 QWE를 각각 하나씩 배운뒤에. E와 Q를 골고루 찍어주시면 된다고 합니다.

다만 일단 사용하기가 너무나도 어렵기 때문에 WIn rate는 40퍼 초반때입니다.






군단사령관. (레기온 커맨더)

현재 캐리로도 사용되고. 서폿으로도 사용되기도 할것 같지만 현재는
일단 캐리로 주로 사용되는 영웅입니다. 적의 히트앤 런 형태의 캐릭에게 완전히 카운터 급이며.
적의 분신류에게 강력한 대미지도 줄수 있는대다가. 킬을 먹기 시작하면. 궁극기효과로 아주 강력해지기 때문에.
현재 아주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Q스킬은 광역으로 대미지를 주며. 대미지의 숫자에 비례한 대미지의 증폭이 존재하며.
분신에게는 아주 강력한 대미지를 줍니다. 또한 Q스킬을 맞은 적의 수에 비례하여 군단사령관의 이속이 증가합니다.

W스킬은 아군이나 자신에게 걸어서.
상태 이상을 즉시 제거하고. 체력리젠율을 순간적으로 엄청 올려주고. 공속또한 상승시켜줍니다.
캐리형 군단이 가장 짜증나는게. W스킬로 계속해서 자힐을 하면서 싸우는데 자힐에 공속상승이라... 정말 상대하기가 싫어집니다.

E스킬은 패시브로.
자신이 공격을 받을경우 확율적으로 추가타를 넣게되는데.
이 추가타의 효과는 체력회복의 효과. 즉 자신이 맞을경우 확율적으로 체력회복이 되는 평타를 사용합니다.

궁극기는.
적과 자신이 오로지 평타로만 3.5초간 싸우게 만드는 스킬로. 승리자에게 공격력 증가의 보상이 존재합니다.
이 스킬은 도주에 강한. 거미여왕. 항마사. 현상금 사냥꾼에게 지옥과도 가까운 스킬로
일단 걸리면 3.5초간 평타싸움을 하게 되는데. 주변의 아군 지원이나 적의 지원도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 W를 자신에게 쓴 상태에서 싸움이 되기 때문에.
대놓고 유리한 전투를 하게 됩니다.
이 스킬 하나 때문에 주로 유령의 검을 가서 갑자기 튀어나와서 궁극기를 걸어서 하나 잡는 형태의 플레이를 사람들이 자주 합니다,


일단 스킬설명만 보면 이게 강력할려나? 라고 생각하시겠지만.
기본적으로 힘캐라. 체력이 높은대 체력회복기술이 존재하고. 광역 대미지도 나쁘지 않고.
1:1 대결에서 아주 강력한 면모를 보여주는 캐릭터로. 극 후반의 몇몇 하드캐리를 제외하고는
1:1에서 질 대상이 없다고 봐도 무방할정도라 현재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캐릭터로 카운터를 칠수 있는 상대는 위에서도 언급한.
도주에 능한. 히트앤 런 스타일의 영웅들인
거미여왕. 항마사. 현상금 사냥꾼 등에게 강하다고 합니다.

다만 궁극기를 잘못 쓸경우. 자신의 공격력을 못올리는것은 물론이고.
심지어 적에게 자신의 공격력을 퍼주는 말도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궁극기를 얼마나 잘 사용하냐가 이 캐릭터의 핵심이라고 생각됩니다.

가장 잘 어울리는 템은.
완갑과 어둠의 검이고. 기본적으로 잘컷을땐. 궁극기를 통해서 높은 공격력을 보장받기 때문에.
돌격흉갑이 잘 어울립니다.


