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7/04 21:15:57
Name Nerion
Subject 챌린지 리그 F조 패자전 재밌네요
손찬웅 선수와 삼성전자 칸의 박성준 선수의 경기인데...

참 경기가 묘한 것이 프로토스가 전진 센터게이트를 통해 몰래 다템 밀어넣기를 시도할려고 하였지만 그것이 사전에 차단되고...

저글링을 계속 2부대 가량을 프로토스 입구에 집어넣어 주시는 삼성준 선수.

근데 드라군이 사전에 오버로드를 잡아줘서 근 2부대 가량을 무려 프로토스 2질럿 다템 한기를 뚫느라 소모하고 그래도 어쨌거나 프로토스 테크상황을 다 살펴봤죠.

저그는 3해처리 안정적으로 자원 돌리고 어떤 프로토스의 빠른 테크에서 나오는 변수 플레이만을 방지하기만 하면 무난한 압승이 예상되는 그런 흐름이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저글링의 무리한 찌르기 근 2부대가량을 막아낸 손찬웅선수가 질럿과 다템만으로 저그 미네랄 멀티 입구를 돌파합니다...

아니 성큰도 있었고 오버로드도 히드라도 있어서 발끈러쉬와 마지막 GG칠려고 돌을 던지는구나라고 싶었는데 그게 뚫려버리더군요 -_-;

다템이 맷집만 약할뿐 질럿이 옆에서 맷집 역할을 하고 다템이 히드라 썰고... 그래도 여기까지만 이다라고 생각했지만 그 다템들이 4기가 살아서 앞마당쪽과 본진으로...

앞마당에는 오버로드가 없어서 다템 한두기에 저그 앞마당은 날라가고.. 본진에 오버로드는 없어서 드론들은 다템에 썰리고 12킬 다크 나와주시고... 부랴부랴 미네랄 멀티에 오버로드 느릿느릿하게나마 움직여서 막아내고...

이미 프로토스는 테크를 다 갖춰졌고 저그는 앞마당 날라가고 본진 드론 큰 타격을 받아서 손찬웅 선수의 발끈러쉬가 경기를 반전으로 이끌었나 생각했습니다. 헌데 이게 끝이 아니더군요.

발업질럿으로 계속 저그 압박하다가 박성준 선수 회심의 히드라 3기를 중앙에 진출시켜 럴커로 변태하고 그 과정에서 계속 저글링 찔러넣어서 프로토스 병력들을 휘저어 놓고 럴커들은 앞마당 타격 그리고 본진 타격.

저글링에 의해 파일런은 취소당하고 포토캐논은 한기만 지어져서 럴커에 의해 프로토스 앞마당은 날라가고 본진에도 럴커가 프로브 타격, 삼성준 선수가 결국 잡는가.. 라고 생각 그러다가 다시...

손찬웅 선수의 역으로 프로브들이 우르르 몰려나와 저그 미네랄 멀티 깨버리고 아칸 질럿 발업 갖추면서 저그 본진 완전히 휘저어 놓고 그러면서 어떻게든 프로토스는 로보틱스 만들고 옵저버토리 만들어서 옵저버 나오고 결국 삼성준 선수의 회심의 럴커는 막히고 GG

생각해보면 이런 경기가 오히려 아기자기한 맛에서 재밌다는 생각도 듭니다. 챌린지 리그라는 이런 풋풋한 신예의 경기력도 보고 나쁘다는 의미가 아니라 수준높은 고수들의 정형화된 패턴의 흐름에서 일정한 경기흐름만을 보다가 이런 경기를 보니까 엉성하면서도 재밌는 그런 맛이 느껴지더군요.

어쩌면 이게 챌린지리그의 신예들과 포진하고 있는 중견고수들의 이뤄지는 긴장감 있는 대결이 만들어내는 맛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7/04 21:20
수정 아이콘
쏘원때 였나...진호선수와 영종 선수의 경기가 생각나더군요...
하히호히
07/07/04 21:22
수정 아이콘
전 박성준 선수가 이길 줄 알았습니다..;;

