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2/08/03 20:41:55
Name 랜덤테란
Subject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기록관리에 대해서
pgr21.com을 찾아주시는 팬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온게임넷 스타리그는 올해 전적정리를 할때

챌린지리그와 듀얼토너먼트전적을 총전적에 포함시키고 연승기록,연패기록을 포함해서 보여주더군요.

챌린지리그와 듀얼토너먼트를 총전적에 포함시킨다면

이미지나버린 대회에서의 오프라인 예선전도 포함시켜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챌린지리그와 듀얼토너먼트도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예선의 일종이니까요.

그리고 미방송분이라서 그런거라면 예전에 치뤄진 미방송분 재경기는 왜 포함을 시킨걸까요?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혹시 게임자체에 대한것이 아닌 딱딱한 것이라서 호응이 적을 것 같아 걱정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2/08/03 20:55
수정 아이콘
아마도, 종전의 예선은 예선일 뿐이지만, 현재의 챌린지 및 듀얼토너먼트는 종전의 예선과 그 방식도 다르고, 외국 프로축구리그의 2부리그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듯합니다.
사실 합산보다는 빅리그, 듀얼, 챌린지를 나누어 집계해 주었으면 더 좋겠다는 생각은 듭니다만, 1, 2부리그에 나온 선수들의 실력이 그다지 많은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합산집계를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군요. 합산집계든 분리집계든 어느 쪽을 택하더라도 무방하다고 보입니다만, 선택은 방송국의 몫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이광은
전 스타리그는 스타리그대로 챌린지리그는 챌린지리그대로 따로따로 기록해 두었으면 합니다.
이재석
02/08/03 22:15
수정 아이콘
챌린지리그를 예선뿐 아니라 어느정도 또 다른 스타리그란 개념을 온겜넷이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전 예선전과 가장 다른 점은 전경기가 방송에 나가는 것이죠.. 기록을 합산해서 계산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란슬롯
합쳐도 되고 안 합쳐도 되긴 하는데.. 승률, 연승기록 같은 거 따질때.. 챌린지리그를 거치고 온 선수가 상당히 유리할 듯 -_- 지금 벨탕선수 7연승(?)인가 했고 승률 78% -_-;;; 1승만 더 하면 온겜넷 연승기록 타이에 승률 1위.. 맞나여? -_-;;
란슬롯
조용호 선수는 6승 1패..
랜덤테란
02/08/03 23:17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예전에 미방송분 재경기는 방송에 나가지도 않았는데 왜 전적에 포함시킨걸까요?
수시아
02/08/03 23:22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 본선 경기와 예선 경기(챌린지 리그, 듀얼토너먼트)의 연승기록은 구별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지금처럼 상승세라는 걸 알리고 싶다면 온게임넷 방송경기에서 몇 연승이라고 하는 것이 더 좋겠네요...
테란패밀리
02/08/04 00:25
수정 아이콘
베르트랑 선수 7연승 맞습니다.-_-;;
1승만 더하면 국기봉선수랑 같죠..
조용호 선수는 임요환선수에게 져서.
6연승에서 멈춰버렸군요..
방금 재방보니깐..
역시 저그킬러 황제가 대단하기도 하고..
조용호선수의 인내심도 대단하군요..^_^
근데 조용호 선수랑 성학승 선수랑 동갑이라던데??
진짠가요?-_-;;
slipknot
02/08/04 05:42
수정 아이콘
그렇게따지면왕중왕전도구분되야하죠...제생각에도본선경기는본선경기만기록되야할듯...서태지의피승오랜만에들으니좋네여^^
몬스0807
02/08/04 14:44
수정 아이콘
챌린지와 스타리그 본경기를 구분해야 할것같은 생각이 듭니다;
tongtong
02/08/05 08:45
수정 아이콘
저도 챌린지와 스타리그는 구분해야 한다는데 한표...
40강전에서의 연승기록과 16강전에서의 연승기록을
같은 레벌로 취급한다는건 좀 합당하지 못하다는 생각입니다.
02/08/06 22:58
수정 아이콘
챌린지 리그의 전적을 온겜넷 본선리그 전적과 합치는 것은
아마도 , 온겜넷 측에서 챌린지리그를 메이져 급 대회로 성장시켜
온겜넷의 규모를 더 늘려나가고자 하는 의도가 아닌가 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여러모로 온겜넷은 명실상부한 국내 또는 세계 최고 리그로 인정받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챌린지 리그의 도입은 나름대로의 도전 혹은 모험이라고 할 수 이는 것이죠

챌린지 리그는 어떻게 보면 마이너 리그가 아닌 가 하는 생각에서
전적을 따로 계산하면 좋겠다라는 생각도 일리가 있지만
오늘 챌린지 리그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형식상 챌린지 리그는 마이너 리그로 취급할 수 있지만
게임 내용이나 게이머들간의 실력 등등을 고려하면
그렇게 온겜넷 본선에 비해 떨어진다고는 생각치 않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는 전적을 합해도 크게 문제가 될것은 없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6 프로토스의 개선필수부분 설문조사 (1) [15] 겜중독6321 02/08/12 6321
105 재미있는 이야기. [4] 용살해자4061 02/08/12 4061
103 프로토스의 최대 약점은..... [15] 겜큐광팬6837 02/08/11 6837
102 최근 프로토스의 부진에 대한 생각. [7] brecht10054097 02/08/11 4097
100 유즈맵세팅 패치에관해서... [7] 이재원4057 02/08/11 4057
99 유즈맵세팅으로 사이오닉 스톰 데미지 125로 만들수 있습니까? [8] 야설의황제6016 02/08/11 6016
98 황당?? [22] 최동민5510 02/08/11 5510
96 프로토스 살리기 1000분 토론 [18] 꺼러지5038 02/08/10 5038
95 [토론] 터랫 위의 옵저버에 대하여 [19] 커피우유5749 02/08/10 5749
93 설문) 가장 유용한 업그레이드는? [40] 뻘짓7399 02/08/08 7399
91 온게임넷스타리그 / 챌린지리그 / 예선전... [15] 폭풍저그7310 02/08/04 7310
90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기록관리에 대해서 [12] 랜덤테란4644 02/08/03 4644
89 동맹창은 열어도 되지 않을까요? [6] 푸른보배4247 02/08/03 4247
88 [잡담] 얼라이 마인 [106] 수시아7714 02/08/02 7714
87 이제부터 중요하지 않을까요? [2] kama3746 02/08/02 3746
86 재경기를 터부시 하지 말아주셨으면... [5] zaive4439 02/08/02 4439
85 겜비씨 공지 및 '버그성' 플레이에 대하여.. [1] Sir.Lupin4127 02/08/02 4127
84 밑에 얼라이 마인 사용과 논쟁에 대해.. [1] 언뜻 유재석4186 02/08/02 4186
83 [잡담]얼라이마인이 사용되지않는 이유 [1] 신무5945 02/08/02 5945
81 얼라이 마인이 왜 문제가 있는가에 대한 제 생각. [11] 낭천4876 02/08/02 4876
80 allied mine에 대한 생각. [13] brecht10053692 02/08/02 3692
79 [질문] 겜비시 경기에서 이윤열 선수의 얼라이 마인 사용 문제.. [107] 기억상실14464 02/08/01 14464
77 저그대 플토에서요.. [8] 신건욱3936 02/08/01 39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