이상 간단한 신캐릭터 소개글이었습니다.
혹시나 추가하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꼭 댓글로 수정해주세요.
승률이나 카운터등은 도타버프(dotabuff.com)사이트를 참조하였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Euphoria
13/12/17 10:44
수정 아이콘
어스는 op가 아니죠. 욕이 안나올수 없는 얼개의 x친 분신이라고 봐야...
요새 랭게임에서 유일하게 선픽박을수 있는 유일한 영웅이라고 표현하면 말다한거라 봐야겠습니다.
Mephisto
13/12/17 11:08
수정 아이콘
어스는 솔랭과 중수 정도 수준에서는 콤보만 익혀도 OP수준이긴 합니다만.....
올라갈수록 확실한 약점이 많아서 그렇게 OP소리는 듣기 힘들죠.
물론 잘하는 대지령 보면 욕나오는건 사실입니다......
Euphoria
13/12/17 11:19
수정 아이콘
잘 몰라서 그러는데 어스 약점이 뭔가요? 그나마 d 사거리 줄여서도 이정도로 욕나오는데 q발차기 이동거리너프는 웃기지도 않는 너프고.. q발차기가 문제시 됬던게 미드라인에서 어떤 영웅상대로도 3레벨 필킬각이 나온다는게 아이러니 해서 너프한건같은데.. 애초에 스탯자체도 말도 안되서 서폿으로가도 d의 1100 사거리때문에 연막갱킹 성공률은 말도 안되게 높고요.
Mephisto
13/12/17 11:40
수정 아이콘
대지령은 본인이 상대라인으로 들어가는 이니시로 시작을 합니다.
w스킬이죠. 이 스킬의 특징이 얼폭이랑 틀리게 타게팅이 잡히고 스킬이 들어갑니다.
즉 들어온 순간 반응이 빠르면 메즈를 당하게 되죠. 고로 화력이 강력한 영웅이 있으면 아차하는 순간 녹아버립니다.
와딩으로 전장 확보가 잘된 생황에서 대지령이 기다리고 있는 적군에게 들어갈 경우 생존률이 엄청 낮아지는거고 대지령이 한타에서 1인분을 하기 위해선 동일한 전력에서는 궁을 최대한 오래 지속시켜야합니다. 그게 힘들죠.

그리고 라인전에서는 초반에 대지령을 잘 이해하고 있는 상대에게 괴롭힘을 당합니다.
대지령은 WDE 콤보를 완벽하게 익히지 않고서는 1렙 E로 콤보 완성시키기는 불가능하구요.
그렇다고 E를 선마할 경우 킬각이 안나옵니다. 데미지가 약하거든요.
대지령을 잘 이해하고 있는 상대에게는 E 선마일 경우 들어가다가 역으로 죽는 경우 많구요.
그렇다고 Q선마 할경우 W확인하고 바로 무빙 하거나 스턴 꼽으면 또 역관광 당하는 경우도 나옵니다.
그래서 잘하는 미드라이너의 경우 대지령 상대로 절대로 수비적으로 안나옵니다.
3렙 전까지 최대한 압박줘서 피관리 힘들게 만들고 푸시 최대한 해서 룬컨트롤만 잘해줘도 그 이후부터는 대지령이 오히려 몸사려야 합니다.
그 이후에는 뭐 양사이드에서 갱킹만 안당하면 되죠. 물론 이게 가장 큰 문제이긴 합니다.
왜 미드 사라졌다고 콜하는데 안빠지냐구요 ㅠ.ㅠ...

그리고 대지령의 약점중 하나는 이니시에이터 + 생존이 길어야한다 라는 조건을 성립시켜야 하기 때문에 성장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초반에 킬이나 CS를 못먹으면 정말 힘들어지죠.
Euphoria
13/12/17 12:05
수정 아이콘
전반적으로 동의는 하겠지만 망하는 대지령의 수순의 입장에서 써주신거같네요.
수비적으로 운영하는 미드라고 하시면 라인푸시가 구린 대지령입장에선 퍼지처럼 룬만 컨트롤하면서 사이드 갱킹갔을경우 타 미드라이너에 비해 말도안되게 갱킹성공률이 높은점에서 전 말도 안되는 op라고 생각합니다.
제경험의 입장 (mmr4800++)에서 대지령고르면 일단 상대방이 비아냥부터 주고 시작하는(대지령 잡고지면 그냥 자살좀...) 그런 경험도 많고요. 베하 서폿 대지령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그것도 궁금하네요.
크로니클도 빼내는 e스킬, 한타에서 진입이 힘들꺼같을경우 dq 사일 5초로 시작하는 어이없는 스킬구성
아무래도 제생각선에선 현재 대지령이 가장 op라고 생각합니다. 애시당초 캐리로 안커도 아예 미친영웅이라서...
만약cm에 더 너프없이 이대로 나오게된다면 제 장담하건데 대회 픽밴률 100% 일거같네요.
이오 너프전이랑 비교해도 크게 이상한게 없다고 봅니다. 공방승률은 쓰레기 대회픽밴률은 95%이상.. 뭐 이렇게 될게 뻔하죠..
세이젤
13/12/17 17:54
수정 아이콘
흠 일단 전 적에 대지령있으면. 침묵술사 혹은 오거마기 합니다.