초반에 다템 밀어넣기 할때..(오버로 보고 있었으면서;) 히드라로 컨트롤만 잘 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07/07/04 21:24
수정 아이콘
역시나 이런 리그는 마지막 조가 대박[...]
어쨌든 박성준 선수 오랜만에 봤는데 말이죠... 후우-_-;
07/07/04 21:27
수정 아이콘
개그 게임이었죠. 크크;;
카르타고
07/07/04 21:2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박성준선수 경기력 실망;;
홍진호선수처럼 모르고당한거도아닌데 대처가 아쉬웠음
오버로드위치도 별로좋지않았었고
마린이랑러커
07/07/04 21:32
수정 아이콘
엉성한 두선수가 만들어 내는 불협화음의 하모니...
07/07/04 21:34
수정 아이콘
제대로 게그겜이었습니다, 정말로.
유이치
07/07/04 21:36
수정 아이콘
질럿 둘에 다크 하나가 입구에 있는데 도대체 왜 저글링을 그렇게 꼬라박아야했는지 완전 의문; 자신은 앞마당에 미네랄멀티까지 가져간 상태였고 상대는 앞마당조차 없는 상태였는데;; 그냥 천천히 운영했으면 압도적으로 유리한 게임이었는데 왜-_-;;
나두미키
07/07/04 21:36
수정 아이콘
묘사를 너무나 잘하셔서 게그겜이라는 생각이 절로 ㅡㅡ
안티테란
07/07/04 22:02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는 항상 병력 콘트롤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07/07/04 22:07
수정 아이콘
컨트롤 보다는 폭풍형이죠. 레어든 하이브든 자원의 우위로 소모전... 그래서 레어를 선호하시는 건가-_-; 어쨌든 멀티 운영의 이후의 공격까지의 단계가 실패했으니 공격적인 성향이 드러나도 실패한 거겠지요...;
굿리치[alt]
07/07/05 02:09
수정 아이콘
말로만 들어도 웃기네여 ㅎ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501 허영무 선수, 더 분발해주세요! (스포일러 주의?) [3] Kephi4309 07/07/17 4309 0
31500 포스트시즌 진출팀들의 간단한 장, 단점들.. [17] Leeka4773 07/07/17 4773 0
31499 온게임넷 개인리그 방식 제안. [7] 信主NISSI4439 07/07/17 4439 0
31498 [삼성 vs STX 1경기] 하나님 맙소사. 패스트 뉴클리어!! [32] The xian8401 07/07/17 8401 0
31497 아, 팬택...그리고 이윤열 [21] 문호철6885 07/07/17 6885 0
31496 이번시즌 공식전. 남은 7일 일정 보기. [9] Leeka4566 07/07/17 4566 0
31495 소년장사 송병구 화이팅^^ [7] happyend4074 07/07/17 4074 0
31494 MBC 서바이버 토너먼트 예선 대진 나왔습니다! [34] JuVinT5800 07/07/17 5800 0
31493 다음 시즌부터는 제발 개인전 맵 좀 줄입시다. [41] 김광훈4816 07/07/17 4816 0
31492 이영호의 가장 큰 자산.. [17] Again6491 07/07/17 6491 0
31489 김정민.서지훈.전상욱 3테란. [12] Go_TheMarine6134 07/07/17 6134 0
31488 [연재]Daydreamer - 14. 이방인(3) kama5318 07/07/16 5318 0
31486 수많은 명경기, 관심거리를 양산했던 곰TV 시즌2 MSL을 돌아보며...... [22] 김광훈6946 07/07/16 6946 0
31485 스타리그 사상 최고의 충격과 공포. Best 3. [80] Leeka12029 07/07/16 12029 0
31484 [결승後]2인자가 싫다. [12] 마녀메딕4992 07/07/16 4992 0
31482 세상엔 세가지 종류의...... [4] 김연우26649 07/07/15 6649 0
31481 어제 곰tv 결승 1경기에서의 의문점.. [10] 프리스타일 NaDa7616 07/07/15 7616 0
31479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예순다섯번째 이야기> [8] 창이♡4372 07/07/15 4372 0
31477 MSL 시즌 2 결승 5경기의 전투 장면만 [22] ArcanumToss7188 07/07/15 7188 0
31476 가장 예측 하기 힘들었던 스타리그 결승전 [4] 하늘유령5594 07/07/15 5594 0
31475 가장 인상깊었던 다전제 토스전은? [36] 조제6370 07/07/15 6370 0
31474 김 준 영 선 수 에 게... [파이팅]... [11] 견우4410 07/07/15 4410 0
31473 [결승 감상평] 역대 최고의 프프전 결승전을 오늘 봤습니다. [12] 김광훈5607 07/07/15 560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