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4/21 00:12
우선 A컴퓨터는 손을 안대고 80기가 하드를 빼고 200기가 하드를 넣는다고 하시는 것 같은데..
우선 A컴퓨터에는 작업을 해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데이터용으로 쓴다면 200기가 하드는 파티션을 나눌필요가 없네요... 굳이 데이터용으로 쓰는데 파티션은 필요가 없으니까요... 그럼 B컴퓨터로 넘어가면... XP를 깐다면... 그냥 CD를 넣고 CD부팅을 실행하게되면... 간단하게 인스톨할수 있으니까요... 별문제는 없을 꺼라고 생각합니다... 윈미를 깔 수 있다면 윈XP는 그냥 깔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B컴퓨터도 계속해서 쓰시려면... B컴퓨터의 경우 40:40으로 파티션을 나눠주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프로그램 저장이 필요하거든요... 윈도우는 그냥 깔더라도.. 추가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니까요... 답이 제대로 됐는지는 모르겠네요.. 추가적인 의문이 생기신다면... 밑에분이... -.-; 해주시리라고... 봅니다... ^^ 그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됬다면.. 감사감사~~~!
05/04/21 00:23
A컴퓨터에 80기가 하드를 빼고 200기가 하드를 슬레이브로 마춰서 껴봤는데요 인식이 안되네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0기가 하드는 포멧도 아직 못했습니다.
05/04/21 00:26
어차피 자료 저장용 HDD를 사용하신다면 파티션 나눠서 사용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두 컴퓨터 사이에서 HDD장착 후 파일만 이동하면 되니까요.
따라서 A컴퓨터에 40기가 하드디스크 그 상태 그대로 사용하시고 따로 폴더 하나 만들어 두신 후 자료 저장해뒀다가 따로 200기가 HDD사용하셔서 자료 옮기시면 됩니다. 괜히 40기가 하드 파티션 분할하셔서 사용하시면 분할한 드라이브 간 파일 전송 속도는 매우 느립니다. 따라서 저장용 HDD가 따로 있는데 꼭 파티션 나눠서 사용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B컴퓨터도 마찬가지입니다. 80기가 하드 파티션 없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어차피 200기가 HDD는 한개라서 두 컴퓨터 동시에 사용은 불가능하고, 자료 저장용이라면 파티션 분할하여 느린 속도로 사용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폴더별로 분류해서 정리하면 됩니다. 참고로 윈도우 Me는 메모리 관리 능력이 최악입니다. 꼭 사용하시려면 윈도우폴더안에 system.ini 파일문서를 메모장으로 열어서 [vcache] 를 보면 밑에 아무것도 없거나 값이 전부 0으로 되어있는데 <램이 512M 일때> MinFileCache=131070 MaxFileCache=131070 CHUNKSIZE=8192 <램이 256M 일때> MinFileCache=65535 MaxFileCache=65535 CHUNKSIZE=4096 <램이 128M 일때> MinFileCache=32768 MaxFileCache=32768 CHUNKSIZE=2048 <램이 128M 이하 일때> MinFileCache=16384 MaxFileCache=16384 CHUNKSIZE=256 이렇게 설정하시고 사용하시면 효과 있을겁니다.
05/04/21 00:27
그리고 하드디스크 IDE케이블과 전원 케이블 사이에 보시면 점퍼 설정할 수 있도록 핀이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전면에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데 거기 보시면 마스터/슬래이브/케이블 선택 이런 식으로 조작법이 나와있습니다.
케이블 선택으로 하시면 현재 꽂은 IDE 케이블이 슬래이브면 자동으로 슬래이브, 마스터면 마스터로 인식합니다.
05/04/21 10:32
137기가 이상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할려면 메인보드 바이오스와 운영체제에서 동시에 48비트 LBA모드를 지원해줘야 합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WIN ME는 48비트 LBA 모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메인보드 지원여부도 확인해 봐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바이오스업이 필요할 수도 있고 오래된 컴퓨터라면 메인보드자체가 지원을 안 할 수도 있습니다.
|