항상 뒤에서 진입하는 대지령의 타이밍에 맞춰서 스턴을박던. 궁으로 침묵 먹이던 하려고 노력합니다만.

그래도 이기기는 힘들더군요.
Quelzaram
13/12/17 11:21
수정 아이콘
셋 다 조금씩 해봤습니다만...그나마 가장 플레이하기 쉬운 건 오히려 불꽃령이더군요.
기술의 구성 난이도를 따지면 불꽃령>군단사령관>>>>넘을수없는 4차원의 벽 >> 대지령 순인 것 같습니다.
물론 유틸리티성이 좋아 망해도 제몫을 해줄 수 있는 부분이 어느정도 존재는 하지만...
멋 모르는 초보가 잡으면 그냥 경험치 잉여더군요.
Mephisto
13/12/17 12:00
수정 아이콘
AI에서 연습하고 올경우는 오히려 불꽃령보다 대지령이 더 할만하실거에요.
불꽃령이 스킬자체는 쓰기 쉽지만 게임에서 자기 역할 하기는 더 힘들거든요.
다이아1인데미필
13/12/17 14:43
수정 아이콘
엠버(불꽃령)는 여타 캐리랑 같은 방법으로 운용하면 기존의 위력의 10%도 발휘 못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지속적인 카이팅으로 통한 w로 끊임없이 괴롭히고

항상 램넌트하나는 뒤로 빼서 피치못할 순간에 빠진다음에 다시 전장복귀해야하고 정말 게릴라운영을 해야 크기도 쉽고 딜넣기도 쉽습니다.

그리고 w선마가 구린건 맞지만 w가 가장 먼저 마스터하는 스킬이 되야 합니다. Q를 1개를 주고 E를 2개내지 3개까지 찍긴하지만 W4렙은 Q4개나 E4개와는

말도 안되는 효율을 보여주므로(그냥 펄저버런스 이후면 쿨돌아올때마다 상대 라이너한테 긁어주기만해도 엠도 거의 안다는데 2~3대 맞으면 집가야합니다)

그래선 전 E-Q-E-W-E-R-W-W-W 이런식으로 줍니다. 그리고 궁2,3렙은 15,16에 몰아 찍는편이구요 램넌트로 딜하는 상황은 생각보다 잘 나오지 않고

데미지 편차도 그닥 심한편이 아니라 3개를 우겨넣어서 딜을 하면 600의 데미지는 줄 수 있겠지만 그 이후 한방에 삭제당하구요

어스의 경우는 Euphoria님 말씀대로 어스로 싸면 욕먹습니다. 제가 요즘 랭겜 어스 칼픽충들 때문에 e선마 바이퍼 자주하는데 라인전부터 지옥보내버립니다(미드 기준)

노말~하이 수준에선 그닥 위협이 되지 않을 수 있으나 제 mmr이 5058인데 정말 어지간히 못하는애가 잡아도 DE DQ 정도만 할줄알아도 혈압이 치솟는

캐릭이기 때문에 정신나간 사일,범위는 그렇다고 치고 시야밖에서 날아오는 스턴은 정말 정신나갔다고 볼 수 밖에 없는 캐릭이라 한층 더 너프해야하고

리전은 초보자분들한테 추천하고 싶은데 약간 ? 하게 만드는 영웅이기도 하네요.가끔 정확히 딜견적 못내고 상대한테 데미지 피딩하면

아군으로 하여금 피꺼솟하게 만드는 영웅이라.. 운용방법은 그냥 정글이든 라인이든 파밍하다가 탈이나 쉐블 뽑고 이후에 가시갑옷(블메)구입하고

W자기한테 거신후 상대한테 다가가서 블메키고 궁걸면 어지간하면 죽입니다 그리구 리전의 궁시간은 4초 4.75초 5.5초라고 압니다
다이아1인데미필
13/12/17 14:44
수정 아이콘
어스의 약점이라 함은 떠먹여주는 캐릭이기 때문에 결국 아군이 고자라하면 아무리 떠먹여줘도 캐리는 안된다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분당 1킬찍고도 져본적이 있는 아픔의 캐릭이라
세이젤
13/12/17 17:51
수정 아이콘
저의 대지령이 패배하는 경우와 같군요.

한 30킬에 30어시해서 미친탬보유를 했지만 아군이
키워준 환창. 악령에게 지더군요...
하카세
13/12/17 16:50
수정 아이콘
대지령이 짱짱이죠 크크.. 랭겜 선픽으로 최적화된 영웅! 스텟깡패, cc깡패, 기동성 깡패 -_-;; 그 대지령 하이라이트 영상같은거 몇개 보시면 플레이 요령은 거의 다 본거라서 어려울것도 없죠. 대신에 후반가면 잉여로움이 점점 상승해서 캐리가 못크면 지지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073 [기타] 풋볼데이 체험기 [12] V.serum6321 13/12/19 6321 0
53072 [기타] FM2014에 플레이 하다 열받는점 세가지 [44] 류세라23368 13/12/17 23368 1
53071 [LOL] 탑문도에 대한 구체적인 공략입니다. [31] 시로요9500 13/12/19 9500 0
53070 [LOL] 프로스트 바텀에는 무슨 일이 있었나 [94] isil10717 13/12/19 10717 4
53069 . [12] 삭제됨7666 13/12/19 7666 1
53068 [LOL] 흔한 골드의 탑 헤카림 공략 [9] 남자라면외길7062 13/12/19 7062 1
53067 [기타] 2014년, 각 방송사의 행보는? [34] Quelzaram7891 13/12/18 7891 5
53066 [LOL] 야스오와 정글 조합을 맞춰봤습니다. [37] Cavatina7664 13/12/18 7664 0
53065 [LOL] 헬리오스 선수의 정글 강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153] 미스터H10616 13/12/18 10616 4
53064 [기타] 게임음악밴드 Falcom jdk BAND [11] MDIR.EXE6043 13/12/18 6043 2
53063 [LOL] 이른 시긴 줄 알지만 너무도 아쉬운 마음에 SKT T1 S 와 CJ Blaze 의 진출전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39] Yesterdays wishes8069 13/12/18 8069 1
53062 [LOL] CJ 프로스트 롤챔스 100번째 경기 기념영상 [19] 아사7034 13/12/18 7034 2
53061 [LOL] 12월 18일 (수) 패치노트 // 3.15패치 (시비르 너프, 타릭 너프 등등) [55] Jinx9809 13/12/18 9809 0
53060 [하스스톤] 차후 패치 때 마법사 냉기 주문의 너프 [65] 마음속의빛9554 13/12/18 9554 0
53059 [LOL] PGR21 아마추어 리그 시즌 3.5 를 시작하려 합니다. [22] SYN index5689 13/12/18 5689 0
53058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순위결정전&8강진출전 프리뷰 [78] 노틸러스8057 13/12/17 8057 4
53057 [기타] 플레이스테이션 4 사용 후기 [20] Leeka8861 13/12/17 8861 2
53056 [기타] [스타1] PGR 입스타 리그도 열면 어떨까요? [16] BIFROST5665 13/12/17 5665 0
53055 [LOL] 대리가 주는 허탈함... [18] LikeDaniel7869 13/12/17 7869 0
53054 [도타2] 새로운 외국인 선수의 등장 예고!? [20] 이호철6609 13/12/17 6609 0
53053 [하스스톤] 법사로 투기장 12승 찍은 후기입니다. [8] 오즈s8720 13/12/17 8720 0
53052 [하스스톤] 하스스톤을 늦게나마 즐겨본 소감 [20] 말퓨리온의천지8389 13/12/17 8389 0
53051 [스타2] 유투브 스타크래프트2 코멘테이터 추천 [8] 이승훈6475 13/12/17 647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